•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보건복지부·건강증진개발원, 우울증 자가진단 및 대처방법 안내-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정기혜)은 최근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과 관련해 ‘우울증 대처 방법’을 안내하였다.
  ○ ‘우울증(주요 우울장애)’은 2주 이상 우울한 기분과 함께 거의 모든 활동에 있어서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일상 활동의 무기력함이 지속되는 질병이다.
  ○ 우울증이 있는 경우 식욕이나 수면시간의 변화, 불안, 집중력의 감소, 우유부단, 침착하지 못함, 무가치한 느낌, 죄책감이나 절망감, 자해 또는 자살 생각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3억 2,200명이 우울증을 앓고 있고, 자살의 주요 원인이 되는 등 우울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올해 ‘세계 보건의 날’ 주제를 “Depression(우울증), Let's talk”으로 지정하고 각국의 관심을 촉구한 바 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기구 창립일(1949.4.7.)을 「세계 보건의 날」로 정하여 매년 기념하고 있으며, 특정 건강문제를 주제로 지정하여 홍보함

  ○ 세계보건기구(WHO)는 우울증은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있는 질병임을 강조하면서 그에 대한 대응방법을 권고하고 있다.


< “우울증”에 관하여 꼭 알아야 할 것 >
‣ 우울증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
‣ 우울증은 나약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 우울증은 상담, 항우울제의 복용 등을 통해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이다

< 우울하다고 느낄 때 할 수 있는 일 >
‣ 믿을 수 있는 사람과 자신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 하세요
‣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세요
‣ 적절한 도움은 우울증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 잘 지냈을 때 즐기던 활동들을 지속하세요
‣ 가족, 친구와 지속적인 관계․연락을 유지하세요
‣ 짧은 산책이라도 정기적으로 운동하세요
‣ 규칙적인 식사와 수면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세요
‣ 누구나 우울증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이 상황에 적응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우울증을 앓고 있을 때는 그렇지 않을 때만큼 잘 일할 수 없습니다)
‣ 알코올 섭취를 피하세요
‣ 자살충동을 느낀다면 반드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세요

< 우울한 사람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
‣ 우울한 사람에 대해 판단하지 않고 잘 들어주며 도와주세요
‣ 우울증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 가능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하고, 전문가를 만나러 갈 때 같이 가 주세요
‣ 약물처방이 된 경우 처방대로 약물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세요
‣ 일상생활과 규칙적인 식사․수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규칙적인 운동과 사회활동을 장려해 주세요
‣ 부정적인 면보다 긍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도록 격려하세요
‣ 혹시 그가 자해를 생각하고 있거나 이미 자해를 한 경우 혼자 두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그 동안 약물, 날카로운 물건 등 자해도구가 될 만한 물건을  치워두세요
‣ 우울한 사람을 잘 돕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또한 돌보아야 합니다

*“http://www.who.int/topics/depression/en/ ”을 참조


□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실시한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결과에 따르면 우울증(주요우울장애) 평생유병률*은 5.0%(男 3.0%, 女 6.9%)으로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2배 이상 높았다.
    * 평생유병률 : 평생 동안 한 번 이상 정신질환에 이환된 적이 있는 사람의 비율
  ○ 일년유병률*은 1.5%(男 1.1%, 女 2.0%)로, 지난 일 년 간 우울증을 경험한 사람은 61만명으로 추산된다.
    * 일년유병률 : 지난 1년 간 한 번 이상 정신질환에 이환된 적이 있는 사람의 비율
   ** ’17.4.11. 보도자료(성인 4명중 1명, 평생 1번 이상 정신질환 겪어) 참고하시기 바람
  ○ 우울증 일년유병율은 도시 거주자(1.2%)보다 농촌 거주자(1.9%)가 다소 높고, 기혼(1.0%) 상태인 경우보다 미혼(2.3%) 또는 이혼․별거․사별(3.1%)인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전일제근무자(0.4%) 보다 부분제(2.3%)․미취업(2.8%) 상태인 경우, 소득계층이 하위인 경우(2.7%)가 중(1.2%)․상위(1.1%) 보다 일년유병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안용민 교수는 “우울증은 다른 모든 질병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아울러, “신체적인 질병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점점 중병이 되어 죽음에 이를 수 있는 것처럼, 우울증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자해’ 및 ‘자살시도’ 등으로 이어져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보건복지부 차전경 정신건강정책과장은 “우울증이 의심되는 경우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나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찾아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 또한 “쉽게 용기를 내기 어려우신 분들은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1577-0199)를 통한 유선상담이라도 받아보시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 보건복지부 2017-09-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60 차도? 자전거도로? 전동킥보드는 어디로 다녀야 하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0 68
6859 분양가 공시항목 기존 12개→62개로 대폭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0 14
6858 플랫폼 택시의 첫 번째 모델, 타고솔루션즈의 웨이고 블루·레이디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0 21
6857 액화석유가스법 등 미세먼지 관련 3법 개정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25
6856 미세먼지 낮추는 방법…국민의 참신한 생각을 찾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31
6855 사라져가는 지방도시, 주민이 직접 해법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14
6854 인터넷 인기 검색.판매 식품 집중 수거.검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14
6853 소형 카트리지형 아산화질소 제조금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36
6852 아동수당 지급 관련 소득·재산 선정기준 등 삭제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17
6851 체외생명유지술 수혈 혈압상승제 투여 등, 연명의료 대상 시술에 포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35
6850 일반식품도 건강에 미치는 영향 표시가 가능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45
6849 현대드림라이프상조(주), 클로버상조(주)의 할부거래법 위반행위 제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39
6848 포장 배추김치 관련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9 31
6847 청년들의 취업 준비, 정부가 도와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8 22
6846 ‘부패·공익신고, 신고자 보호·보상’ 인터넷으로 한 번에 신청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8 48
Board Pagination Prev 1 ...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