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와 사망자가 동기간 전년대비 각각 121%/244% 증가(831일기준)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90% 이상이 9월 말11월 말에 발생
야외활동 시 긴소매·긴바지 착용하고, 귀가 후 세탁 및 샤워하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 구토, 설사 등 발생 시 신속하게 병원 진료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추수 등 농작업과 벌초, 성묘, 등산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가을철을 맞아 외출 시 긴 옷 착용, 외출 후 샤워하기 등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 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소화기증상(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냄
     * 쯔쯔가무시증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오한, 근육통, 가피,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냄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 긴팔, 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를 착용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몸 씻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특히 올해에는 동기간 전년대비 환자와 사망자가 각각 121%/244% 증가하였다.(831일 기준)

   환자 발생 수 : 36(’13) 55(’14) 79(’15) 165(’16) 139(’17831일기준)
   사망자 수 : 17(’13) 16(’14) 21(’15) 19(’16) 31(’17831일기준)

  

 쯔쯔가무시증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하나, 특히 남서부지역(경남, 전남, 전북, 충남)에 서식하는 활순털진드기 등의 유충에 의해 주로 매개되며, 유충이 왕성히 활동하는 9월 말~11월 말에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한다.

    환자 수 : 10,365(’13) 8,130(’14) 9,513(’15) 11,105(’16)
    사망자 수 : 23(’13) 13(’14) 11(’15) 13(’16)

  

 SFTS는 매개 진드기에 물린 후 1~2주 이내에 고열, 소화기증상(구역질,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고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소견을 나타내며, 쯔쯔가무시증은 1~3주의 잠복기 후 고열, 오한, 근육통, 발진, 가피(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쯔쯔가무시증에는 효과적인 항생제가 있으나, SFTS에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없어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對症療法)으로 치료한다.

진드기매개감염병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므로,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는 복장을 착용하고, 귀가 후 즉시 샤워나 목욕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야외활동 후 고열, 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가피가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환자발생이 많은 지역 보건소를 중심으로 주민 감염예방교육, 지역주민 홍보 등의 진드기매개감염병 관리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도 보건환경연구원을 통해 SFTS 진단체계를 운영하고 있어, 의료기관은 발열, 혈소판감소 등으로 SFTS가 의심되는 환자가 확인되면 즉시 진단검사를 의뢰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09-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71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08.23
2970 미생물 기준 초과 검출된 피부연고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8.23
2969 납ㆍ카드뮴 기준 초과 검출된 장난감 구조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8.23
2968 납 기준 초과 검출된 장난감 소방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8.23
2967 화상 위험이 있는 건전지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23
2966 화재 및 감전 위험이 있는 건전지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8.23
2965 레이저로 인한 시력 손상 우려가 있는 고양이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8.23
2964 부품 불량으로 낙하 우려가 있는 천장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2963 질식 우려 있는 유아용 접이침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2.08.23
2962 과열 가능성 있는 휴대용 난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23
2961 피규어 바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2.08.23
2960 사크라스트라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8.22
2959 해외주식 거래 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8.22
2958 미신고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이용 및 거래에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2.08.18
2957 재감염 및 60대 이상 환자비중 증가 따른 주의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8.16
2956 블루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8.12
2955 온라인 호텔 예약 대행 업체 ‘㈜본보야지(에바종)’ 연락두절 등으로 소비자 피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8.11
2954 집중호우 시기에 식중독 발생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08.10
2953 주식회사매니쉬컴퍼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09
2952 여름에는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2.08.08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