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와 사망자가 동기간 전년대비 각각 121%/244% 증가(831일기준)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90% 이상이 9월 말11월 말에 발생
야외활동 시 긴소매·긴바지 착용하고, 귀가 후 세탁 및 샤워하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 구토, 설사 등 발생 시 신속하게 병원 진료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추수 등 농작업과 벌초, 성묘, 등산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가을철을 맞아 외출 시 긴 옷 착용, 외출 후 샤워하기 등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 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소화기증상(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냄
     * 쯔쯔가무시증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오한, 근육통, 가피,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냄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 긴팔, 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를 착용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몸 씻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특히 올해에는 동기간 전년대비 환자와 사망자가 각각 121%/244% 증가하였다.(831일 기준)

   환자 발생 수 : 36(’13) 55(’14) 79(’15) 165(’16) 139(’17831일기준)
   사망자 수 : 17(’13) 16(’14) 21(’15) 19(’16) 31(’17831일기준)

  

 쯔쯔가무시증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하나, 특히 남서부지역(경남, 전남, 전북, 충남)에 서식하는 활순털진드기 등의 유충에 의해 주로 매개되며, 유충이 왕성히 활동하는 9월 말~11월 말에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한다.

    환자 수 : 10,365(’13) 8,130(’14) 9,513(’15) 11,105(’16)
    사망자 수 : 23(’13) 13(’14) 11(’15) 13(’16)

  

 SFTS는 매개 진드기에 물린 후 1~2주 이내에 고열, 소화기증상(구역질,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고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소견을 나타내며, 쯔쯔가무시증은 1~3주의 잠복기 후 고열, 오한, 근육통, 발진, 가피(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쯔쯔가무시증에는 효과적인 항생제가 있으나, SFTS에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없어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對症療法)으로 치료한다.

진드기매개감염병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므로,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는 복장을 착용하고, 귀가 후 즉시 샤워나 목욕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야외활동 후 고열, 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가피가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환자발생이 많은 지역 보건소를 중심으로 주민 감염예방교육, 지역주민 홍보 등의 진드기매개감염병 관리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도 보건환경연구원을 통해 SFTS 진단체계를 운영하고 있어, 의료기관은 발열, 혈소판감소 등으로 SFTS가 의심되는 환자가 확인되면 즉시 진단검사를 의뢰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09-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13 가을철 안전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집중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9.25
3812 추석, 교통사고와 화재 안전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9.25
3811 추석 선물 구매할 때 부당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9.21
3810 알톤스포츠 니모 FD 전기자전거, 즉시 수리 받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21
3809 추석 명절, 스마트폰 해킹(악성앱) 스미싱 문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9.21
3808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된 Arabian Oud Andalusi 향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20
3807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된 Arabian Oud Arabian Knight 향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09.20
3806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된 Arabian Oud 360 Men 향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9.20
3805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된 Arabian Oud Majestic 향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9.20
3804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피염평 999 연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3.09.20
3803 진드기와 쥐와의 거리두기로 건강한 추석명절과 가을을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9.20
3802 벤조피렌 초과 검출된 ‘해바라기씨유’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09.20
3801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Dripak 소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19
3800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Tesco 소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19
3799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BENEKS 피부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9.19
3798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Sante 안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9.19
3797 이물질(유리조각)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Jean Herve 아몬드 스프레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9.19
3796 감전 위험 있는 멀티탭(브랜드 미상)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09.18
3795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라벨부착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3.09.18
3794 유해물질 기준을 위반한 USB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9.18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