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와 사망자가 동기간 전년대비 각각 121%/244% 증가(831일기준)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90% 이상이 9월 말11월 말에 발생
야외활동 시 긴소매·긴바지 착용하고, 귀가 후 세탁 및 샤워하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 구토, 설사 등 발생 시 신속하게 병원 진료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추수 등 농작업과 벌초, 성묘, 등산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가을철을 맞아 외출 시 긴 옷 착용, 외출 후 샤워하기 등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 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소화기증상(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냄
     * 쯔쯔가무시증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오한, 근육통, 가피,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냄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 긴팔, 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를 착용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몸 씻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특히 올해에는 동기간 전년대비 환자와 사망자가 각각 121%/244% 증가하였다.(831일 기준)

   환자 발생 수 : 36(’13) 55(’14) 79(’15) 165(’16) 139(’17831일기준)
   사망자 수 : 17(’13) 16(’14) 21(’15) 19(’16) 31(’17831일기준)

  

 쯔쯔가무시증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하나, 특히 남서부지역(경남, 전남, 전북, 충남)에 서식하는 활순털진드기 등의 유충에 의해 주로 매개되며, 유충이 왕성히 활동하는 9월 말~11월 말에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한다.

    환자 수 : 10,365(’13) 8,130(’14) 9,513(’15) 11,105(’16)
    사망자 수 : 23(’13) 13(’14) 11(’15) 13(’16)

  

 SFTS는 매개 진드기에 물린 후 1~2주 이내에 고열, 소화기증상(구역질,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고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소견을 나타내며, 쯔쯔가무시증은 1~3주의 잠복기 후 고열, 오한, 근육통, 발진, 가피(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쯔쯔가무시증에는 효과적인 항생제가 있으나, SFTS에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없어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對症療法)으로 치료한다.

진드기매개감염병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므로,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는 복장을 착용하고, 귀가 후 즉시 샤워나 목욕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야외활동 후 고열, 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가피가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환자발생이 많은 지역 보건소를 중심으로 주민 감염예방교육, 지역주민 홍보 등의 진드기매개감염병 관리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도 보건환경연구원을 통해 SFTS 진단체계를 운영하고 있어, 의료기관은 발열, 혈소판감소 등으로 SFTS가 의심되는 환자가 확인되면 즉시 진단검사를 의뢰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09-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71 괴로운 소변「신경인성 방광」,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7.12.14
3370 교차오염으로 알러지 유발할 수 있는 Sheila G’s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5.12
3369 교통사고, 보행자 사고 예방이 우선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2.27
3368 교통사고로부터 자녀를 보호할 수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7.08.25
3367 교통사고와 화재 예방으로 안전한 추석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9.09.06
3366 구강소독용 의약품 '가글제' 마시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1.04.05
3365 구독형 도시락에서 병원성 세균 검출,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4.16
3364 구명조끼, 금주 등 국립공원 물놀이 안전수칙 준수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0.07.10
3363 구성 불량으로 화재발생 우려 있는 Vevor 플라즈마 절단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3.09.07
3362 국내 상장 역외지주사의 개별 재무현황에 유의하여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0.11.04
3361 국내 식품 사용 금지 성분 검출된 DHEA Complex For Women 해외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0.11.23
3360 국내 안전검사 받지 않은 미인증 가스랜턴 판매중단 및 재고폐기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1.12
3359 국내 오픈마켓 내 해외 사업자와의 거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0.07.31
3358 국내 유통 수산물의 동물용의약품 잔류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4.01
3357 국내 천연비누 천연성분 함량, 해외 인증기준에 못 미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8.08.17
3356 국내 플러그 기준에 부적합한 충전기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8.30
3355 국내․외 대규모 축제 전후 엠폭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06.20
3354 국내결혼중개 서비스 계약 해지 거부·위약금 과다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10.25
3353 국내유통 음료류 벤젠으로 인한 위해 우려 없어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02.28
3352 국립공원 사망사고 절반은 심장돌연사, 가을철 산행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7.09.29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