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지난 8월에 내린 강수로 농업용수 가뭄은 대부분 해소되었으나, 대구·전남·경북 일부지역에서의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은 11월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9월 가뭄 예·경보를 통해 밝혔다.

농업용수 가뭄은, 8월 강수의 영향으로 전국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65%)은 평년(75%)의 87% 수준으로 상승되었으나, 남부지방은 강수량이 부족하여 울산·전남·경북·경남 일부지역에서 주의단계가 지속되고 있다. 영농이 끝나는 10월에도 울산·전남·경북·경남지역 중 9개 시군에서, 11월에는 울산·전남·경남지역 중 8개 시군에서 주의단계가 전망되어, 내년 영농기에 대비하여 저수지 물채우기, 용수원개발 등 농업용수 확보대책이 요구된다.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은, 전국 다목적댐 평균 저수율(59.3%)은 예년(57.3%)과 비슷한 수준이나, 여름철 중부지방에 집중된 강수영향과 달리 남부지방에 있는 댐은 저수량이 적은 상황이다. 9월 현재 저수율이 낮은 운문댐 등을 수원(水源)으로 하는 대구·충남·전남·경북지역 16개 시군은 심함단계이며, 광주·전남·경북·경남 및 제주지역 19개 시군은 주의단계이다. 10월 강수량은 예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되며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심화되고 있는 가뭄 해갈에는 다소 부족할 것으로 보이며, 대구·전남·경북지역 8개 시군은 심함단계, 광주·충남·전남·경남 및 제주지역 22개 시군은 주의단계로 전망된다. 11월 강수량은 예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적을 것으로 대구·전남·경북지역 8개 시·군은 심함단계이며, 광주·전남·경남지역 12개 시·군이 주의단계로 전망됨에 따라 앞으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년도 용수공급을 위해 적극적인 용수확보 노력이 필요하다.

기상가뭄은, 최근 6개월(3월~8월) 강수량은 평년(981.5㎜)의 74%(724.3㎜) 수준으로 전국적인 기상가뭄은 없으나, 강수량의 지역 편차*로 남부 일부지방의 기상가뭄이 지속되고 있다. 9월 강수량은 평년(162.8㎜)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남·경남·제주지역의 가뭄은 일부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10월부터는 강수량*이 적은 시기로 접어들어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기상가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물 부족이 우려되는 가뭄 주의단계 이상인 지역을 중심으로 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8월 24일 제9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의결된 ‘가뭄대응 종합대책’의 후속조치로 다음 해 범정부 가뭄종합대책을 10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하천수나 담수호 등 가용 수자원을 활용하여 저수지 물채우기와 관정 등 용수원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내년 봄 영농기 물 부족에 대비한 선제적인 용수확보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실수요량 공급 위주의 댐 용수 비축체계를 지속 유지하고,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단계별 철저한 긴축운영 및 대체공급 등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보령댐 및 주암댐·합천댐·밀양댐은 지속적인 강우 부족에 대비하여 인근 수원(水源)과 연계운영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은“10월부터는 평년 강수량이 적은 시기이므로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댐·저수지의 선제적 용수감량 등을 통해 용수를 비축하고 용수공급체계 조정 검토 등 장기 가뭄에 철저히 대처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7-09-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54 「폭염 인명피해 판단 지침」 마련, 폭염 피해자 지원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3 249
13853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지방세법」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7 42
13852 「착한 임대인 세액공제」 공제기간 연장 및 공제율 상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5 209
13851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12월 10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9 192
13850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시행령」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0 70
13849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1월 15일(화) 개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0 231
13848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1월 15일(수) 개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9 209
13847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1월 15일(월)부터 개통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1 210
13846 「도로교통법」 검색으로 ‘어린이보호구역’그림도 한눈에 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6 129
13845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 11월 30일까지 꼭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8 78
13844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 신청은 1월 14일까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1 73
13843 「2023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안)」에 대한 고시 전(前) 가격 열람 및 의견 제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8 82
13842 「2019년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 승인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3 210
13841 "일상 생활에서 금융개혁을 체감" 할 수 있도록 Payinfo에서 '은행권 계좌이동서비스'가 시작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2 384
13840 "보이스피싱 이제 인공지능으로 잡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8 19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