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비상통화장치 연결 안되고, 안전장치 고장으로 손끼임 우려 높아 -

장애인·고령자·어린이 등 교통약자를 위해 설치된 육교 승강기의 관리가 부실하고 출입문 안전성에도 문제가 많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주요 5개 도시(서울·경기·부산·대전·광주) 육교 승강기 63대를 대상으로 한 안전실태조사 결과 밝혀졌다.

비상호출에 무응답, 승강기 검사합격증명서 미부착 등 관리·감독 강화 필요

육교 승강기 63대 중 4대(6.3%)는 고장으로 운행이 정지되어 있었고, 내부 확인이 가능한 61대 중 22대(36.1%)는 비상호출버튼을 눌러도 응답하지 않아 승강기 갇힘 사고 등 비상상황에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1대 중 11대(18.0%)는 승강기 검사합격증명서가 부착되지 않았거나 검사 유효기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육교 승강기 절반은 문 닫힐 때 센서 작동 안돼 손끼임 사고 우려

59대(고장난 승강기 4대 제외)를 대상으로 문이 닫힐 때 어린이 손 모형을 넣어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약 절반(29대, 49.2%)에 해당하는 승강기는 광감지식 개폐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모형 손이 낀 채로 문이 닫혔다.

광감지식 개폐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29대를 대상으로 승강기 문이 닫힐 때 안전 자동 되열림장치가 작동하는지 승강기 내부에서 조사한 결과, 안쪽 문에 손가락(검지부터 새끼손가락까지 대략 3~4cm)이 끼였고, 이 중 28대(96.6%)는 문이 다시 열리지 않고 그대로 운행돼 심각한 안전사고로 연결될 위험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어린이 동반 탑승시에는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보호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 제2조 제1항 관련
[별표1] ‘이동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

광감지식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으로부터 0.3미터 이상 1.4미터 이내에 있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하고, 사람이나 물체가 승강기문의 중간에 끼인 경우 문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멈추고 다시 열리는 되열림장치를 설치해야 함.

장애인을 위한 점형블록 설치 및 음성안내 미흡

63대 중 과반 이상인 42대(66.7%)*는 점형블록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설치되었어도 파손되거나 잘못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었다.

* 점형블록 미설치 32대(50.8%), 파손 또는 잘못된 위치에 설치 10대(15.9%)

59대(고장난 승강기 4대 제외) 중 14대(23.7%)는 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가 나오지 않았다. 이중 승강기 48대는 타고 내리는 방향이 달랐으나 해당 내용을 알리고 주의를 촉구하는 음성이 나오는 곳은 한군데도 없어 시각장애인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았다.

또한, 63대 중 9대(14.3%)는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접근하기 어렵게 승강기 앞에 맨홀, 기둥 등이 설치되거나 단차가 심해 넘어질 위험이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육교 승강기 안전관리·감독 강화 ▲미흡한 시설 보완 및 지속적인 유지?점검 등의 조치를 요청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은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 육교승강기 777대를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8.23~8.28)했으며, 문제가 됐던 비상통화장치 및 문닫힘 안전장치, 검사합격증 부착상태 등을 개선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7-09-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11 씰리침대 라돈 검출 관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9.02.14
2710 Arnott's 비스켓, 알레르기 유발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9.02.07
2709 Eternal ink 문신잉크(Lightening Yellow),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8.06.21
2708 겨울철 야영장…화재나 가스중독 사고 주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7.12.22
2707 나노 식품 및 화장품, 안전 관리·감독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7.12.13
2706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사과 차 및 초콜릿 캔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3.16
2705 SM기프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3.15
2704 당신의 소중한 재산을 노리는 유사수신 사기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2.02.03
2703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Sunnylife 목욕장난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0.04.14
2702 다가오는 겨울, 가스보일러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11.15
2701 Achva 타히니 소스,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01.31
2700 Boy Story LLC 인형, 삼킴으로 인한 질식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01.31
2699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4.03
2698 Dynamic 문신잉크(Black)에 발암성분이 포함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3.21
2697 유명 브랜드 사칭 해외직구 쇼핑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2.23
2696 작동 중 컵 분리로 절단 위험이 있는 Amazon Basics 믹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4.07
2695 에틸렌옥사이드가 초과 검출된 Lemonilo 볶음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4.05
2694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이 있는 Fabuloso 다목적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4.04
2693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3.21
2692 배터리 팩의 과열 및 발연으로 화재 위험있는 Bissell 진공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3.13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