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비상통화장치 연결 안되고, 안전장치 고장으로 손끼임 우려 높아 -

장애인·고령자·어린이 등 교통약자를 위해 설치된 육교 승강기의 관리가 부실하고 출입문 안전성에도 문제가 많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주요 5개 도시(서울·경기·부산·대전·광주) 육교 승강기 63대를 대상으로 한 안전실태조사 결과 밝혀졌다.

비상호출에 무응답, 승강기 검사합격증명서 미부착 등 관리·감독 강화 필요

육교 승강기 63대 중 4대(6.3%)는 고장으로 운행이 정지되어 있었고, 내부 확인이 가능한 61대 중 22대(36.1%)는 비상호출버튼을 눌러도 응답하지 않아 승강기 갇힘 사고 등 비상상황에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1대 중 11대(18.0%)는 승강기 검사합격증명서가 부착되지 않았거나 검사 유효기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육교 승강기 절반은 문 닫힐 때 센서 작동 안돼 손끼임 사고 우려

59대(고장난 승강기 4대 제외)를 대상으로 문이 닫힐 때 어린이 손 모형을 넣어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약 절반(29대, 49.2%)에 해당하는 승강기는 광감지식 개폐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모형 손이 낀 채로 문이 닫혔다.

광감지식 개폐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29대를 대상으로 승강기 문이 닫힐 때 안전 자동 되열림장치가 작동하는지 승강기 내부에서 조사한 결과, 안쪽 문에 손가락(검지부터 새끼손가락까지 대략 3~4cm)이 끼였고, 이 중 28대(96.6%)는 문이 다시 열리지 않고 그대로 운행돼 심각한 안전사고로 연결될 위험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어린이 동반 탑승시에는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보호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 제2조 제1항 관련
[별표1] ‘이동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

광감지식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으로부터 0.3미터 이상 1.4미터 이내에 있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하고, 사람이나 물체가 승강기문의 중간에 끼인 경우 문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멈추고 다시 열리는 되열림장치를 설치해야 함.

장애인을 위한 점형블록 설치 및 음성안내 미흡

63대 중 과반 이상인 42대(66.7%)*는 점형블록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설치되었어도 파손되거나 잘못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었다.

* 점형블록 미설치 32대(50.8%), 파손 또는 잘못된 위치에 설치 10대(15.9%)

59대(고장난 승강기 4대 제외) 중 14대(23.7%)는 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가 나오지 않았다. 이중 승강기 48대는 타고 내리는 방향이 달랐으나 해당 내용을 알리고 주의를 촉구하는 음성이 나오는 곳은 한군데도 없어 시각장애인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았다.

또한, 63대 중 9대(14.3%)는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접근하기 어렵게 승강기 앞에 맨홀, 기둥 등이 설치되거나 단차가 심해 넘어질 위험이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육교 승강기 안전관리·감독 강화 ▲미흡한 시설 보완 및 지속적인 유지?점검 등의 조치를 요청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은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 육교승강기 777대를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8.23~8.28)했으며, 문제가 됐던 비상통화장치 및 문닫힘 안전장치, 검사합격증 부착상태 등을 개선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7-09-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12 오폐수처리장.폐기물처리시설 작업 중 화재·폭발사고 증가에 따른 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20
2911 인플루엔자 발생 증가, 아동 및 청소년 예방수칙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7.12.15
2910 가을 수확기 안전수칙 준수로 농기계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8.10.25
2909 야생 버섯 절대 먹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0.10.22
2908 증권사 전산장애 발생시 반드시 3가지를 기억하세요!(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6.09
2907 고령소비자, 이동전화서비스 불완전판매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16
2906 작은 부품 분리되어 질식 위험 있는 목욕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4.04
2905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AllMeInGeld 유아용 잠옷(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5.03
2904 라벨 미표기된(우유) 성분 함유한 Two bears 귀리 우유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5.04
2903 가족, 지인 사칭 「메신저피싱」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5.13
2902 쉐프의반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08
2901 포장 비닐 및 소형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부활절 달걀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13
2900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ifriend, Meirenpeizi - Zhijia Jewelry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13
2899 물놀이,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르신도 주의해야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18.07.19
2898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ee Wooden Toy 목재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04.14
2897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07.01
2896 비상시 이렇게 하면 안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12.02
2895 OCTOBERMAY INTL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1.28
289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Pumpkin Pie Spice 호박파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1.29
2893 임야화재 절반이 2월에서 4월 사이 집중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2.18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