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레지오넬라증 신고 증가 추세 지속, 전년대비 57.9% 증가
◇  50세 이상, 당뇨, 암, 만성폐질환 등이 있는 경우 주로 발생
◇ 병원 및 공동주택 온수, 목욕탕 욕조수 등 소독᭼관리 철저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7월부터 8월까지 레지오넬라증 신고건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하반기 중 지속적인 발생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병원 및 공동주택 온수, 목욕장 욕조수 등 레지오넬라균이 증식하기 쉬운 환경에 대해 철저한 관리를 당부하였다.
    * 2017년 8월 31일 기준 신고건수 120건, 전년 동기간 76건 대비 57.9% 증가

(2017년 8월 31일 기준 잠정통계)

< 연도별 월별 레지오넬라증 신고건수 (2011년∼2017년8월31일) >

 ○ 레지오넬라증은 냉각탑수, 건물의 급수시설, 목욕탕 등 인공으로 만들어진 물에서 증식한 레지오넬라균이 에어로졸을 통해 호흡기로 흡입되어 발생하며,

 ○ 레지오넬라 폐렴 발생 시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50세 이상, 만성폐질환자, 면역저하자, 당뇨, 암 등 만성질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 레지오넬라 폐렴의 치명률은 약 10%,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치명률 증가

□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보고된 레지오넬라증 사례조사서 266건을 대상으로 국내 레지오넬라증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 남성이 190건(71.4%), 50세 이상이 218건(82.0%), 기저질환(당뇨, 암, 만성폐쇄성폐질환, 자가면역질환 등)이 있는 경우가 214건(80.5%)이므로,

 ○ 레지오넬라증 고위험군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병원, 요양시설, 목욕탕 등)에서는 더욱 철저한 환경관리가 필요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레지오넬라증 예방을 위해,

 ○ 하절기에 가동하는 냉각탑 뿐 아니라, 연중 사용하는 병원 및 공동주택 온수, 목욕탕 욕조수 등 레지오넬라균이 증식하기 쉬운 환경에 대해 정기적인 청소᭼소독, 수온 및 소독제 잔류 농도 관리 등 철저한 환경관리를 당부하였다.
    * 레지오넬라균은 25∼45℃에서 번식하고 37∼42℃에서 급증할 수 있음

  

◀ 레지오넬라증 예방을 위한 환경관리 ▶

 

   의료기관
   ․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환자 환경은 균이 검출되지 않도록 공급수 관리 강화
   ․ 호흡기 치료기구 등 사용 시 멸균수 사용
   ․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원내 원인불명폐렴 환자 조사 및 수계시설 점검
   건물 급수시설, 목욕장 욕조수
   ․ 수도법 등 관련 규정에 따른 공급수 관리 강화 (저수조 청소, 정기점검 등)
   ․ 급수관 소독 및 급수 수온 관리 (냉수 20℃이하, 온수 50℃이상)
   ․ 목욕장 욕조수 정기적인 청소·소독 및 오염 상태 모니터링
   냉각탑
   ․ 냉각탑의 주기적인 청소 및 소독
   ․ 냉각탑은 건물 공기 흡입구, 출입구, 공공장소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

 


[ 보건복지부 2017-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53 재료 결함으로 베임 우려 있는 Mammut 눈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0 2023.04.20
3452 재난지원금 및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정부의 자금지원을 빙자한 대출사기 문자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1.08.06
3451 재감염 및 60대 이상 환자비중 증가 따른 주의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8.16
3450 장치 결함으로 낙상 위험이 있는 Edelrid 등산 장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2.20
3449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에 따른 예방,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1.06.08
3448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예방 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2 2020.06.22
3447 장난감으로 인한 가정 내 어린이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0.04.23
3446 장난감 안전사고로부터 우리 아이를 지켜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20.06.10
3445 장난감 공(Flashing Spiky Ball), 부품 떨어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8.05.17
3444 장기렌터카, 다른 렌탈 상품보다 대여료 연체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8.06.22
3443 잠수시간 오표시로 감압증 위험 있는 Aqualung 다이브 시계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3.04.04
3442 잠금핀 풀림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는 Little Tikes 유아용 보행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9.28
3441 잠금탭이 분리되어 손 부상 위험 있는 Mueller Austria 양파용 채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1.01.27
3440 잠금장치 열릴 수 있는 Sea to summit 코펠 냄비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1.27
3439 잠금장치 불량인 제트스키 승객용 좌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2.06
3438 잠금장치 고장으로 내부 자석을 삼킬 위험있는 YETI 아이스쿨러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5.12
3437 잠금 단추가 쉽게 분리되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있는 버켄스탁(Birkenstock) 유아신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1.10.14
3436 잠금 기능에 결함이 있는 반려견용 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2.20
3435 잘못된 의약품 정보에 절대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6 2020.01.21
3434 잘못된 라벨 부착된 The North Face Eco Trail Bed -7 침낭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2.18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