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레지오넬라증 신고 증가 추세 지속, 전년대비 57.9% 증가
◇  50세 이상, 당뇨, 암, 만성폐질환 등이 있는 경우 주로 발생
◇ 병원 및 공동주택 온수, 목욕탕 욕조수 등 소독᭼관리 철저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7월부터 8월까지 레지오넬라증 신고건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하반기 중 지속적인 발생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병원 및 공동주택 온수, 목욕장 욕조수 등 레지오넬라균이 증식하기 쉬운 환경에 대해 철저한 관리를 당부하였다.
    * 2017년 8월 31일 기준 신고건수 120건, 전년 동기간 76건 대비 57.9% 증가

(2017년 8월 31일 기준 잠정통계)

< 연도별 월별 레지오넬라증 신고건수 (2011년∼2017년8월31일) >

 ○ 레지오넬라증은 냉각탑수, 건물의 급수시설, 목욕탕 등 인공으로 만들어진 물에서 증식한 레지오넬라균이 에어로졸을 통해 호흡기로 흡입되어 발생하며,

 ○ 레지오넬라 폐렴 발생 시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50세 이상, 만성폐질환자, 면역저하자, 당뇨, 암 등 만성질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 레지오넬라 폐렴의 치명률은 약 10%,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치명률 증가

□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보고된 레지오넬라증 사례조사서 266건을 대상으로 국내 레지오넬라증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 남성이 190건(71.4%), 50세 이상이 218건(82.0%), 기저질환(당뇨, 암, 만성폐쇄성폐질환, 자가면역질환 등)이 있는 경우가 214건(80.5%)이므로,

 ○ 레지오넬라증 고위험군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병원, 요양시설, 목욕탕 등)에서는 더욱 철저한 환경관리가 필요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레지오넬라증 예방을 위해,

 ○ 하절기에 가동하는 냉각탑 뿐 아니라, 연중 사용하는 병원 및 공동주택 온수, 목욕탕 욕조수 등 레지오넬라균이 증식하기 쉬운 환경에 대해 정기적인 청소᭼소독, 수온 및 소독제 잔류 농도 관리 등 철저한 환경관리를 당부하였다.
    * 레지오넬라균은 25∼45℃에서 번식하고 37∼42℃에서 급증할 수 있음

  

◀ 레지오넬라증 예방을 위한 환경관리 ▶

 

   의료기관
   ․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환자 환경은 균이 검출되지 않도록 공급수 관리 강화
   ․ 호흡기 치료기구 등 사용 시 멸균수 사용
   ․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원내 원인불명폐렴 환자 조사 및 수계시설 점검
   건물 급수시설, 목욕장 욕조수
   ․ 수도법 등 관련 규정에 따른 공급수 관리 강화 (저수조 청소, 정기점검 등)
   ․ 급수관 소독 및 급수 수온 관리 (냉수 20℃이하, 온수 50℃이상)
   ․ 목욕장 욕조수 정기적인 청소·소독 및 오염 상태 모니터링
   냉각탑
   ․ 냉각탑의 주기적인 청소 및 소독
   ․ 냉각탑은 건물 공기 흡입구, 출입구, 공공장소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

 


[ 보건복지부 2017-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73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12.20
1472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3.12.04
1471 마감처리 불량에 따라 손 열상 위험있는 다이소 'NEW 양푼이'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3 2017.07.10
1470 린트(Lindt) 초콜릿, 알레르기 성분 표시 미흡하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94 2020.05.21
1469 리퍼타운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7.19
1468 리튬전지로 작동하는 휴대용 선풍기, 인증정보 확인 후 구입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5 2017.05.19
1467 리튬이온배터리 오염돼 발열 및 화재 위험 있는 수소수 제조기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10
1466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 위험 있는 Ancheer 전기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3.04.07
1465 리튬 이온 배터리 불량으로 발열 및 발연 우려 있는 파이오니아 블랙박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1.06.24
1464 리커머스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7.12
1463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가 검출된 햄 회수 알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19.02.07
1462 리슈만편모충증 2년 만에 해외유입 감염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07
1461 리빙꿀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7.13
1460 리본에 목졸림 위험 있는 유아용 텐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4.02.20
1459 리벳 파손으로 사용자 부상 위험 있는 예초기 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0.11.23
1458 리딩방 로또 환불을 빙자한 코인 매수 제안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4.11
1457 르노삼성자동차㈜ SM6·SM7 차량, 트렁크 룸 어퍼 판넬 무상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8.07.18
1456 르노삼성자동차(주) XM3 차량 발전기 커버 미장착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05.22
1455 르노삼성자동차(주) New SM3 차량 윈도우 작동 시 소음 발생 무상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93 2016.12.02
1454 롯데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6.30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