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번 달(9월)에는 등산 및 자전거 사고에 특히 유의해야 할 것 같다. 아울러 태풍, 호우 등에도 각별한 대비가 요구된다.

행정안전부는 9월에 중점 관리하는 재난안전사고 유형으로 태풍, 호우, 지진, 등산 사고, 자전거 사고, 농기계 사고를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 / 행정안전부)상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행정안전부는 중점 관리 유형을 관계 부처, 지자체와 공유하여 예방적 안전관리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유형별 행동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 9월에 월평균 보다 사고 발생건수 혹은 사망자수가 높은 유형 ** 트윗 건수

(자연재해) 9월에 주의해야 할 자연재해는 태풍과 호우이며,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또한 작년에 발생한 9. 12. 지진을 계기로 지진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 9월에는 평균 4.9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우리나라에 0.7개 정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최근 10년간 총 5건의 태풍으로 24명이 사망하고 7,049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호우) 기상청에서는 9월 중순까지 대기가 불안정해 집중호우가 잦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2010년(9.21~22)에는 집중호우로 광화문을 비롯한 도심이 침수되는 등 2명이 사망하고 593억 원의 물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각 지자체는 저지대 침수에 대비하여 배수펌프 작동여부 등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재난 취약지역(절개지, 산사태위험지역, 하천변 도로·주차장 등)에 대한 점검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지진) 9월은 작년 경주에서 큰 지진이 발생했던 달로 지진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어느 때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이달 11일~15일을‘지진 안전주간’으로 정하고지진 대비 사전 체크리스트를 배포하는 등 대국민 행동요령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국민들은 안전디딤돌 앱을 통하여 미리 주변 대피소를 확인하고 지진 행동 요령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사회재난) 9월은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계절로 등산 사고, 자전거 사고, 농기계사고에 주의하여야 한다.

(등산사고) 9월은 등산 사고 사망자수가 연중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시기다. 주요 사고 원인은 실족·추락(32.9%)과 조난(31.8%)이다. 국립공원공단 및 지자체는 탐방객이 많이 방문하는 주요 산들을 중심으로 사고 예방 수칙 홍보 등의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사고건수) 월평균552.3건 9월823.2건 (사망자) 월평균9.76명 9월12.6명

(농기계사고) 본격적인 농작물 수확철로 농기계 사용이 크게 증가하는 만큼 농기계 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농기계는 별다른 안전장치가 없어 교통사고 시 치사율이 일반차량에 비해 8배 이상(농기계 16.8%, 일반차량 2.2%) 높다. 경찰청 및 지자체는 음주운전 방지 등 사고 예방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사고건수) 월평균125.7건 9월171.6건 (사망자) 월평균9.2명 9월11.8명

(자전거사고) 9월은 1년 중 자전가 사고가 세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달이다. 특히 자전거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59%를 차지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안전 지도 및 교육이 필수다.

(사고건수) 월평균481.4건 9월680.2건

류희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9월에 빈발하는 재난안전사고에 대해 각 부처와 지자체가 중점관리해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며, “국민들께서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들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7-09-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91 제주지역 항공여객운송서비스 관련 소비자 불만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6 2017.10.20
590 방문판매 교육서비스, 위약금 과다 등 계약해지 관련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7.10.20
589 단풍철 산에 갈 때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7.10.19
588 어린이가 사용하는 핑거페인트, 안전성에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7.10.17
587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함께 대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10.17
586 어린이 칫솔, 모 탈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7.10.13
585 가을 지역축제 안전수칙 반드시 지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17.10.12
584 긴급재난문자 수신 안 되는 휴대전화, ‘안전디딤돌’ 앱 설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7 2017.10.12
583 해외여행 다녀오셨나요, 감염병이 의심되면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7.10.10
582 가을 나들이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7.10.10
581 10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7.10.10
580 가을철, 조리식품 보관주의 등 식중독 예방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17.10.10
579 해외제조업소 현지실사 결과에 따른 필리핀 스낵과자 수입중단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10.10
578 10~12월 보행자 교통사망사고 급증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4 2017.10.10
577 첨단 수법으로 무장한 신종 보이스피싱 유의,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7.10.10
576 추석 연휴기간 해외여행객 안전 조치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17.09.29
575 이카린 성분 검출 미국산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7.09.29
574 국립공원 사망사고 절반은 심장돌연사, 가을철 산행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7.09.29
573 식품에 소비자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표시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7.09.29
572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09.28
Board Pagination Prev 1 ...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