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구 종류·크기, 배출예정일·장소 등이 포함된 신청서를 작성하고 9천원을 납부한 후 신고필증을 발급 받았다. 그리고 다시 자택으로 돌아와 옷장에 신고필증을 부착하고 집 근처에 있는 지정 배출장소까지 옷장을 옮겼다. 김 씨는 낡은 옷장 하나를 버리기 위해 쓴 시간과 노력을 개선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얼까 생각했다.

◈ (사례2) 은평구 생활폐기물 수거업체 직원 박 씨는 평소 정해진 수거 방식에 따라 수거 작업을 진행했다. 주민들이 배출한 폐기물 위치정보를 미리 알 수 있다면 조금 더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행정안전부는 가정용 대형생활폐기물 배출 시 발생하는 주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행정서비스 개선에 착수한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와 서울시 은평구(구청장 김우영)는 오는 31일 ‘17년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지원사업’을 통해 ‘인공지능 객체인식 기반 대형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앞으로는 대형생활폐기물 배출에 관한 신청·분류·과금의 단계를 스마트폰 사진촬영 한번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가정용 대형생활폐기물 처리는 1995년 재활용품 분리수거 제도를 실시한 이래로 현재까지 큰 변화 없이 직접 주민센터 혹은 지정판매처를 방문하여 스티커를 발급 받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본 사업을 통해, 가구·소파 등의 대형생활폐기물을 버리고 싶은 주민들이 스마트폰으로 대형생활폐기물을 촬영만 하면 인공지능이 폐기물의 종류를 자동 인식하여 요금을 알려주게 되고, 요금은 핀테크를 통해 몇 번의 클릭만으로 결제할 수 있어 간단하게 대형생활폐기물 폐기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수거업체는 주민이 배출한 대형생활폐기물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수거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서울시 은평구 대상 시범 사업을 통해, 서비스 모델 검증·보완 후 전 지자체로 확산할 계획이며, 아울러 인공지능 기계학습에 활용된 사진 데이터를 민간에 무료로 개방하여 시각 인공지능 기술 발전 및 시장 창출에 기여할 예정이다.

장영환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앞으로도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한 주민밀착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공공부문 선도를 통한 4차 산업혁명 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7-08-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45 안전신문고, 생활불편신고 앱과 통합으로 신고서비스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7 33
5944 로카세린 성분 의약품 판매.처방.조제 중지 및 회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7 33
5943 '아조루빈 검출' 수입 석류과즙농축액 등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30 33
5942 의료기기 무료체험방 특별 지도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33
5941 2020.1.1.일부터 닭·오리·계란에 대해 축산물 이력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7 33
5940 사회복무요원 ‘인사행정 이의신청제도’ 도입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3 33
5939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33
5938 전국 보건소에서 ‘사전연명의료 거부신청’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33
5937 어린이 조리.판매업소 및 학교 위생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6 33
5936 내년에 부패·공익신고자 보호·보상, 공공재정환수 강화 등에 ‘예산탄력’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0 33
5935 데이트폭력 집중신고기간(7월~8월) 운영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6 33
5934 19년 1~7월 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동기 대비 10.9%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33
5933 식약처, 인공유방 부작용 예방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4 33
5932 장기점포 계약갱신 가이드라인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33
5931 이재민을 위한 구호물품은 접수처로 보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1 33
Board Pagination Prev 1 ...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