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뜨거운 여름 햇볕, 휴가철 야외활동 시「일광화상」주의

일광화상(sunburn) ☞ 햇빛 노출로 인해 피부가 붉어지거나 부어오르다 심하면 물집이 생기고 오한, 발열 등 전신증상이 나타나는 질환. 해당 부위에 따가움, 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남

여름철, 특히 8월 일광화상 환자가 연평균 3.3배로 휴가철에 집중 발생

물집을 억지로 터뜨리지 말고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후유증 방지에 도움

연중 외출 및 야외활동 시 자외선 차단으로 예방하는 것이 중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일광화상(L55)’질환의 건강보험 진료인원은 2014년 8,720명으로 인구 10만명당 약 17명이 진료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여성이 전체 진료인원의 52.7%(4,597명)으로 남성에 비해 약 1.1배 더 많았다.

<표 1> ‘일광화상(L55)’ 건강보험 진료인원 현황(2014)

‘일광화상(L55)’ 건강보험 진료인원 현황(2014)
구 분 전체 10대 미만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이상
진료인원 (명) 전체 8,720 810 925 1,897 2,143 1,211 816 499 419
남성 4,123 417 487 850 1,043 592 345 223 166
여성 4,597 393 438 1,047 1,100 619 471 276 253
10만명당 진료인원 (명) 전체 17 18 16 28 27 14 10 11 10
남성 16 18 16 24 26 13 9 10 10
여성 18 23 29 53 39 18 13 12 13

연령별로 20~30대 환자가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 가량이며 30대를 정점으로 이후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나타낸다. 2014년 기준 20~30대 환자의 비율은 46.3%이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다소 많았다.

월별 건강보험 진료인원 변화를 살펴보면 여름에 가장 환자가 많은데 특히 5월부터 8월까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5월과 7월은 전월 대비 약 2배로 환자가 증가하며 전체 진료인원 수가 가장 많은 달은 8월(2,531명)로 가장 적은 달인 1월(225명)에 비해 11.2배, 연평균 진료인원 수에 비해 3.3배 더 많았다.

<표 2> ‘일광화상(L55)’ 월별 건강보험 진료인원(2014)

‘일광화상(L55)’ 월별 건강보험 진료인원(2014)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진료인원 (명) 전체 225 297 350 476 838 1,076 1,981 2,531 620 332 235 233
남성 74 114 152 216 365 518 964 1,326 266 143 94 89
여성 151 183 198 260 473 558 1,017 1,205 354 189 141 144

※주. 수진자가 월별로 진료시 각각 진료인원으로 산정

2014년 기준‘일광화상(L55)’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3억여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65.9%를 외래 진료비가 차지했고, 약제비(29.7%), 입원 진료비(4.4%)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5> 진료형태별 ‘일광화상(L55)’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2014)

진료형태별 ‘일광화상(L55)’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2014)
구분 전체 10대 미만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이상
총진료비 (천원) 전체 306,894 21,941 28,981 63,771 75,083 43,455 31,945 15,991 25,727
입원 13,398 0 355 657 1,697 631 173 0 9,884
외래 202,275 16,576 19,637 42,314 50,074 29,436 21,809 11,604 10,824
약국 91,222 5,365 8,989 20,800 23,312 13,388 9,963 4,387 5,019

※주.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김수민 교수는‘일광화상(L55)’질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원인 및 특징

(정의) 일광화상은 과도한 자외선 노출에 대한 피부의 염증반응을 말한다.

(원인) 일광화상을 유발하는 요인은 주로 자외선 B(290~320㎚)이며, 햇빛에 포함된 자외선 A(320-400㎚)도 어느 정도 기여한다. 햇빛이 강한 맑은 날에는 햇빛이 약 30분 정도 노출되는 것으로도 일광화상을 입을 수 있다.

주요 증상 및 관련 질환

햇빛을 받은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고(발적) 화끈거리며 따갑게 느껴진다. 부어오르거나(부종) 통증, 심하면 물집이 생기고 피부가 벗겨질 수 있으며 드물지만 오한, 발열, 메스꺼움, 어지러움, 맥박 증가(빈맥), 저혈압 등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치료 및 관리

일광화상은 1도 및 2도 화상에 준하여 치료를 한다.

(응급처치 요령) 피부 온도를 낮추기 위해 해당 부위를 시원한 물에 담그거나, 시원한 물이 담긴 욕조에 몸을 담근다. 바로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얼음찜질이나 오이, 감자 등을 갈아서 얹어두는 것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통증이 심한 경우는 시판되는 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다. 통증이 어느 정도 가시고 나면 알로에 젤(gel)이나 보습제를 해당 부위에 발라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고, 물집이 생긴 경우 최대한 터뜨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병원 치료가 필요한 증상) 물집이 터진 경우나 피부의 껍질이 벗겨지는 경우는 절대로 일부러 더 벗겨내지 말고 피부과에서 진료를 받도록 한다. 증상이 심한 경우는 스테로이드 외용제를 사용할 수 있고,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를 복용하는 치료를 하기도 한다.

예방요령 및 주의사항

일광화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소 일광화상의 주요 원인인 자외선 B가 가장 강한 시간(오전 10시~오후 2시)에는 가급적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외출 시 챙이 달린 모자나 소매가 긴 옷으로 직접 햇빛이 닿는 것을 막는 게 좋다. 또한 햇빛 노출 20분 전에 일광차단제(SPF 30, PA+ 이상)를 충분히 바르되, 차단제의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3시간마다 다시 발라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땀을 흘렸거나 야외에서 수영한 다음에는 덧바르는 것이 좋다.

(주의사항) 일광화상은 해수욕장이나 수영장 등 여름철 휴가의 영향으로 주로 여름에 발생하지만, 모래, 물, 눈, 얼음 등에 의해서도 상당량의 자외선이 반사될 수 있어 이에 대해서도 평소 주의가 필요하다.

 

[보건복지부 2015-07-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58 저소득층 범죄피해(가구) 유·청소년에게 스포츠 강좌 이용권 지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80
3157 올 6월말 현재, 자동차등록대수 2천 55만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80
3156 이색 체험하기 좋은 농촌체험마을 10선 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80
3155 ‘에취! 알레르기성 비염’…봄보다 가을에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80
3154 모기업이 자회사를 실질적으로 운영했다면 자회사 근로자 퇴직금도 지급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9 80
3153 추석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80
3152 워킹맘의 자녀예방접종을 함께 격려해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5 80
3151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직접 평가해 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9 80
3150 부모님들께 불편이 없도록 민간어린이집 휴원 적극 대응 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7 80
3149 커피.바나나에 대한 농약 잔류허용기준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9 80
3148 주민번호 수집 허용 자치법규 일제히 손본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6 80
3147 겨울철 다소비 수산물 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9 80
3146 시중 유통 형광등제품 화재·감전 우려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9 80
3145 대리점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4 80
3144 건강수명 75세 위해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강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9 80
Board Pagination Prev 1 ...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