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공기 중 꽃가루 농도, 4월과 5월에 이어 9월에 세 번째로 농도 높아, 가을철 알레르기 질환자는 각별한 주의 필요

▷ 환삼덩굴이 8월 말부터 9월 중순까지 가을철 잡초 중에 가장 많은 꽃가루 내뿜어 주요 알레르기 원인으로 지목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인하대병원 환경보건센터(센터장 임대현)와 함께 서울, 인천, 수원 등 수도권 지역의 2015년도 꽃가루 농도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알레르기 비염 환자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8월 말부터 10월까지 공기 중 꽃가루의 농도가 높아지고 알레르기 비염 환자도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조사 지역: 서울(성북구, 영등포구), 인천(부평구, 연수구), 수원(팔달구)

연구진의 분석 결과, 2015년도를 기준으로 수도권 지역 꽃가루 농도는 4월에 15,275grains/㎥, 5월에 13,794grains/㎥으로 절정을 보이다가 점차 농도가 낮아졌으며, 8월에 2,379grains/㎥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9월에는 연중 세 번째로 높은 9,556grains/㎥을 기록했다. 10월 농도는 789grains/㎥이며, 이후 감소하기 시작했다.

※ grains/㎥(그렌스 퍼 세제곱미터): 공기 중 꽃가루 농도 단위
 
같은 기간 알레르기 비염 환자 수는 3월 105만 명, 4월 104만 명, 5월 90만 명을 보였으며, 7월에는 53만 명으로 낮아졌으며, 8월부터 환자 수가 늘기 시작하면서 9월에는 129만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구진은 3월, 4월, 5월 등 봄철에 비해 9월에 알레르기 환자수가 많은 이유에 대해 봄철에는 소나무와 은행나무 등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꽃가루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나, 가을철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가루 농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가을철에 날리는 꽃가루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성이 더 강한지는 추가적인 역학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가을철 꽃가루는 환삼덩굴, 쑥, 돼지풀 등 잡초 꽃가루가 대부분이며, 8월 중순부터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해 9월까지 높은 농도를 보였다.

2015년도 가을철을 기준으로 꽃가루 중 환삼덩굴이 48.4%, 2016년엔 54.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환삼덩굴 꽃가루가 날리는 기간은 2015년 60일, 2016년 72일로 나타났다.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한 날은 2015년의 경우 8월 9일부터, 2016년은 일주일 빠른 8월 3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부산, 인천, 광주, 경기, 충북 등 전국 5개 광역시·도에서 알레르기 비염 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 1만 2,836명을 대상으로 꽃가루 양성 반응 비율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환삼덩굴의 반응 비율이 11.1%로 가장 높았으며, 쑥은 8.7%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환삼덩굴이나 쑥 같은 식물은 도심은 물론 도시 근교의 산자락, 공터, 도로변, 하천 주변 등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잡초류다.

환경부는 꽃가루 알레르기 질환자의 경우 봄철 뿐만 아니라 가을철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꽃가루 알레르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오전에는 야외활동을 피하고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외출 후에는 옷을 털고 손, 발을 씻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좋으며, 병원에서 정확한 검사를 받고 증상을 예방하는 약물을 처방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기상청 누리집(http://www.kma.go.kr) '생활과 산업' 코너의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를 확인하거나, 인하대병원 환경보건센터 누리집(http://www.allergycenter.go.kr)에서 꽃가루에 대한 정보와 수도권 측정 현황을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환경부 2017-08-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2 안전기준 초과하는 E202 첨가제 함유해 리콜된 WuFuYuan 타피오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1.14
3151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된 M.Asam 파운데이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4
3150 성분 오표기된 CAC 아이라이너 펜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1.14
3149 성분 오표기된 CAC 아이브로우 펜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1.14
3148 성분 오표기된 CAC 블러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4
3147 전자몰 / JEONJAMALL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2.11.11
3146 해외 브랜드 노트북 A/S 관련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11.10
3145 동남아 방문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11.01
3144 가을철 야외작업자 “진드기”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10.31
3143 건설하도급거래 분쟁 및 피해 예방을 위한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10.31
3142 소비자원-가스안전공사, 헬륨가스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0.28
3141 가을 수확철,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26
3140 ATOR / 아또르 옵티칼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22.10.26
3139 가을철 야외활동 시, 쯔쯔가무시증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0.21
3138 으뜸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0.20
3137 샴푸 제조·판매 사업자에 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날 (알레르기 유발물질) 사용 중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1 2022.10.18
3136 후방 디스크 브레이크 구멍에 손가락 부상 위험 있는 UPPAbaby 유모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2.10.18
3135 일차방향족 아민 용출된 Quttin 국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0.18
3134 붕소 과다 검출된 유니콘 슬라임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10.18
3133 알러지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 성분 함유된 Jack Hope 향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10.18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