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공기 중 꽃가루 농도, 4월과 5월에 이어 9월에 세 번째로 농도 높아, 가을철 알레르기 질환자는 각별한 주의 필요

▷ 환삼덩굴이 8월 말부터 9월 중순까지 가을철 잡초 중에 가장 많은 꽃가루 내뿜어 주요 알레르기 원인으로 지목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인하대병원 환경보건센터(센터장 임대현)와 함께 서울, 인천, 수원 등 수도권 지역의 2015년도 꽃가루 농도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알레르기 비염 환자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8월 말부터 10월까지 공기 중 꽃가루의 농도가 높아지고 알레르기 비염 환자도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조사 지역: 서울(성북구, 영등포구), 인천(부평구, 연수구), 수원(팔달구)

연구진의 분석 결과, 2015년도를 기준으로 수도권 지역 꽃가루 농도는 4월에 15,275grains/㎥, 5월에 13,794grains/㎥으로 절정을 보이다가 점차 농도가 낮아졌으며, 8월에 2,379grains/㎥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9월에는 연중 세 번째로 높은 9,556grains/㎥을 기록했다. 10월 농도는 789grains/㎥이며, 이후 감소하기 시작했다.

※ grains/㎥(그렌스 퍼 세제곱미터): 공기 중 꽃가루 농도 단위
 
같은 기간 알레르기 비염 환자 수는 3월 105만 명, 4월 104만 명, 5월 90만 명을 보였으며, 7월에는 53만 명으로 낮아졌으며, 8월부터 환자 수가 늘기 시작하면서 9월에는 129만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구진은 3월, 4월, 5월 등 봄철에 비해 9월에 알레르기 환자수가 많은 이유에 대해 봄철에는 소나무와 은행나무 등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꽃가루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나, 가을철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가루 농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가을철에 날리는 꽃가루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성이 더 강한지는 추가적인 역학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가을철 꽃가루는 환삼덩굴, 쑥, 돼지풀 등 잡초 꽃가루가 대부분이며, 8월 중순부터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해 9월까지 높은 농도를 보였다.

2015년도 가을철을 기준으로 꽃가루 중 환삼덩굴이 48.4%, 2016년엔 54.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환삼덩굴 꽃가루가 날리는 기간은 2015년 60일, 2016년 72일로 나타났다.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한 날은 2015년의 경우 8월 9일부터, 2016년은 일주일 빠른 8월 3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부산, 인천, 광주, 경기, 충북 등 전국 5개 광역시·도에서 알레르기 비염 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 1만 2,836명을 대상으로 꽃가루 양성 반응 비율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환삼덩굴의 반응 비율이 11.1%로 가장 높았으며, 쑥은 8.7%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환삼덩굴이나 쑥 같은 식물은 도심은 물론 도시 근교의 산자락, 공터, 도로변, 하천 주변 등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잡초류다.

환경부는 꽃가루 알레르기 질환자의 경우 봄철 뿐만 아니라 가을철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꽃가루 알레르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오전에는 야외활동을 피하고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외출 후에는 옷을 털고 손, 발을 씻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좋으며, 병원에서 정확한 검사를 받고 증상을 예방하는 약물을 처방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기상청 누리집(http://www.kma.go.kr) '생활과 산업' 코너의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를 확인하거나, 인하대병원 환경보건센터 누리집(http://www.allergycenter.go.kr)에서 꽃가루에 대한 정보와 수도권 측정 현황을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환경부 2017-08-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49 불법 채권추심관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11.15
548 “일산화탄소 경보기 준비하고 환기구 확보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11.15
547 최근 4주간 쯔쯔가무시증 환자 5배 이상 증가, 야외활동 시 진드기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11.15
546 항.필.제.사., 항생제는 필요할 때만, 제대로 사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11.16
545 눈 마사지기 1개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11.16
544 품질 및 위조품 문제로 리콜된 Vevor 휴대용 공기 압축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11.16
543 화재 위험 있는 Classic brands 쿨 젤 메모리폼 매트리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11.16
542 감전 위험 있는 Vevor 진공포장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1.16
541 감전 위험이 있는 Tomshine 야외용 스트링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11.16
540 감전 위험 있는 LDNIO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3.11.16
539 화재 발생 우려 있는 HONDA 휴대용 발전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11.16
538 접지 미흡 등으로 감전, 화재 우려 있는 Vevor 곡물분쇄기(푸드 그라인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11.16
537 접지 연결 미흡하고 감전 우려 있는 Vevor 그라인더 연마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3.11.16
536 최근 4주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환자 2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11.17
535 CJ온스타일 사칭사이트 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11.20
534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11.20
533 납 과다 함유하여 위해 우려 있는 헤드램프(유도 전조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1.20
532 알러지원 성분이 함유된 Akai Bohshi 쿠키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11.20
531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리콜된 Hado Labo 피부치료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11.20
530 알러지원 성분이 함유된 Love raw 피넛버터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11.20
Board Pagination Prev 1 ...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