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에어컨’, ‘선풍기’ 관련 상담 증가 -

(상담건수) 2017년 7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은 73,678건으로 전월(70,054건)대비 5.2%(3,624건) 증가, 전년동월(68,695건)대비 7.3%(4,983건) 증가함.

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증가율 상위 품목) 전월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선풍기’(150.5%), ‘에어컨’(135.3%), ‘모바일게임서비스’(101.5%), ‘TV’(94.3%), ‘냉장고’(64.1%) 등의 순이며, 전년동월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모바일게임서비스’(241.6%), ‘선풍기’(160.1%), ‘매트’(97.5%), ‘에어컨’(81.2%), 호텔’(66.0%) 등의 순임.

* 습하고 높은 기온인 여름에 많이 이용되는 ‘선풍기’, ‘에어컨’ 관련 상담이 전월 및 전년 동월에 이어 꾸준히 증가함. 더불어 ‘모바일게임서비스’ 는 게임 청약철회, 아이템 미지급, 강제종료에 따른 시스템오류 등으로 전월대비 증가하고, ‘TV’ 는 렌즈분리로 인한 블랙아웃현상과 빛샘현상 관련한 상담이 전년 동월대비 증가함.
※ ‘증가율 상위 주요 품목’(붙임) 참조

(판매방법) 특수판매 관련 상담은 21,757건으로 전체 상담의 29.5%이며, 유형별로는 ‘전자상거래’ 관련 상담(14,098건)이 가장 많았고, ‘방문판매’ (2,749건), ‘전화권유판매’(1,718건), ‘TV홈쇼핑’(1,641건) 등의 순임.

* ‘전자상거래’는 숙박시설, 간편복, 신발, ‘방문판매’는 주방설비, 회원권(헬스장?휘트니스센터, 종합체육시설회원권 및 콘도회원권), 학습교재, ‘전화권유판매’는 인터넷서비스, 일반화장품, 이동통신, ‘TV홈쇼핑’은 공조?냉난방기기, 침구류, 조리기기·기구 관련 상담이 많았음.

(상담 다발 품목) 상담이 많은 품목은 ‘에어컨’(2,831건), ‘휴대폰/스마트폰’(2,346건), ‘이동전화서비스’(1,932건), ‘헬스장·휘트니스센터’(1,642건), ‘초고속인터넷’(1,374건) 등의 순임.
【 7월 소비자상담 다발 품목 현황 】                                                                                           (단위 : 건, %)
순위품목명               건수    주  요 상  담  내  용
 비  율
1에어컨2,8313.8­ 냉장 및 냉동불량, 결로, 가스누출, 소음 등 품질·성능불만 ­ AS 후에도 동일하자 반복, 수리용 부품 미보유, 수리비 과다청구, 수리불가 통보 등 AS불만 ­ 제품 외 실외기 설치과정에서의 불만
2휴대폰 /스마트폰2,3463.2­ 전원 꺼짐, 발열, 작동 불량, 방수 기능 하자, 블루투스 연결 불량 등 품질 불만 ­ 액정 파손, 터치 불량, 화소 불량, 백화 현상 발생 등 품질 불만 ­ AS 후에도 동일하자 반복, 수리용 부품 미보유, 수리비 과다청구, 수리불가 통보 등 AS 불만 ­ 스웰링(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 및 충전 불량 등 배터리 품질 불만
3이동전화서비스1,9322.6­ 통화품질 불량, 기기 성능 불량 등으로 인한 계약해제·해지 시 거부 또는 위약금 과다청구 ­ 약정지원금 미지급, 약정내용 상이, 위약금 미지원 등 계약불이행 ­ 데이터 로밍 등 미사용 데이터 요금 과다청구
4헬스장·휘트니스 센터1,6422.2­ 요가·개인트레이닝 등 계약해제·해지 시 위약금 과다청구, 환급 지연 또는 거부 ­ 양도받은 이용권 계약해제·해지 시 환급 거부 ­ 업체폐업으로 인한 연락두절로 환급방법문의
5초고속인터넷1,3741.9­ 결합상품, 서비스 장애, 속도저하 등 서비스 품질 불량으로 인한 중도해지 시 위약금 과다 청구 ­ 설치 불가지역 이전 시 위약금 면제해지 요구 ­ 해지신청 후의 업무처리지연 또는 누락 후 미납금 청구 ­ 설치비 과다청구, 설치지연 등 관련 문의


(상담사유) ‘품질’(16,589건)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고, 이어 ‘계약해제·해지/위약금’(14,122건), ‘계약불이행’(8,900건) 등의 순이었음.

* ‘품질’은 공조?냉난방기기, 병·의원서비스, 신발, ‘계약해제·해지/위약금’은 회원권, 숙박시설, 인터넷서비스, ‘계약불이행’은 화물운송서비스, 이동통신, 공조?냉난방기기 관련 상담이 많았음.

(연령대별) 소비자의 연령대 확인이 가능한 68,744건 중 ‘30대’가 21,983건(32.0%)으로 가장 많고, ‘40대’(18,424건, 26.8%), ‘50대’(12,474건, 18.1%), ‘20대’(9,280건, 13.5%) 등의 순이었음.

* 10대는 통신기기, 20대는 회원권, 30대·40대·50대·60대 이상은 모두 공조·냉난방기기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음.

(상담처리) 2017년 7월 상담(73,678건) 중 59,260건(80.4%)은 소비자단체·지자체·한국소비자원에서 소비자분쟁해결기준 및 관련법규 등 소비자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자율적인 분쟁해결에 도움을 줌. 자율적인 해결이 어려운 사업자와의 분쟁은 소비자단체 및 지자체의 피해처리를 통해 10,804건(14.7%), 한국소비자원의 피해구제·분쟁조정을 통해 3,569건(4.8%)을 처리함.


* 자세한 내용은 ‘1372소비자상담센터 홈페이지’(www.1372.go.kr) - ‘통계자료’ - ‘상담동향’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32 온라인몰 판매식품 특별점검 결과 11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7 22
4631 정부, 4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0 22
4630 청년들의 취업 준비, 정부가 도와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8 22
4629 건강한 설 명절을 위한 식품.의약품 안전정보 제공(식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1 22
4628 독립적 감사기구 설치로 대학 자체감사 대폭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22
4627 면세사업자 사업장현황신고는 「신고도움 서비스」로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8 22
4626 중증소아 환자, 집에서 전문적 의료서비스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6 22
4625 CCTV, 비상벨, 보안등으로 어린이, 여성, 노인 등의 ‘귀갓길 안전’ 밝힌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6 22
4624 2019년 식품.의약품 안전정책 이렇게 달라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6 22
4623 행복출산 신청결과! 이제 모바일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0 22
4622 ’19년 소상공인 풍수해보험 시범사업 37개 시․군․구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8 22
4621 금융꿀팁 200선 - 연말연시, 연금자산 이렇게 챙겨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22
4620 설 명절전 불공정하도급 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22
4619 국토부, 다임러·만 트럭 3,074대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22
4618 생리대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화 내년부터 본격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3 22
Board Pagination Prev 1 ...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