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교통사고로부터 자녀를 보호할 수 있다!

◇ 어린이 교통사고 중 사망은 보행 중 가장 많이 발생, 도로횡단 원칙과 준수사항 지도
◇ 자전거사고로 인한 소아청소년 사망자, 머리를 많이 다치므로 자전거 안전모 착용 필수
◇ 소아청소년 교통사고를 집중 다룬「손상예방과 건강한 안전사회」창간호 발간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국가손상조사감시사업 중앙지원단(단장 송경준)과 함께「손상예방과 건강한 안전사회」창간호(계간지)를 공동 발간하면서, 올해 1사분기(1~3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를 통한 손상환자의 발생현황과 경찰청의 어린이 교통사고 통계현황을 발표하였다.
    * 손상은 질병 이외의 교통사고, 추락사고, 넘어짐, 화재, 익수, 자살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신체나 정신에 미치는 건강의 해로운 결과를 말함
    *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는 2006년부터 5개 의료기관 참여로 시작되었고, 2017년 23개 기관이 참여하여 응급실 내원한 손상환자의 유형 및 원인 정보를 조사
    * 창간호 발간 협력 기관(가나다순): 대한소아응급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대한외상중환자외과학회, 대한외상학회,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의학회, 안전보건공단, 한국생활안전연합, 한국자동차안전학회

 ○ 올해 1사분기 동안 23개 응급실을 방문한 손상환자(59천건) 중 교통사고는 9천건(15.1%)이었으며, 이 중 사망은 2%(182건)였다.
 
 ○ 교통사고는 차량탑승자 사고가 보행자 사고보다 2배 이상 많이 발생하였고, 이 중에 보행자 사망이 차량탑승자 사망보다 5배 높았다.

   - 또한 교통사고 발생시 안전벨트 착용률은 68.1%였고, 안전벨트 미착용시 사망은 착용시의 2배였으며,
   - 자전거 등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은 38.3%였고, 안전모 미착용시 사망은 착용시보다 다소 높았다.
    * (10인승 이내 차량 탑승자) 전체 사고의 49.4% 차지, 이 중 사망은 0.9%
    * (보행자) 전체 사고의 21.1% 차지, 이 중 사망은 4.5%
    * (안전벨트) 미착용시 사망 1.2%, 착용시 0.6%, (안전모) 미착용시 사망 1.7%, 착용시 1.5%

□ 또한,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어린이 교통사고는 차량 탑승시에 많이 발생(62.1%)하였고, 사망 사고는 보행 중에 많이 발생(64.6%)하였으며, 이러한 교통사고는 횡단보도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또한, 교통사고 중 자전거 사고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소아청소년의 사고는 전체의 27%를 차지하고 있고,
   - 소아청소년의 사고 중 사망사고의 주요 원인은 머리 부상(77%)인 반면,
   - 경미한 사고를 포함한 전체 사고에서 안전모 착용률*은 10% 수준으로 낮다.
    * 14세 미만 9%, 15-20세 12%, 20대 29%. 30대 37%, 40대 30%, 50대 24%, 60대 이상 10%대 수준

□ 질병관리본부는 교통사고 안전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배포한 바 있으며, 어린이도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만화로도 제작하였다.
  
 ○ 안전가이드라인은 운전자가 스쿨존에서 준수해야 할 수칙과 자전거를 포함하여 바퀴달린 탈것을 탈 때의 지도사항, 안전한 횡단방법, 카시트 착용법 등을 담고 있다. (붙임2 참조)
   - 자전거나 인라인스케이트를 탈 때는 안전모 등 보호장구를 꼭 착용하도록 하고, 차량 탑승시에는 체중에 맞는 카시트를 착용하도록 해야 하며,
   -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멈춘다, 살핀다, 건넌다’는 3가지 기본원칙을 지킬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해 관련 교통안전, 물놀이안전, 가정안전, 화상안전 등 영역별 안전가이드라인을 웹진․웹툰 형태(‘어린이용’과 ‘어른용‘)로 개발하여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한국생활안전연합(www.safia.org)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하고 있음

 ○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세부적으로 다음의 9가지 준수사항을 권고한다.
    ① 조금 멀어도 안전한 길로 다니도록 한다. ② 준비물과 숙제는 미리미리 챙긴다. ③ 눈‧비 올 때나 어두울 때는 밝은 색 옷을 입도록 한다. ④ 교통신호는 꼭 지킨다. ⑤ 뛰어서 길을 건너지 않는다. ⑥ 차례차례 타고 내린다. ⑦ 차 안에서 안전띠를 꼭 맨다. ⑧ 차가 다니는 길에서는 놀지 않는다. ⑨ 거리에서 먼저 양보한다.
    * (출처)「손상예방과 건강한 안전사회」창간호, 어린이 교통사고 유형 및 예방대책

□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교통사고나 낙상, 추락 등 사고를 막고, 이러한 사고로부터 다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고 원인과 위험요인을 밝혀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하면서,

 ○「손상예방과 건강한 안전사회」를 통해 관련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관계부처와 시민단체, 관련 전문가들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손상예방 정책 수립과 대국민 예방수칙 홍보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7-08-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34 형광램프 대체형 LED램프의 모든것! 두유노? LED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7.07
2833 여름철 야생버섯 섭취에 의한 식중독 사고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7.06
2832 전자아울렛 / DIGITAL-ASOT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1 2022.07.06
2831 여름철 놀이터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2.07.05
2830 올바르고 안전한 우유 구입·보관·섭취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07.05
2829 주방세제, 처음부터 끝까지 올바르고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07.05
2828 글로벌 OTA, 외국적 항공사 이용 시 소비자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7.04
2827 폭염특보 지역 확대, 온열질환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2.07.01
2826 헬스장·PT 계약 및 이용 연기 관련 소비자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2.06.27
2825 물기·습기 많은 장마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2.06.23
2824 해외서버 이용 국내 사기사이트 급증, 입금자명에 할인코드 입력 요구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2.06.23
2823 "놀이터 안전사고 매년 천 건 이상 발생, '여름'이 41.6% 차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2.06.22
2822 영유아 노로바이러스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증가, 여름철 보육시설 등 위생관리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2.06.20
2821 오폐수처리장.폐기물처리시설 작업 중 화재·폭발사고 증가에 따른 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20
2820 화청 주식회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2.06.16
2819 시안화수소산 과다 함유한 Alnatura 견과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22.06.14
2818 라벨 미표기(아몬드) 성분 함유한 Montezuma's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22.06.14
2817 살모넬라균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Pub Original 스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9 2022.06.14
2816 살모넬라균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Awfuuly Posh 스낵(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9 2022.06.14
2815 살모넬라균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Awfuuly Posh 스낵(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6 2022.06.14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