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휴대폰 케이스 일부에서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 주로 큐빅 등 장식품에서 검출되어 소비자 주의 필요 -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는 약 4,800만명에 달하며, 사용자의 대부분이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되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휴대폰 케이스 30개 제품(합성수지 재질 20개, 가죽 재질 10개)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안전성 및 표시실태 조사 결과 밝혀졌다.

6개 제품에서 카드뮴, 납 등 유해물질 다량 검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어지면서 휴대폰 케이스는 피부와 장시간 접촉되고, 만 13세 이하의 어린이도 스마트폰을 직접 사용하거나 부모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폰 케이스의 유해물질 관리는 필수적이다.

휴대폰 케이스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시험 검사한 결과, 조사대상 30개 중 6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되었다.

3개 제품에서 유럽연합 기준(100㎎/㎏이하)을 최대 9,219배 초과하는 ‘카드뮴’이, 4개 제품에서 동 기준(500㎎/㎏이하)을 최대 180.1배 초과하는 ‘납’이, 1개 제품에서 동 기준(어린이제품, 0.1%이하)을 1.8배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BP)’가 검출되었다.

어린이가 사용하는 제품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에 따라 카드뮴 75㎎/㎏ 이하, 납 300㎎/㎏ 이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0.1% 이하로 함량을 제한하고 있음.

[유해물질 검출 범위 및 기준초과 제품 수]

물질명유럽기준검출범위기준 초과 제품수*
카드뮴100mg/kg 이하296mg/kg∼921,900mg/kg3
500mg/kg 이하1,227mg/kg∼90,401mg/kg4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BP)0.1% 이하0.18%1

* 납 단독 검출 2개, 카드뮴 단독 검출 1개, 카드뮴·납 중복 검출 2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단독 검출 1개

* 유럽연합기준(REACH, 신화학물질관리제도)

- (장신구 및 기타 완제품) : 함유량 500㎎/㎏이하 (기타 완제품의 경우 용출량 0.05㎍/㎠/h 이하이거나 2년간 동 용출량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입증하는 경우 제외)

- 카드뮴(합성수지제 제품 및 장신구 등) : 100㎎/㎏ 이하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어린이제품) : DEHP, DBP, BBP의 총 합이 0.1% 이하

  · 납에 노출되면 식욕 부진, 빈혈, 소변양 감소, 팔·다리 근육 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음.

  · 카드뮴에 노출되면 폐와 신장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발암등급 1군으로 분류됨.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 추정 물질로 정자수 감소, 유산 등 생식 독성이 있음.

5개 제품은 휴대폰 케이스를 꾸미기 위해 부착한 큐빅·금속 등 장식품에서 ‘납’, ‘카드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되었고, 가죽 소재 1개 제품에서 ‘납’이 검출되었다.

휴대폰 케이스를 꾸미기 위해 부착한 큐빅·금속 등 장식품에서 ‘납’, ‘카드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되었고, 가죽 소재 1개 제품에서 ‘납’이 검출됨 

유해물질 안전기준 없는 안전사각 지대

현재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실정이다. “유독물질 및 제한물질·금지물질의 지정“ 고시에 따라 ‘납’과 ‘카드뮴’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으나 금속 장신구 등에 한정되어 있고, 신용카드 수납 등 지갑 겸용의 성인용 가죽 휴대폰 케이스는「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공급자적합성 생활용품(가죽제품)’으로 관리되지만 ‘납’, ‘카드뮴’ 등 중금속에 대한 기준은 없다.

사업자 정보, 재질 등에 대한 표시도 없어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표시기준은 부재한 실정이지만 사후 피해구제 등을 위한 사업자정보(제조자명, 전화번호), 재질 등 제품 선택 정보(제조국, 제조연월일, 재질) 표시 여부를 조사한 결과, 관련 정보를 모두 표시한 제품은 없었다. 17개 제품(56.7%)은 표시가 전혀 없었고, 13개(43.4%) 제품은 일부 항목만 표시하고 있었다.

유해물질 검출 제품 회수 조치 및 안전기준 마련 요청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해 관련 업체에 유해물질 과다 검출 제품 및 표시 미흡 제품에 대한 시정조치를 권고하였고, 해당 업체들은 이를 수용하여 회수 등의 조치 및 표시를 개선하기로 하였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개선을 국가기술표준원에 건의할 예정으로, 국가기술표준원은 휴대폰 케이스의 안전실태를 점검해서 안전관리 여부를 검토할 예정임을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0 세이펜, 고속충전 시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00 2016.12.13
27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2.2.∼2016.1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3 2016.12.12
278 전자파 차단제품 차단효과 없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2 2016.12.09
277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2 2016.12.08
276 엘레니어 윙스플러스 유모차, 무상수리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70 2016.12.07
275 대장균 검출된 Rabbit Creek 제빵용 믹스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229 2016.12.07
274 폐렴간균 검출된 Honeywell 눈 세정제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69 2016.12.07
27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1.25~2016.1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69 2016.12.05
272 르노삼성자동차(주) New SM3 차량 윈도우 작동 시 소음 발생 무상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20 2016.12.02
271 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38 2016.12.01
270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7 2016.12.01
269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8.01~ 2016.08.0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1 2016.11.30
268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7.25~ 2016.07.3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2 2016.11.30
267 결함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부력조절기(BCD)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676 2016.11.30
266 과열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핸드그라인더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5 2016.11.30
265 외용기 코팅이 화장품에 혼입되어 부작용 발생하는 화장품 교환·환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5 2016.11.30
264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2 2016.11.28
263 기아자동차(주) 니로 차량 경고등 점등 무상 조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6 2016.11.28
26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1.18~2016.11.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0 2016.11.28
261 서울시, 블랙프라이데이 고가패딩 온라인쇼핑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79 2016.11.28
Board Pagination Prev 1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