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다수 제품 위생 기준에 부적합 -

최근 1인가구 및 혼술·홈술*족이 급증하면서 간단한 조리과정을 거치거나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돈육가공품(족발 및 편육)이 인기를 끌고 있다.

* 혼자 또는 집에서 술을 마시는 사람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족발 및 편육 30개 제품(냉장·냉동 족발/편육 24개, 배달 족발 6개)을 대상으로 위생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수의 족발·편육 제품에서 식중독균·대장균군 등이 검출돼 위생관리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30개 중 11개 제품(36.7%), 위생 기준에 부적합

조사대상 30개 중 11개 제품(냉장·냉동 족발 6개, 냉장·냉동 편육 4개, 배달 족발 1개)에서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와 식품 오염의 척도가 되는 ‘대장균군’ 등이 검출되었다.

구분냉장·냉동 족발/편육배달 족발
유형식육가공품식품접객업소의 조리식품
관련규정「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시험검사 항목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대장균군, 세균수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대장균
조사대상 제품(총 30개)o 냉장·냉동 족발 14개(포장 완제품) o 냉장·냉동 편육 10개(포장 완제품)o 배달 족발 6개
부적합 제품(총 11개) o 냉장·냉동 족발 6개 (* 2개 중복)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1개 - 대장균군 5개 - 세균수 2개 o 냉장·냉동 편육 4개 (* 1개 중복) - 대장균군 3개 - 세균수 2개o 배달 족발 1개 - 대장균 1개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 식중독 세균으로 저온 및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어 냉장·냉동실에서도 증식 가능함.

- 면역기능이 정상인 건강한 성인은 감염 가능성이 낮지만 임산부·신생아·노인 등 면역력이 취약한 계층은 감염 위험이 높으며, 고열, 오한, 근육통, 복통, 두통, 정신혼동 등의 증상을 보이는 ‘리스테리아증 (Listeriosis)’ 의 경우, 발병 시 치사율은 약 20~30%임.

* 출처 : ‘유해물질 간편 정보지-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12.

<대장균군, 대장균, 세균수>

- 대장균군, 대장균, 일반세균은 식품 오염의 척도가 되는 위생지표 세균임.

- ‘대장균군’ 및 ‘대장균’은 사람·포유동물의 장내에 기생하는 세균으로, 음식물에서 확인이 되면 비위생적으로 제조·관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병원성 세균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

- ‘일반세균’은 식품의 부패·변질을 유발하며 오염 정도가 심하면 배탈과 설사를 일으킬 수 있음. 이는 사람의 대장에서 소화를 돕는 미생물들과 경쟁해 미생물 군집을 변화시키기 때문임.

* 출처 : ‘대장균은 나쁜균! 좋은균?’, 식품의약품안전처, 2012.6. 등

냉장·냉동 족발 14개 중 1개 제품에서 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가 검출되었고, 5개 제품에서는 ‘대장균군’이 기준치보다 최소 3.7배~최대 123만배, 2개 제품은 ’세균수‘가 기준치보다 최소 1.6배~최대 270만배 초과 검출되었다.

냉장·냉동 편육 10개 중 3개 제품에서 ‘대장균군’이 기준치보다 최소 1.7배~최대 23배, 2개 제품에서 ’세균수‘가 기준치보다 최소 580배~최대 2만1천배 초과 검출되었다.

또한 배달족발 6개 중 1개 제품에서는 ‘대장균’이 기준치보다 17배 초과 검출되어 전반적인 족발 및 편육 제품 제조·유통 시 위생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냉장·냉동 족발/편육 24개 중 12개 제품(50%), 표시기준 부적합

냉장·냉동 족발/편육은「축산물의 표시기준」에 따라 제품명, 축산물 가공품의 ‘유형’, ‘내용량’, ‘멸균·살균·비살균제품’ 등을 표시해야 하지만, 냉장·냉동 족발/편육 24개(족발 14개, 편육 10개) 중 12개 제품(족발 6개, 편육 6개)이 표시기준을 준수하지 않았다.

11개 제품은 ‘멸균·살균·비살균 제품’ 표시를, 5개 제품은 ‘축산물 가공품의 유형’ 표시를 누락하였고, 일부 제품은 ‘내용량’, ‘영양성분’ 등을 미기재하였다.

‘멸균·살균·비살균 제품’, ‘축산물 가공품의 유형’, ‘내용량’, ‘영양성분’ 등을 표시해야함 

족발 및 편육 위해사례, 매년 지속적 증가

2014년부터 2017년 6월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족발 및 편육 관련 위해사례는 총 215건*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2014년 45건 → 2015년 57건 → 2016년 77건 → 2017년 상반기(1월 1일~6월 30일) 36건

위해증상이 확인되는 184건을 분석한 결과, 설사?구토·복통 등 ‘소화기 계통 손상·통증’ 관련 사례가 139건(75.6%)으로 가장 많았고, 두드러기·가려움 등 ‘피부 관련 손상·통증’ 35건(19.0%), ‘치아 손상’ 7건(3.8%), ‘알레르기’ 3건(1.6%) 순으로 나타났다.

족발 및 편육 제품의 위생·안전 및 표시사항 관리·감독 강화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족발 및 편육 제품의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 위해사고 예방을 위해 기준 미준수 사업자에게 ▲위생관리 강화 및 표시기준 준수를 권고하였고, 해당 업체는 이를 수용하여 일부 제품은 판매를 중단하고 제조· 유통단계의 위생관리 강화 및 표시사항을 개선하기로 하였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족발 및 편육 제품 제조·유통 단계의 위생·안전관리 및 표시사항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며,

소비자에게는 족발 및 편육 제품 구입 및 섭취 시 ▲포장에 기재된 적정온도에 맞게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할 것 ▲유통기한 내 섭취할 것 ▲되도록 가열 후 섭취할 것 ▲식중독 증상(구토, 설사, 복통 등) 발생 시 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음식물과 같은 증거물은 비닐봉투에 보관 후 보건소에 신고할 것 등을 당부하였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11 단락 발생 위험 있는 Nuby 야간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5
4010 아동이 질식할 위험이 있는 Goki 기차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1.05
4009 앞바퀴 스포크에 뒤틀려 낙상 위험 있는 Vaude 자전거 가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1.05
4008 케이블 플라스틱에 SCCPs 등을 함유한 디지털 달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1.05
4007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 과다 함유한 Flynova Pro 플라잉 스피너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01.05
4006 영유아 질식할 위험 있는 셀프 수유쿠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1.05
4005 적합성 평가 미흡으로 익사 위험 있는 Swimbubs 유아용 수영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1.05
4004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1.05
4003 제조결함 및 누출 등으로 인해 변질 우려가 있는 Wang 떡볶이 떡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1.04
4002 시력 손상 위험 있는 VSSHE 반려동물용 레이저포인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4
4001 과체온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 있는 Milkiwai 영유아용 침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1.04
4000 안전인증 받지 않은 Tupa 등산용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4.01.04
3999 배터리 열 보호 장치 미비한 Kuzupro 무선드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1.04
3998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Kemei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4.01.04
3997 과도한 납 함유한 Yuming 네일 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1.04
3996 알러지 유발 성분인 우유, 아황산염이 미표기된 Ola-Ola 마가루 파우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1.04
3995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Jay robb 단백질 파우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1.04
3994 땜납부에 납이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는 Flawlbss 얼굴용 제모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04
3993 뚜껑 바니시의 결함으로 인해 녹이 발생한 Faro 고추 통조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4.01.04
3992 알러지 유발성분인 아황산염이 미표기된 Due Vittorie 발사믹 식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4.01.04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