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최근 캠핑 등 야외 여가활동의 증가와 혼밥·혼술 문화가 일반화되면서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캔햄·소시지 등의 식육가공품 소비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식육가공품 표시기준은 식감 향상 등을 위해 제조단계에서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지방(비계)을 원재료명에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원료 육함량에 포함시키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는 제품표시 육함량을 부풀리는 단초로 작용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주요 5개 제조사 15개 식육가공품*을 대상으로 제조 시 인위적 지방(비계) 첨가 여부 확인을 위해 ‘원료육 자체 지방함량’, ‘제품표시 지방함량’, ‘시험검사를 통한 실제 지방함량’을 비교한 결과 밝혀졌다.
* 일반햄, 캔햄, 소시지 각 5개 제품

□ 인위적으로 첨가한 지방(비계)은 별도 원재료로 표시해야

  햄·소시지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료육은 돼지의 전지(앞다리살) 또는 후지(뒷다리살)이며 해당 부위의 지방함량은 각각 12.3%, 16.5% 수준이다.

  반면, 조사대상 햄·소시지 15개 중 12개 제품(3개 제품*은 지방함량 미표시)에 표시된 지방함량은 16.7~27.0%로, 원료육 도체(屠體)의 지방함량 편차를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 3개 제품은 2016.12.31. 이전에 제조된 제품으로 영양성분 의무표시 비대상임.

  실제로 조사대상 15개 제품의 지방함량 시험검사 결과15.8~27.9% 수준으로 표시함량과 큰 차이가 없어 해당 제품 제조 시 지방(비계)을 인위적으로 첨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함량 비교(원료육,제품표시,시험검사 결과)

  이에 해당 제품 제조사의 제조공정을 확인한 결과, 베이컨 등 일부 제품군을 제외한 대부분의 식육가공품 제조 시 식감 향상, 풍미 증진 등의 이유로 지방(비계)을 인위적으로 첨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일본 소비자청은 ?육류제품 및 어육반죽제품의 소시지 품질표시기준?에 의거 돈지방을 인위적으로 첨가한 경우 제품 표시란에 별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정확한 원재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방(비계)의 인위적 첨가로 제품에 표시된 원료 육함량이 실제보다 과다계상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소비자의 알권리와 선택권 보장을 위해서는 제조 시 인위적으로 첨가한 지방(비계)을 원재료명에 별도 표시하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인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지방(비계)은 제품 원재료명에 별도 표시하도록 제도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스템 2017-08-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0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1.2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3 7
4639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2.8.)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4
4638 국민연금과 개인·퇴직연금정보, 4월부터는 한 곳에서 조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1 134
4637 국민연금, 해외투자 확대에 맞춰 외환관리체계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8 85
4636 국민연금, 새로운 기금운용체계 본격적으로 출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5 23
4635 국민연금,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인상시기 4월에서 1월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36
4634 국민연금, 기금의 재정안정성 확보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4 25
4633 국민연금, 2020년 금융부분 기금운용 수익률 9.58%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02 12
4632 국민연금 향후 5년간 전략적자산배분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2 74
4631 국민연금 부양가족연금·유족연금 대상, ‘심한 장애인’까지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2 18
4630 국민연금 보험료 신용카드 납부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190
4629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2만 원·상한액 503만 원 2020년 7월부터 상향 적용 예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8 35
4628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6 27
4627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7월부터 5.6% 인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30 13
4626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7월부터 4.1% 인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0 18
Board Pagination Prev 1 ...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