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지난 장마기간*동안 내린 강수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가뭄이 해소되었으나, 전남·경남·제주도 일부지역은 가뭄이 계속되고 있어 범정부 차원에서 가뭄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8월 가뭄 예·경보를 통해 밝혔다.

* 중부지방 : 7.1~7.29, 남부지방 : 6.29~7.29, 제주도 : 6.24~7.26

농업용수 가뭄

전국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58%)은 평년(74%)의 78% 수준이며, 장마기간 동안 비가 적게 내린 울산·전남·경북·경남 등 남부지방은 농업가뭄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8월에는 저수율이 낮은 울산·전남·경북·경남지역 중 7개 시·군이 주의단계, 10개 시·군이 심함단계이며, 9월에는 울산·전남·경북·경남지역 중 9개 시·군이 주의단계, 9개 시·군이 심함단계로 국지적인 가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1월에는 비영농기이기 때문에 저수율이 낮은 울산·전남·경남지역 17개 시·군은 내년 영농에 대비하여 저수지 용수 비축이 요구된다.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

전국 다목적댐 평균 저수율(53.4%)은 예년(49.3%)과 비슷한 수준이나, 최근 중부지방에 집중된 강수와 달리 남부지방에 위치한 댐은 저수량이 다소 적은 상황이다.

8월 현재 저수율이 낮은 보령댐 등을 수원(水源)으로 하는 충남지역 8개 시·군과 평림댐을 수원으로 하는 전남지역 4개 시·군은 심함단계이고, 대구·광주·전북·전남·경북·경남지역 27개 시·군은 주의단계이다.

8·9월 강수량이 평균수준이더라도 가뭄 해갈에는 다소 부족한 수준이기 때문에 충남·전남지역 12개 시·군은 심함단계로, 대구·광주·전북·전남·경북·경남지역 22개 시·군은 주의단계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강수량은 예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어 생활 및 공업용수의 수원(水源) 상황이 전반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전남지역 4개 시·군은 심함단계로, 대구·전북·전남·경북지역 9개 시·군은 주의단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장기 가뭄대비가 필요하다.

기상가뭄 * 최근 6개월 누적강수량을 평년강수량과 비교

장마기간 동안 중부지방은 439.0㎜의 강수가 발생함에 따라 6월 말 누적 강수량(197.8㎜) 대비 약 45% 증가하여 가뭄이 완화되었으나, 남부지방은 평년(184.1㎜)의 절반(53%) 수준으로 전남, 경남, 제주도를 중심으로 기상가뭄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 5개월(3월~7월) 강수량(487.4㎜)은 평년(692.8㎜)의 71%이었으며 8월 강수량은 평년(274.9㎜)과 비슷하거나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가뭄상황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10월까지 강수량도 평년(487.9㎜) 수준으로 회복되면서 대부분 지역에서 가뭄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물 부족이 우려되는 가뭄 주의단계 이상인 지역을 중심으로 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뭄 긴급대책과 우심(尤甚)지역 항구 대책 조기 추진을 위해 추경에서 확보한 가뭄대책비 1,056억 원을 긴급 지원하였다.

단기 대책으로 관정개발, 양수장 설치 등 영농급수대책을 추진하는 한편, 상습가뭄지역에 대해 저수지, 양수장 등 수리시설 확충과 수계연결 등 항구적 용수개발사업도 조기에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실수요량 공급 위주의 댐 용수 비축체계를 지속 유지하고,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단계별 철저한 긴축운영 및 대체공급 등을 확대 추진하고, 보령댐의 경우 급수체계 조정 확대* 등 추가 대책을 적기 완료하여 용수비축을 확대할 예정이다.

* 전주권 광역 계통(8월초~, 4천㎥/일↑) : 보령정수장 연결관로 신설 (10→14천㎥/일)
아산 공업 계통(9월초~, 9천㎥/일↑) : 대청3단계 일부관로 조기완료 등 (21→30천㎥/일)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은“가뭄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해 국지적인 가뭄에 소홀함이 없이 철저히 대처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7-08-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84 국민권익위, 태양광 발전 관련 불편사항민원 빅데이터 통해 낱낱이 파헤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9 15
4583 국민권익위,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구제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5 20
4582 국민권익위, 추석 연휴 앞두고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대한 민원예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5 38
4581 국민권익위, 최근 2년간 공공기관 불합리?불공정 사규 2,472건 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3 6
4580 국민권익위, 청탁금지법 위반신고·제재현황 조사 결과 발표... 제재 대상 인원 크게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5 22
4579 국민권익위, 직업계고등학교 현장실습생 권익보호를 위한 국민의견 조사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2 26
4578 국민권익위, 직업계고 현장실습 제도개선 권고 이행 현장점검 나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1 30
4577 국민권익위, 지역주민 권익보호를 위해 시민고충처리위원회와 ‘맞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3 7
4576 국민권익위, 지난 1년 6개월간 코로나19 관련 민원 분석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0 59
4575 국민권익위, 중개서비스,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국민의견 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2 8
4574 국민권익위, 주민 ‘생활 속 고충’ 상담하는 「달리는 국민신문고」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0 31
4573 국민권익위, 전동 킥보드 국민안전 제도개선 의견 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3 16
4572 국민권익위, 장애인 행정서비스 확대·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31
4571 국민권익위, 자동차 개방형 지붕(팝업 루프)과 취침시설의 판단기준 명확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5 17
4570 국민권익위, 입시비리·근로강요 등 신규 공익신고 대상행위 집중 신고기간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04 37
Board Pagination Prev 1 ...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