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모바일 전자정부가 꼼꼼한 사전관리체계와 투명한 성과공개를 통해 질적으로 한층 더 성숙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모바일 서비스인 공공앱의 관리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관리지침’을 개정하여 오는 8월중 시행할 계획이다.

* 공공앱(App)이란 공공기관에서 모바일 앱(App) 형태로 국민·기업들에게 제공하는 공공서비스를 지칭

‘모바일 전자정부서비스 관리지침‘에는 공공기관이 모바일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운영할 때의 관리사항이 규정되어 있는데, 이번 개정의 주요사항을 살펴보면, 먼저, 각 공공기관에서 신규로 공공앱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 개발에 앞서 반드시 정보화사업 사전협의제를 거치거나, 기관 자체적인 사전 검토절차를 거치도록 의무화하여, 공공앱이 꼭 필요한 경우에 개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공앱 사전타당성 검토제’가 도입된다.

다음으로, 중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 등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모든 공공앱을 대상으로 매년 운영성과를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누리집에 의무적으로 게시하는 ‘공공앱 성과 인터넷 공개제도’가 도입된다.

이에 따라, 각 공공기관의 성과측정 결과를 행정안전부에서 확인 점검한 후 인터넷에 추가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또한, 성과측정 항목에 공공앱 ‘내려받기(다운로드) 수’나 ‘최신 업데이트 여부’ 등 외에 ‘이용자 만족도’와 ‘이용자수’ 항목을 추가하여 성과측정의 실효성을 높인다.

성과측정 대상도 공공앱 뿐만 아니라 내부 행정용 모바일 앱도 포함되도록 하여 각 공공기관에서 스마트폰용 앱을 개발할 때에 보다 신중을 기하도록 할 예정이다. 최근 모바일 서비스 확대에 따라 보안 우려도 커지고 있어 각 공공기관에서 모바일 서비스와 관련된 보안대책을 수립하도록 의무화한다.

행정안전부는 2016년부터 2017년 상반기까지 이용이 저조하거나 업데이트가 미진한 8백여 개의 공공앱을 폐기토록 하였으며, 올해 하반기에는 개정된 지침을 적용하여 공공앱에 대한 정비를 한층 더 강화하여 고품질의 공공서비스가 국민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과 함께, 제4차 산업혁명의 요소기술로 손꼽히는 모바일 기술이 전자정부 서비스 분야에도 접목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와 시스템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장영환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공공기관이 공공앱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그 타당성과 효과성을 충분히 검토하도록 하고, 사후에는 성과관리 체계와 국민의 감시를 강화토록 함으로써, 모바일 전자정부를 추진하는데 있어 예산낭비나 관리부실 등에 대한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켜 주길 당부한다.”라면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전자정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담당 : 정보기반보호정책과 한태근(02-2100-3987)

 

[행정안전부 2017-08-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83 차로이탈경고장치 의무 장착 · 보조금 지원 대상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2 23
4582 2018년 상반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상조업)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9 23
4581 「개인정보 보호는 촘촘하게, 위임장 서식은 간소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23
4580 보험상품 전화가입(TM), 이제 더 신뢰할 수 있도록 바꾸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8 23
4579 비소 기준 초과 검출 중국산 ‘개다래 열매’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2 23
4578 민간 주도 의료광고 심의로 불법 의료광고 사전 방지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23
4577 신용카드 포인트 사용이 더욱 편리해 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23
4576 승차 구매점(드라이브 스루)등 차량 진·출입로…'보행자 안전'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23
4575 3월 항공여객 958만 명…전년 동월 대비 12.6%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30 23
4574 청소년 해외자원봉사단이 되어 꿈과 사람 속으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9 23
4573 2018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3 23
4572 하절기 폭염 대응, 경로당에 냉방비 월 1만 원 추가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30 22
4571 풍수해·지진재해보험 가입으로 든든한 여름 보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3 22
4570 “복잡하고 어려운 반부패 제도, 직접 찾아가서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9 22
4569 오늘부터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코로나19 추가접종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5 22
Board Pagination Prev 1 ...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