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필리핀 여행 시 콜레라 감염주의 당부

’17년 8월 2일(수) 제주항공(7C2306)으로 필리핀 마닐라에서 국내로 입국자 중 콜레라 환자(여성, ’78년생, 대한민국 국적) 발생

해당 항공기를 이용한 승객과 최근 필리핀을 여행한 후 심한 수양성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병원 방문 당부

필리핀 여행 시 올바른 손씻기․식생활 등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필리핀 마닐라 여행 후 제주항공 7C2306편을 이용하여 ’17년 8월 2일(수)에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한 우리 국민에서 올해 4번째 해외유입 콜레라 환자(여성, ’78년생)가 확인되어, 동남아 여행객들의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식생활 등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동 환자는 수양성 설사 증상이 7월 30일(일)부터 있었으며, 8월 2일(수)에 국내입국 시 인천공항검역소에서 대변배양검사를 실시한 결과, 8월 6일(일)에 콜레라균(V. cholerae O1 Hikojima)이 확인되었다.

또한, 환자에서 분리된 콜레라균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유전자지문(PFGE) 분석검사 등 실시 예정이다.

콜레라균 확인 즉시 환자 주소지인 서울 강동구 보건소에서 환자역학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여행 동반자 및 국내 체류 기간 접촉자의 검사 및 발생 모니터링을 할 예정이다.

* 현재 환자는 격리입원 치료 중이며, 건강상태 양호

올해 해외유입 콜레라 환자는 모두 4명으로, 3명은 필리핀 세부 여행자였으나, 이번 여행자는 마닐라만 여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필리핀내 세부 여행자 3명(2월20일, 2월24일, 6월16일), 마닐라 여행자 1명(8월6일)

질병관리본부는 콜레라 발생우려로 필리핀을 2017년 2월 10일부터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우리 국민이 필리핀을 여행하는 경우에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식생활 등 동남아 여행자를 위한 감염병 예방수칙(붙임1)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또한, 질병관리본부는 동 항공기를 이용한 승객이거나 최근 필리핀을 여행한 후, 심한 수양성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해외여행 여부를 의료진에게 알리고 콜레라 검사를 받도록 하고,

콜레라 환자를 진단 및 치료한 병원은 지체없이 관할 보건소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콜레라 등 질병 정보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문의하면 된다.

 

[보건복지부 2017-08-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03 낙상 위험이 있는 Kinderfeets 유아용 그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4.05.17
4302 기준치 초과 증발 잔류물이 검출된 Woru 뒤집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5.17
4301 오픈마켓 경유 사기사이트 FLEX-MALL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4.05.16
4300 화재 및 감전 위험이 있는 Seesil 무선 임팩트 렌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5.13
4299 간헐적으로 비상등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넥쏘 차량 무상수리 보증기간 연장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13
4298 품질 택에 소재가 잘못 표기된 티셔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5.13
4297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피규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5.13
4296 청력 보호 효과가 감소된 소음 방지 차단 헤드셋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5.13
4295 질식 및 화상 위험이 있는 지팡이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4294 일부 원재료 성분이 표기되어 있지 않은 카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4293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마루코메 미소 된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5.13
4292 식품위생법 위반한 벚꽃 소금절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4291 소형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이 있는 보드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4290 전자랜드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5.13
4289 화재 및 감전 위험이 있는 Seesil 무선 임팩트 렌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5.13
4288 소비기한이 미표시된 FritoLay 팝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5.10
4287 사용 중 단락 및 화재 위험이 있는 융설매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5.10
4286 부품(리벳) 파손으로 상해 위험이 있는 예초기 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4.05.10
4285 보행 중 밴드가 탈락될 위험이 있는 등산장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5.10
4284 머리 부상 위험이 있는 승마용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5.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