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필리핀 여행 시 콜레라 감염주의 당부

’17년 8월 2일(수) 제주항공(7C2306)으로 필리핀 마닐라에서 국내로 입국자 중 콜레라 환자(여성, ’78년생, 대한민국 국적) 발생

해당 항공기를 이용한 승객과 최근 필리핀을 여행한 후 심한 수양성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병원 방문 당부

필리핀 여행 시 올바른 손씻기․식생활 등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필리핀 마닐라 여행 후 제주항공 7C2306편을 이용하여 ’17년 8월 2일(수)에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한 우리 국민에서 올해 4번째 해외유입 콜레라 환자(여성, ’78년생)가 확인되어, 동남아 여행객들의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식생활 등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동 환자는 수양성 설사 증상이 7월 30일(일)부터 있었으며, 8월 2일(수)에 국내입국 시 인천공항검역소에서 대변배양검사를 실시한 결과, 8월 6일(일)에 콜레라균(V. cholerae O1 Hikojima)이 확인되었다.

또한, 환자에서 분리된 콜레라균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유전자지문(PFGE) 분석검사 등 실시 예정이다.

콜레라균 확인 즉시 환자 주소지인 서울 강동구 보건소에서 환자역학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여행 동반자 및 국내 체류 기간 접촉자의 검사 및 발생 모니터링을 할 예정이다.

* 현재 환자는 격리입원 치료 중이며, 건강상태 양호

올해 해외유입 콜레라 환자는 모두 4명으로, 3명은 필리핀 세부 여행자였으나, 이번 여행자는 마닐라만 여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필리핀내 세부 여행자 3명(2월20일, 2월24일, 6월16일), 마닐라 여행자 1명(8월6일)

질병관리본부는 콜레라 발생우려로 필리핀을 2017년 2월 10일부터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우리 국민이 필리핀을 여행하는 경우에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식생활 등 동남아 여행자를 위한 감염병 예방수칙(붙임1)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또한, 질병관리본부는 동 항공기를 이용한 승객이거나 최근 필리핀을 여행한 후, 심한 수양성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해외여행 여부를 의료진에게 알리고 콜레라 검사를 받도록 하고,

콜레라 환자를 진단 및 치료한 병원은 지체없이 관할 보건소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콜레라 등 질병 정보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문의하면 된다.

 

[보건복지부 2017-08-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91 생리대·기저귀, 안전관리 및 품질개선에 민관 공동 노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17.12.13
2190 생리대.팬티라이너 인체위해성 우려 없는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7.09.28
2189 생리대.팬티라이너 74종 VOCs 인체 위해 우려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7.12.28
2188 생녹용, 사슴피, 사슴고기 섭취에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8.04.11
2187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0.07.01
2186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07.01
2185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0.07.01
2184 새학기 봄철 놀이시설에서의 어린이 추락사고를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06
2183 새우 성분 등 표시 누락돼 알러지 위험 등으로 리콜된 Acecook 조미 소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3.02.10
2182 새순 돋는 시기, 봄나물과 독성식물 구분 어려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4.15
2181 새로운 연애 트렌드 ‘소셜데이팅’ 피해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60 2015.05.26
2180 새 학기 초등학생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9.03.07
2179 새 학기 시작,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18.03.08
2178 상품권 매입 사이트 이용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3 2020.12.02
2177 상조서비스 관련 불법 영업행위로 인한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2.12.29
2176 상조상품 불완전 판매로 인한 소비자 피해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0.11.23
2175 상조관련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26 2016.05.18
2174 상조 피해주의보 발령: 만기 시 100% 환급. 상조회사와 소비자의 동상이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9.07.24
2173 상조 관련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56 2015.11.26
2172 상조 관련 불법 영업행위로 인한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2.05.24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