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품질하자보다 세탁 과실이 더 많아 -

신발을 직접 세탁하지 않고 세탁업소에 의뢰하여 세탁하는 소비자가 많아짐에 따라 신발 세탁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이 2016년에는 전년대비 37.7% 증가하였고, 매년 200건 이상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최근 1년 6개월간(2016년 1월~2017년 6월) 신발제품심의위원회 하자 원인 규명 심의가 이루어진 481건을 확인한 결과, 72.1%(347건)가 사업자(세탁업자, 신발 제조·판매업자)의 귀책사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탁업자’ 책임(세탁 과실) 43.6%, ‘제조·판매업자’ 책임(품질하자) 28.5% 차지

신발세탁 관련 심의 의뢰된 481건에 대한 심의결과, 세탁방법 부적합(28.5%)·과세탁(9.8%) 등 ‘세탁업자’ 과실인 경우 43.6%(210건), 내구성 불량(13.1%)·세탁견뢰도 불량(7.3%) 등 신발 자체의 품질하자로 ‘제조·판매업자’의 과실인 경우가 28.5% (137건)으로 나타났다.

세탁업자의 과실로는 스웨이드 등 가죽 소재 신발의 경우 물세탁 시 경화, 이염, 변색 등 신발 손상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세탁업자가 소비자에게 사전고지 없이 임의로 세탁을 하여 발생한 피해가 많았다.

* 스웨이드 : 가죽의 속면(아랫면)을 가공하여 만든 소재로 스프리트(Split)라고도 불리며, 가격이 저렴하여 캐주얼화나 아웃도어화에 많이 사용됨.

제조·판매업자의 과실로는 신발 자체의 품질상의 문제로서 신발의 외피, 내피 등이 가져야 하는 강도나 내마모성이 불량하거나 염색성 불량으로 세탁 시 외피 또는 내피에서 이염, 변색, 탈색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가 많았다.

심의 결과 수용율은 세탁업자가 높아

사업자의 과실 책임으로 확인된 347건에 대해 사업자의 보상 합의권고 수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 244건(70.3%)이 합의권고를 수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세탁업자 수용률(78.1%)이 제조·판매업자 수용률(58.4%)보다 높게 나타나 제조·판매업자의 적극적인 소비자보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발 세탁 의뢰 전 신발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고, 특히 스웨이드 가죽소재 신발의 경우 소재를 세탁업자에게 고지하고 주의해 줄 것을 요구해야

한국소비자원은 신발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세탁 접수 전 신발 상태를 꼼꼼히 살핀 후 맡기고 ▲가죽 소재의 신발의 경우 세탁 후 하자 발생이 많으므로 세탁업자에게 세탁 시 특히 주의해 줄 것을 부탁하고 ▲추후 피해배상을 받기 위해 구입 영수증이나 세탁물 인수증 등 증빙자료를 보관해 줄 것을 소비자에게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20 국민권익위, “중고거래 플랫폼 성장...최근 3년간 발생 민원 14,000여 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9 28
4519 국민권익위, “주택가 이면도로라도 교통방해 된다면 불법 주·정차 단속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7 13
4518 국민권익위, “장례식장 영업은 가능하다면서 조문객에게 음식물 제공 막는 것은 부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1 95
4517 국민권익위, “장기기증 활성화 및 기증자 예우 강화, 그 방안은?” 국민의견 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4 9
4516 국민권익위, “잘못 지급된 공공재정지급금 환수시 이자면제 등 국민권익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2 22
4515 국민권익위, “잘못 알고 예약 승객 아닌 다른 승객 태웠다면 승차거부 해당 안 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8 29
4514 국민권익위, “자동차운전학원 수강료에 대한 지방경찰청장 조정권 마련” 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2 21
4513 국민권익위, “임대차계약 신고기간 잘못 알아 과태료 부과 받지 않도록 사전 안내 강화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4 41
4512 국민권익위, “일회용 마스크 폐기물 처리방안” 국민의견 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8 47
4511 국민권익위, “일시적인 세대 분리 가구에 건강보험료 추가 부과는 지나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35
4510 국민권익위, “음주운전자 차량시동잠금장치 및 음주치료 의무화” 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4 23
4509 국민권익위, “음주운전, 전동킥보드는 괜찮은 줄 알았다고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6 9
4508 국민권익위, “원산지 표시 원칙과 달라도 구매자가 알아볼 수 있으면 적법”행정심판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3 19
4507 국민권익위, “운행제한 위반 과태료 차량 배출가스 저감 보조금 우선순위에서 제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5 36
4506 국민권익위, “우리 국민 97.8%,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심각하다고 생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11 11
Board Pagination Prev 1 ...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