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5년간 8월 1주, 2주에 가장 많은 온열환자 발생(전체의 39.5%) 
◇ 고령자는 논·밭작업 등 장시간 야외 활동 자제, 만성질환자는 평소 건강수칙 준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8월 1주에서 2주 사이에 온열질환자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나며, 방치 시 생명이 위태로움(열사병이 대표적)

 ○ 질병관리본부 분석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12-2016) 온열질환자 5,910명중 폭염일수*가 증가하는 8월 1주에서 2주사이 환자가 전체의 39.5%로 가장  많았으며,
    * 폭염일수 : 일 최고기온 33℃이상인 날의 일수

 ○ 2017년 신고(5월 29일~ 8월 1일) 온열질환자는 919명(사망 5명)으로, 5년간 가장 온열환자가 많았던 전년 동 기간 대비 약 7% 증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기상청에 따르면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더위가 예상되며 폭염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 늦은 장마의 영향으로 온열질환자가 일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되는 8월 초 부터는 환자가  늘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폭염특보가 발효되는 날은 가장 취약한 시간(12시~5시)중 논과 밭 등 야외에서 장시간 작업하는 것을 피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을 병행하여야 한다.

□ 특히 고령자는 폭염에 더욱 취약할 수 있으므로, 논·밭작업 등 장시간 야외 활동을 피하고, 만성질환을 가진 어르신의 경우 평소 건강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본부는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 준수를 거듭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7-08-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71 리튬이온배터리 오염돼 발열 및 화재 위험 있는 수소수 제조기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10
2870 리튬전지로 작동하는 휴대용 선풍기, 인증정보 확인 후 구입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6 2017.05.19
2869 리퍼타운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7.19
2868 린트(Lindt) 초콜릿, 알레르기 성분 표시 미흡하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94 2020.05.21
2867 마감처리 불량에 따라 손 열상 위험있는 다이소 'NEW 양푼이'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3 2017.07.10
2866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3.12.04
2865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12.20
2864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3월14일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57 2016.03.16
2863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변동상황(2016.3.8.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48 2016.03.10
2862 마사지건 안전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09.06
2861 마스크 온라인 쇼핑 사기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3.16
2860 마스크 피부 발진, 화장품으로 개선? 믿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01.28
2859 막바지 겨울, 2월에는 한파, 대설, 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1.01.29
2858 만 12세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미접종 이유의 73.5%는 부작용 걱정, 실제로는 심각한 부작용 ´0´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7.08.17
2857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11.29
2856 만성콩팥병 환자 중 건강한 비만 환자도 콩팥기능 악화될 위험 높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3.29
2855 만성콩팥병, 진행될수록 합병증과 사망 위험성 커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9.03.14
2854 만트럭버스코리아(주) 덤프트럭 1,868대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6.08
2853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거주 또는 여행 시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4.23
2852 말라리아 매개모기 증가, 방역 강화와 신속한 진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