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장마철 차량침수 주의, 침수 시 자차보험 처리할 수 있어 -

게릴라성 폭우를 동반한 장마로 저지대, 하천변 또는 계곡에 주차하였다가 차량이 침수되는 피해가 매년 반복되고 있으며, 침수 차량이 중고차 시장에 유통되고 있으나 소비자들에게 침수 정보가 정확히 고지되지 않아 안전운행과 직결되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장마철 차량 주차시 상습침수지역 피하고, 차내 물품은 자차보험으로 보상 어려워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하천변, 고수부지, 저지대 등 상습침수지역에 주차하였다가 장마철 집중 폭우로 넘쳐나는 빗물에 차량이 침수되지 않도록 소비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차량이 침수되었을 경우 자동차보험의 자기차량손해(자차보험)에 가입한 차량은 차량가액 한도 내에서 보험금을 받을 수 있지만, ▲차량 도어나 선루프를 개방해 놓아 빗물이 들어간 경우는 침수로 인정되지 않으며, ▲차 안이나 트렁크에 실린 물품 피해는 보상이 어렵고, ▲무리한 침수지역 운행 등으로 인한 사고는 보험료가 할증될 수 있으므로 주차나 차량운행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손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중고차 성능상태점검기록부에 자발적 침수 정보제공 3.5%에 불과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2015년부터 2017년 상반기까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중고차 침수 관련 상담건수는 총 690건(연평균 276건)으로 침수차 관련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 침수 중고차 관련 소비자피해 상담 현황 >

(단위 : 건, %)

구 분201520162017.6.
건 수311241138690

침수차 관련 소비자피해 상담 690건 중, 중고차 거래 시 차량정보로 제공하는 성능상태점검기록부를 통해 침수차 여부가 확인된 건은 24건(3.5%)에 불과하여 중고차 성능상태점검기록부에 침수정보를 제대로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차 구입 시 침수여부 확인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침수된 차량이 중고차 시장에 유통되는 사례가 있으나 침수 정보가 정확히 고지되지 않아 안전운행과 직결되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고차를 구입할 경우 보험개발원의 카히스토리(www.carhistory.or.kr)를 통해 차량의 전손침수 사고 유무를 조회하거나 차량 전문가와 동행하여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아래와 같은 침수차의 구별방법을 참고하여 침수 차량인지 여부를 꼼꼼하게 확인하는 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침수차 구별방법 >

①보험개발원 카히스토리(www.carhistory.or.kr) 조회서비스를 이용하여 침수차 여부를 확인한다.

②차량 실내에 곰팡이 냄새 또는 악취가 나지 않는지 확인한다.

③안전벨트를 끝까지 당겨 안쪽에 진흙 흔적이나 물때가 있는지 확인한다.

④차량 구석구석에 모래나 진흙, 녹슨 흔적이 있는지 확인한다.

⑤배선 전체가 새 것으로 교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66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금’이 저소득층 중.고등학생의 꿈을 지원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30 81
2365 ‘보조금24’, 국가보조금 맞춤형서비스 새 이름으로 확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7 19
2364 ‘보건증을 카드로 만들어 활용도를 높여요’... ‘최고의 생각상’에 선정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7
2363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 하이패스 없이도 고속도로 통행료 무정차 납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3
2362 ‘버스·기차를 타고 떠나는 농촌여행’테마별 농촌여행코스 선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6 56
2361 ‘방탈출카페, 스크린체육시설 다중이용업소 지정’등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9 37
2360 ‘밥솥형 가열식 가습기’로 인한 영유아 화상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8 16
2359 ‘박물관을 찾아 떠나는 농촌 여행’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1 33
2358 ‘바로 이 목소리’, 보이스피싱 사기범의 목소리를 들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0 15
2357 ‘문화예술과 함께하는 농촌여행’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5 30
2356 ‘몰래 파손’ 도로시설물 복구에 쓰이는 혈세 줄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7 67
2355 ‘모바일 연계’ 철도서비스로 철도여행이 편리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5 12
2354 ‘모바일 부동산 앱’이용 시 허위·미끼성 매물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138
2353 ‘매실주’ 안전하게 담그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90
2352 ‘만 나이 통일법’ 후속조치 법령상 나이 기준 통일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2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