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다수 드론 리튬 배터리 보호회로 없어 폭발·발화 위험 커 -

최근 저렴한 가격의 취미·레저용(초급자용) 드론 보급이 늘어나면서 배터리 폭발·발화, 충돌에 의한 상해 등 관련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 2015.1.∼2017.5.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드론 관련 위해사례는 총 40건으로, 위해원인별로는 충돌에 의한 상해(23건), 배터리 폭발·발화(9건), 추락(8건) 등임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구매빈도가 높은 취미·레저용(초급자용) 드론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배터리 및 드론 본체의 안전성을 조사했다.

* (제품 브랜드별 국적) 중국 17개, 한국 2개, 프랑스 1개

8개 제품, 배터리 보호회로가 없어 폭발·발화 위험 높아

조사대상 제품 모두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안전성 시험* 결과, 8개 제품(40.0%)은 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없어 과충전 시 폭발·발화의 위험이 높았다.

* 드론 리튬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이 부재하여 ‘휴대용 밀폐 2차 전지 안전기준(KC62133)’을 준용

** 보호회로(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비정상적인 사용 조건에 의해 전지에 가해지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로부터 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자 회로 장치

실제로 보호회로가 미설치된 1개 제품은 과충전 시험 중 폭발해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프로펠러 안전가드, 대부분 상해사고 예방효과 없어

드론의 프로펠러는 빠르게 회전하고 날카로워 신체 접촉 차단을 통해 상해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보호장치(안전가드)가 필요하다.

그러나 4개 제품(20.0%)은 안전가드가 없었고, 9개 제품(45.0%)은 프로펠러 회전 반경보다 작거나 프로펠러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어 상해사고 예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심지어 일부 제품의 온라인 광고에는 안전가드가 사물과의 충돌 시 기체 또는 프로펠러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라고 설명하고 있었다.

안전기능의 부재로 비행중 추락 우려 높아

비행 중인 드론이 추락하게 되면 사람, 차량 등과 충돌할 위험이 높으므로 조종거리 이탈 또는 배터리 방전에 따른 추락에 대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조사대상 중 19개 제품(95.0%)은 조정거리를 벗어나면 아무런 경고 없이 추락하였고, 17개 제품(85.0%)은 송신기에 배터리 방전 경고 기능이 없어 비행 중 불시 추락의 우려가 높았다.

조종자 준수사항 표시 미흡하고, 야간비행 등 불법 조장 광고 성행

드론 조종자는 「항공안전법」에 따라 야간(일몰후 일출전), 인구밀집지역 비행금지 등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그러나 18개 제품(90.0%)은 조종자 준수사항 표시가 미흡했고, 특히 일부 제품은 야간비행을 조장하는 온라인광고를 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종자 준수사항 위반은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임.

드론 및 드론 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취미·레저용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드론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국가기술표준원에 ▲드론 본체 및 리튬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과, 국토교통부에는 ▲조종자 준수사항 홍보 강화 등을 건의할 예정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신체 상해방지를 위한 프로펠러 형상, 배터리 방전에 의한 추락방지를 위한 알림 기능 의무화, 고출력이 요구되는 배터리에 대한 전기적 안전 요구사항을 포함한 취미·레저용 드론 안전기준(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39 코로나19 관련 마스크 사용 개정 권고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0.03.10
2838 코로나19관련 마스크·손 소독제 물품구매를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사례 발생!,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5 2020.03.11
2837 어린이,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0.03.12
2836 마스크 온라인 쇼핑 사기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0.03.16
2835 유럽 지역 여행경보 2단계(황색경보, 여행자제)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0.03.17
2834 팽이버섯 생산업체에 대한 위생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3.18
2833 코로나19 관련 헬스장 이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3.19
2832 바이러스 소독을 위한 메탄올(공업용 알콜) 사용 경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20.03.23
2831 P2P 투자하기 전, 투자자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03.23
2830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가정 내 소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20.03.23
2829 학교 휴업 기간, 집에서 안전교육 받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20.03.23
2828 외교부, 全 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해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3.24
2827 코로나19 상황을 틈탄 불법대출광고 소비자피해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3.26
2826 질병관리본부,‘일본뇌염 주의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3.26
2825 코로나19 관련 안전한 휴대폰 소독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20.03.26
2824 건조한 4월, 산불·황사·농기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0.03.26
2823 2019-2020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0.03.27
2822 물티슈 정확히 알아보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4.01
2821 봄철 생활 주변 위험 신고는「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0.04.01
2820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개인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4.07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