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다수 드론 리튬 배터리 보호회로 없어 폭발·발화 위험 커 -

최근 저렴한 가격의 취미·레저용(초급자용) 드론 보급이 늘어나면서 배터리 폭발·발화, 충돌에 의한 상해 등 관련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 2015.1.∼2017.5.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드론 관련 위해사례는 총 40건으로, 위해원인별로는 충돌에 의한 상해(23건), 배터리 폭발·발화(9건), 추락(8건) 등임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구매빈도가 높은 취미·레저용(초급자용) 드론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배터리 및 드론 본체의 안전성을 조사했다.

* (제품 브랜드별 국적) 중국 17개, 한국 2개, 프랑스 1개

8개 제품, 배터리 보호회로가 없어 폭발·발화 위험 높아

조사대상 제품 모두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안전성 시험* 결과, 8개 제품(40.0%)은 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없어 과충전 시 폭발·발화의 위험이 높았다.

* 드론 리튬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이 부재하여 ‘휴대용 밀폐 2차 전지 안전기준(KC62133)’을 준용

** 보호회로(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비정상적인 사용 조건에 의해 전지에 가해지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로부터 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자 회로 장치

실제로 보호회로가 미설치된 1개 제품은 과충전 시험 중 폭발해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프로펠러 안전가드, 대부분 상해사고 예방효과 없어

드론의 프로펠러는 빠르게 회전하고 날카로워 신체 접촉 차단을 통해 상해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보호장치(안전가드)가 필요하다.

그러나 4개 제품(20.0%)은 안전가드가 없었고, 9개 제품(45.0%)은 프로펠러 회전 반경보다 작거나 프로펠러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어 상해사고 예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심지어 일부 제품의 온라인 광고에는 안전가드가 사물과의 충돌 시 기체 또는 프로펠러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라고 설명하고 있었다.

안전기능의 부재로 비행중 추락 우려 높아

비행 중인 드론이 추락하게 되면 사람, 차량 등과 충돌할 위험이 높으므로 조종거리 이탈 또는 배터리 방전에 따른 추락에 대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조사대상 중 19개 제품(95.0%)은 조정거리를 벗어나면 아무런 경고 없이 추락하였고, 17개 제품(85.0%)은 송신기에 배터리 방전 경고 기능이 없어 비행 중 불시 추락의 우려가 높았다.

조종자 준수사항 표시 미흡하고, 야간비행 등 불법 조장 광고 성행

드론 조종자는 「항공안전법」에 따라 야간(일몰후 일출전), 인구밀집지역 비행금지 등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그러나 18개 제품(90.0%)은 조종자 준수사항 표시가 미흡했고, 특히 일부 제품은 야간비행을 조장하는 온라인광고를 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종자 준수사항 위반은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임.

드론 및 드론 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취미·레저용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드론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국가기술표준원에 ▲드론 본체 및 리튬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과, 국토교통부에는 ▲조종자 준수사항 홍보 강화 등을 건의할 예정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신체 상해방지를 위한 프로펠러 형상, 배터리 방전에 의한 추락방지를 위한 알림 기능 의무화, 고출력이 요구되는 배터리에 대한 전기적 안전 요구사항을 포함한 취미·레저용 드론 안전기준(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31 라벨 미표기된(우유) 성분 함유한 Two bears 귀리 우유 음료(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2.05.04
2930 라벨 미표기된(헤이즐넛) 성분 함유되어 알레르기 위험 있는 MAISON COLIBRI 마들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08.24
2929 라벨 미표기된(헤즐넛) 성분 함유되어 알레르기 위험 있는 Godiva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5.04
2928 라벨 및 경고표시 미흡한 Science4You 향수 만들기 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8.17
2927 라벨 표기 미성분 함유한 Rocky Mountain Soap Company 손소독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08.23
2926 라벨링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CLEK 신생아 카시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2.03.10
2925 라벨링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CLEK 신생아 카시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22.03.10
2924 라벨에 땅콩 성분 미표기로 위해 위험있는 수플레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42 2015.04.23
2923 라벨에 미표기 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NISSIN 커리 누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0
2922 라벨에 미표기된 땅콩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Drizzilicious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4.03
2921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Brooklyn Bean 캡슐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4.06
2920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Go Max Go 초콜릿 캔디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3.04.05
2919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우유)가 함유된 Funny-frisch 프레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9
2918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우유)이 포함된 M & S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3.03.10
2917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ONISIFOODS 레토르트 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4.05
2916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Skinnydipped 견과류 가공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3.03.10
2915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Skinnydipped 견과류 가공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3.10
2914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Tohato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3.03.10
2913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사과 차 및 초콜릿 캔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3.16
2912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함유된 Boots 유아 종합 비타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3.04.10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