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다수 드론 리튬 배터리 보호회로 없어 폭발·발화 위험 커 -

최근 저렴한 가격의 취미·레저용(초급자용) 드론 보급이 늘어나면서 배터리 폭발·발화, 충돌에 의한 상해 등 관련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 2015.1.∼2017.5.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드론 관련 위해사례는 총 40건으로, 위해원인별로는 충돌에 의한 상해(23건), 배터리 폭발·발화(9건), 추락(8건) 등임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구매빈도가 높은 취미·레저용(초급자용) 드론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배터리 및 드론 본체의 안전성을 조사했다.

* (제품 브랜드별 국적) 중국 17개, 한국 2개, 프랑스 1개

8개 제품, 배터리 보호회로가 없어 폭발·발화 위험 높아

조사대상 제품 모두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안전성 시험* 결과, 8개 제품(40.0%)은 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없어 과충전 시 폭발·발화의 위험이 높았다.

* 드론 리튬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이 부재하여 ‘휴대용 밀폐 2차 전지 안전기준(KC62133)’을 준용

** 보호회로(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비정상적인 사용 조건에 의해 전지에 가해지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로부터 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자 회로 장치

실제로 보호회로가 미설치된 1개 제품은 과충전 시험 중 폭발해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프로펠러 안전가드, 대부분 상해사고 예방효과 없어

드론의 프로펠러는 빠르게 회전하고 날카로워 신체 접촉 차단을 통해 상해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보호장치(안전가드)가 필요하다.

그러나 4개 제품(20.0%)은 안전가드가 없었고, 9개 제품(45.0%)은 프로펠러 회전 반경보다 작거나 프로펠러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어 상해사고 예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심지어 일부 제품의 온라인 광고에는 안전가드가 사물과의 충돌 시 기체 또는 프로펠러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라고 설명하고 있었다.

안전기능의 부재로 비행중 추락 우려 높아

비행 중인 드론이 추락하게 되면 사람, 차량 등과 충돌할 위험이 높으므로 조종거리 이탈 또는 배터리 방전에 따른 추락에 대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조사대상 중 19개 제품(95.0%)은 조정거리를 벗어나면 아무런 경고 없이 추락하였고, 17개 제품(85.0%)은 송신기에 배터리 방전 경고 기능이 없어 비행 중 불시 추락의 우려가 높았다.

조종자 준수사항 표시 미흡하고, 야간비행 등 불법 조장 광고 성행

드론 조종자는 「항공안전법」에 따라 야간(일몰후 일출전), 인구밀집지역 비행금지 등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그러나 18개 제품(90.0%)은 조종자 준수사항 표시가 미흡했고, 특히 일부 제품은 야간비행을 조장하는 온라인광고를 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종자 준수사항 위반은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임.

드론 및 드론 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취미·레저용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드론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국가기술표준원에 ▲드론 본체 및 리튬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과, 국토교통부에는 ▲조종자 준수사항 홍보 강화 등을 건의할 예정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신체 상해방지를 위한 프로펠러 형상, 배터리 방전에 의한 추락방지를 위한 알림 기능 의무화, 고출력이 요구되는 배터리에 대한 전기적 안전 요구사항을 포함한 취미·레저용 드론 안전기준(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7-08-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1 스마트 도어록 선택 요령 및 사용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7.07
3150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9.16
3149 라벨 미표기된 성분(달걀) 함유한 Barilla 라자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9.30
3148 트리스(2-메톡시에톡시)비닐실란 과다 함유한 MANNOL 실리콘 밀폐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0.17
3147 벤젠 검출된 Bed Head 드라이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6
3146 허용치 초과 에틸렌옥사이드 함유해 리콜된 Now Foods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6
3145 유해 물질 검출된 YCOO 로봇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4.24
3144 이물질(유리조각)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Jean Herve 아몬드 스프레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9.19
3143 TBHQ 성분 함유된 Natural Life 프로폴리스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142 제품 일부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Disney 토이스토리 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141 유해물질 검출된 Sportmix 개사료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2.26
3140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5.03
3139 식품 모방 화장품 섭취.삼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6.04
3138 기준을 초과한 프탈레이트를 함유한 봉제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11.04
3137 발화 위험이 있는 PACATTO 충전식 연필깎이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2.12.08
3136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Dove 드라이 샴푸(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2.12.15
3135 작동하지 않는 Petrico 연기 및 일산화탄소 감지ㆍ경보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3.05.26
3134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따라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09.10
3133 올 겨울에는 내 주변 눈치우기 꼭 실천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11.29
3132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Pukka 강황 건강보충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1.11.04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