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6년 건강보험 진료환자 172만 명… 남성 71만 명, 여성 101만 명

10대(30만 8천 명), 20대(30만 3천명), 30대(29만 1천 명) 순

눈다래끼 ☞

눈꺼풀에 존재하는 마이봄샘이나 짜이스샘에 발생한 급성 세균감염이며, 마이봄샘에 생기면 속다래끼, 짜이스샘에 생기면 겉다래끼라고 한다. 반면에 마이봄샘의 입구가 막히면서 피지가 눈꺼풀판과 주위 연부 조직으로 분비되면서 염증반응을 일으 키는 비감염성 염증질환은 콩다래끼라고 함.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눈다래끼, (H00)’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1년 167만 4천 명에서 2016년 172만 2천명으로 연평균 (0.6%↑)증가하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011년 68만 7천 명에서 2016년 71만 명으로 연평균 (0.7%↑)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1년 98만 8천 명에서 2016년 101만2천 명으로 연평균 (0.5%↑) 증가하였다.

진료비는 2011년 842억 원에서 2016년 981억 원으로 연평균 (3.1%↑) 증가하였다.

< 연도별 ‘눈다래끼’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

(단위 : 명, 백 만원)

연도별 ‘눈다래끼’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구 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연평균
증가율(%)
진료실인원 1,674,438  1,679,865  1,730,880  1,693,549  1,679,997  1,721,941  0.6%
- 남성 686,955  692,153  711,700  697,271  689,721  709,599  0.7%
- 여성  987,483  987,712  1,019,180  996,278  990,276  1,012,342  0.5%
진료비 84,166  82,792  87,404  89,568  91,984  98,092  3.1%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10대(30만 8천 명, 17.9%)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20대(30만 3천명, 17.6%), 30대(29만 1천 명, 16.9%)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40대(12만 1천 명, 17.0%) 30대(11만 8천 명, 16.6%), 10대(10만 7천 명, 15.1%) 순으로 보였고, 여성은 20대(20만 4천 명, 20.2%), 10대(20만 명, 19.8%), 30대(17만 3천 명, 17.2%)순으로 나타났다.

< 2016년 ‘눈다래끼’ 건강보험 연령대별 성별 진료환자 현황 >

(단위 : 명, %)

2016년 ‘눈다래끼’ 건강보험 연령대별 성별 진료환자 현황
구분전체9세 이하10대20대30대40대50대60대70대 이상
  1,721,941  214,202  307,698  303,329  291,003  256,716  202,840  97,539  48,614
  (100%)  (12.4%)  (17.9%)  (17.6%)  (16.9%)  (14.9%)  (11.8%)  (5.7%)  (2.8%)
남성  709,599  98,046  107,229  99,001  117,652  120,827  96,290  47,807  22,747
  (100%)  (13.8%)  (15.1%)  (14.0%)  (16.6%)  (17.0%)  (13.6%)  (6.7%)  (3.2%)
여성  1,012,342  116,156  200,469  204,328  173,351  135,889  106,550  49,732  25,867
  (100%)  (11.5%)  (19.8%)  (20.2%)  (17.2%)  (13.4%)  (10.5%)  (4.9%)  (2.6%)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젊은층『 10대, 20대』 여성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20대 여성은 본인의 외모에 제일 관심이 많을 때로 그로 인하여 빨리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조기 치료를 위해 일찍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10대 여성의 경우는 아직 위생 관념이 많지 않아 손 청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불량한 눈 위생 상태, 스트레스 상황 등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잘 낫지 않고 재발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부모님들의 걱정 때문에 병원을 더 찾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눈다래끼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문제점에 대해서는 결절 및 부종으로 인한 미용적인 문제 외에도 드물게 표재성 연조직염이나 농양으로 진행하여 치료가 어려워 질 수 있으며 전형적이지 않거나 자주 재발하여 악성 병변이 의심될 때는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16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은 10대가 7,925명으로 가장 많고, 20대 6,351명, 10대 5,286명 순이며, 남성은 9세 이하에서 4,224명으로 가장 많고, 10대 3,900명, 30대 2,972명 순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진료환자의 월별 추이를 보면, 여름철에 환자가 많은데, 7월~ 8월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8월에 417명, 7월 391명, 9월 382명 순이었다.

박종운 교수는 여름철(8월)에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눈다래끼는 세균 감염에 의한 질환이기 때문에 굳이 계절적 요인이 중요하지는 않지만, 여름철에는 야외활동이 많고 그로 인해 개인위생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환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하였다.

요양기관 종별로 현황을 보면, 2016년 기준으로 의원을 방문한 환자는 167만명, 약국은 166만명, 병원은 4만 6천 명, 종합병원은 1만 7천 명, 상급종합병원은 7천 명 순이었다.

< 연도별 건강보험 요양기관 종별 ‘눈다래끼’ 진료실인원 현황 >

(단위 : 명)

연도별 건강보험 요양기관 종별 ‘눈다래끼’ 진료실인원 현황
구 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 연평균
증가율(%)
상급종합  6,896  6,180  6,547  6,501  6,447  6,762  ↓0.4%
종합병원  17,697  16,641  18,369  18,426  17,473  17,307  ↓0.4%
병 원  36,488  42,549  46,526  44,484  44,140  45,740    4.6%
의 원  1,626,075  1,627,992  1,674,831  1,640,026  1,627,409  1,668,509    0.5%
보건기관  4,157  4,141  4,365  4,051  4,026  3,918  ↓1.2%
약 국  1,602,5781,609,157  1,664,287  1,624,687  1,614,362  1,655,135 0.6%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눈다래끼(H00)’ 의 예방법, 진단·검사 및 치료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눈다래끼’ 질환의 증상
    • 겉다래끼는 초기에는 발적과 소양감(가려운 느낌)이 있다가 곧 붓고 통증이 생기며, 속다래끼는 겉다래끼보다 깊게 위치해 초기에는 결절이 만져지지 않다가 점점 진행되면서 붓고 통증이 생긴다. 또 눈꺼풀 가장자리 피부 밑에서 단단한 결절이 만져지는 콩다래끼는 속다래끼와 겉모습은 비슷하나 발적과 통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 ‘눈다래끼’ 질환의 진단·검사
    • 육안적 관찰 및 세극등 검사를 통해 임상적으로 진단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세균배양 검사 등을 하지는 않는다.
  • ‘눈다래끼’ 질환의 치료 및 수술방법
    • 일반적으로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별 치료 없이도 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해지면 항생제 안약을 넣고 내복약을 복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적 치료로 그 부위를 째고 병변을 긁어내는 시술을 받을 수도 있으며 병변내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 등을 고려할 수 있다.
  • ‘눈다래끼’ 질환의 예방법
    • 눈다래끼는 주로 세균감염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항상 손 위생을 청결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안검의 위생을 향상시키기 위한 청결제를 사용하는 것도 눈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작성기준 ◈

  •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비급여, 한의분류 제외),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 수진기준(진료인원은 약국진료건 제외), 2016년은 2017년 5월 청구분까지 반영, 미청구분 자료 있을 수 있음.
  •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 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본 자료는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실제 유병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 대상 질병코드 : 눈다래끼(H00)


[ 보건복지부 2017-07-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75 김장철 주요 김장 재료 6개 중 5개 전통시장이 저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7 62
4474 금융꿀팁 200선 - (19) 변액보험 가입자가 알아둘 필수정보 7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6 62
4473 전자금융거래시 금융소비자 편의성 제고 추진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5 62
4472 10월 주택인·허가 5.2만호, 분양승인은 6.0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8 62
4471 ELS 등 판매시 투자자 숙려제도가 시행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5 62
4470 뇌종양, 시공간적 유전체 분석으로 정밀의료 실현에 다가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4469 구제역․AI 발생 동향 및 방역 추진 상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4468 유통기한을 변조한 냉동 오리고기 판매 업체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7 62
4467 11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기대비 6.5%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2 62
4466 허위 과대광고 행위 떴다방, 의료기기 체험방 등 52곳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6 62
4465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처음 맞는 설, 농식품 소비촉진 및 수급안정지원 확대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1 62
4464 에어컨 온라인 구입 시 설치 관련 소비자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9 62
4463 보험사기 예방 3중 레이다망으로 고질적 보험사기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4 62
4462 식약처, 2016년 제네릭의약품 개발동향 분석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1 62
4461 구제역;AI 관련 축산물 부당 가격인상 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2 62
Board Pagination Prev 1 ...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