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건강식품 관련 불만 감소, 이동전화서비스 및 치과 관련 불만 증가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고령소비자* 불만상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 소비자 불만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소비자의 불만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령소비자 :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상담을 접수한 소비자 중 연령이 60세 이상인 소비자

고령소비자 불만 매년 3만 건 이상 접수, ‘16년에는 ‘12년 대비 17.9% 증가

최근 5년간(2012년~2016년) 고령소비자 불만은 총 172,680건으로 매년 3만 건 이상 접수되었으며, 2012년 대비 2016년에 전체 소비자 불만은 4.1%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고령소비자 불만은 1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12년~2016년) 고령소비자 불만은 총 172,680건으로 매년 3만 건 이상 접수됨 

여성보다 남성의 불만이 더 많아

다른 연령대의 경우, 여성의 불만이 남성보다 많았지만 고령소비자는 여성(40.0%)보다 남성(60.0%)의 불만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n=172,680).

그러나 남성 고령소비자의 불만 비율은 2012년 61.5%에서 2016년 58.9%로 감소한 반면에 여성 고령소비자의 불만 비율은 2012년 38.5%에서 2016년 41.1%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른 연령대의 경우, 여성의 불만이 남성보다 많았지만 고령소비자는 여성(40.0%)보다 남성(60.0%)의 불만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이동전화서비스, 스마트폰·휴대폰 관련 불만 다발

최근 5년간 고령소비자 불만 다발 품목은 스마트폰·휴대폰, 이동전화서비스, 건강식품, 상조서비스, 치과의 순이었다. 이 중 건강식품 관련 불만은 2013년 이후 감소한 반면 치과·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부터는 고령소비자 불만 중 가장 많은 품목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남성은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이, 여성은 치과 관련 불만이 가장 많았다.

건강식품 관련 불만은 2013년 이후 감소한 반면 치과·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부터는 고령소비자 불만 중 가장 많은 품목인 것으로 나타남. 

고령소비자 불만 다발 지역은 서울, 대전, 광주 순

2016년 기준 60세 이상 인구 천 명 당 소비자 불만이 가장 다발한 지역은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순이었다. 또한 서울특별시는 2012년부터는 고령소비자 불만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광주광역시·전라남도·제주도는 오히려 불만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판매 관련 불만은 감소, TV홈쇼핑·전자상거래는 증가 추세

최근 5년간 고령소비자 불만이 가장 많은 특수거래유형은 방문판매였다. 하지만 방문판매 관련 불만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TV홈쇼핑 및 전자상거래 관련 불만은 5년 전 보다 7.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n=37,570).

고령소비자 불만 인포맵 및 맞춤형 정보 제공

한국소비자원은 광역시·도별로 고령소비자 불만 다발 품목 및 특수거래유형 등 고령소비자 빅데이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포맵을 제작하여 한국소비자원 빅데이터 홈페이지(http://data.kca.go.kr)에 제공할 예정이며 고령자 등 취약계층 소비자의 권익 증진을 위해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 소비자원 2017-07-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24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및 고령 투자자에 대한 녹취, 숙려제도가 시행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44
10123 고농도 미세먼지“나쁨”이면 어린이집 결석해도 출석 인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9 41
10122 고독사 예방을 위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9 21
10121 고독사예방법 시행령 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3.2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3 16
10120 고등학교 때 뭘 배웠더라? 직무능력은행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26 1
10119 고랭지배추 수급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1 84
10118 고려인삼 불법 판매업소 특별단속 결과, 10개소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4 61
10117 고령 근로자에게 재취업지원 서비스 제공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8 21
10116 고령 소비자 23.3%가 최근 1년 내 악덕상술 피해 입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9 62
10115 고령 운전자 면허반납 및 인센티브 지원신청 한 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16
10114 고령 천식환자 응급실 내원 1월부터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3 85
10113 고령 환자 의료 사고, 10건 중 6건 수술·시술에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7 104
» 고령소비자 불만상담, 5년 전보다 17.9%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4 41
10111 고령소비자 의약품 선택권 강화를 위한 정책 대안 마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42
10110 고령소비자, 정수기 렌탈계약 시 중요정보 확인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31 39
Board Pagination Prev 1 ...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