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행성 눈병감염 예방 주의 당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2015년 안과감염병 표본감시체계 자료를 분석 한 결과 2014년 대비 유행성 눈병 환자 수가 증가하여 여름철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안과감염병 표본감시체계는 20038월부터 운영, 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을 신고하는 감시체계로 2015년 안과개원의 83개 의원기관 참여

 

2014년과 201528(75~711) 동기간 대비하여 재원 환자 수 1,000명당 유행성각결막염 환자 수는 16.9명에서 24.5명으로 45.0% 증가하였고, 급성출혈성결막염은 재원 환자 수는 1.5명에서 2.9명으로 93.3% 증가하였다.

 

또한 201527(628~74) 재원 환자 수 1,000명당 유행성각결막염 환자 수는 23.1, 급성출혈성결막염 환자 수는 2.7명에 비해 28주의 환자수가 증가하였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여름철 유행성 눈병 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각 지자체에 유행성 눈병 예방수칙을 시달(720)하고, 예방활동을 철저히 기해 줄 것을 당부하였고,

 

특히, 집단생활을 많이 하는 아동 및 청소년층에게 많은 발생을 보이므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단체 생활시설에 손 씻기 등의

 

개인위생 수칙 준수와 이상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조기에 반드시 진료를 받도록 당부하였다.

 

연령별로 유행성각결막염은 0-6세 연령군이 재원 환자 수 1,000명당 75.4, 급성출혈성결막염은 7-19세 연령군이 9.8명으로 가장 많았다.

 

 

유행성 눈병 감염 예방 수칙

비누를 사용하여 흐르는 수돗물에 손을 철저히 씻도록 한다.

손으로 얼굴, 특히 눈 주위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건이나 개인 소지품 등을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유행성 눈병 환자행동 수칙

눈에 부종, 충혈 또는 이물감 등이 있을 때에는 눈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증상 완화 및 세균에 의한 이차 감염 또는 기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안과 진료를 받도록 한다.

환자는 전염기간(2주간) 동안에 어린이집, 유치원 및 학교 등은 쉬고,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나 수영장 등은 가지 않도록 한다.

 

 

[보건복지부 2015-07-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43 자해·자살 환자 중 10-20대 비율 10년 새 15%p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8 10
3142 자활급여 인상으로 취약계층 지원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21
3141 자활급여, 우체국 금융망을 통해 압류방지 전용통장으로 지급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5 75
3140 작년 4분기 지가 0.96% 상승, 거래량은 8.3%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6 91
3139 작년 4분기 지가 1.03% 상승, 거래량은 2.7%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4 36
3138 작년 보이스피싱 피해자 1인당 1,700만원 피해, 전년比 1.5배↑ -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현황 분석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7 25
3137 작년 첫 인구감소 이후, 올해도 3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7 21
3136 작년부터 시범 착용한 민방위복, 올해 정식 개편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30 15
3135 작년에 미리 냈더니 통지서가 안 나왔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4 23
3134 작은 방심도 위험, 주택화재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9 26
3133 작은 불씨도 조심해서 산불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3 49
3132 작지만 크게 느끼는 불편, 속 시원히 해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9 59
3131 잔류농약 검출 수입 천연향신료 등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0 16
3130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아보카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4
3129 잔류농약 기준 초과 곡류가공품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24 87
Board Pagination Prev 1 ...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