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최근 독성해파리가 전국 연안에 출현하고 있어 해수욕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의 해파리 출현정보 자료집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주로 나타나는 독성해파리는 7종으로 ‘노무라입깃 해파리’와 ‘보름달물해파리’가 가장 많이 출현한다.

우리나라의 독성해파리의 발견율은 피서철인 7월 말부터 8월까지 가장 높게 나타나, 해수욕장 물놀이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노무라입깃해파리’는 중국에서 우리나라 연안으로 유입되는 외래유입 종으로, 크기가 최대 2m에 달하고, 독성이 매우 강해 해수욕객과 어업종사자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건강보험평가원에 의하면 지난 3년간(‘14년~’16년) 해파리 등 독성 바다동물과 접촉으로 발생한 환자는 총 2,303명으로 7월부터 급증하여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파리에 쏘이면 즉시 물 밖으로 나와 몸에 붙은 촉수를 먼저 제거하고 바닷물이나 식염수로 여러 번 세척한 후 냉찜질 또는 온찜질(45℃ 내외)로 통증을 완화시켜야 한다.

특히, 강독성 해파리에 쏘여서 호흡곤란·의식불명·전신 통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즉시 의료진의 도움을 요청하여 응급치료를 받아야 한다.

상처를 문지르거나, 수돗물, 식초, 알코올로 세척하는 것은 독을 더 퍼지게 할 수 있으니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국민안전처 조덕진 안전기획과장은 “해수욕장을 찾은 국민들께 바다에서 해파리에 쏘이면 즉시 물 밖으로 나와야 하며 해수욕 전에 독성해파리 응급대처법을 충분히 숙지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국민안전처 2017-07-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73 ㈜Wonderchef社의 압력솥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87 2017.04.27
472 식용란 선별포장 적용 대상 및 허가 요건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7 2019.10.24
471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XHBTS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7 2022.06.13
47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28~2016.11.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88 2016.11.07
469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 땅콩 미표기 팟타이 소스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89 2017.04.27
468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0 2017.05.25
467 Atomik 운동 보조제, 우울증 및 호흡 곤란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0 2019.03.12
466 Graco 휴대용 아기침대(Travel Lite Crib), 표시사항 위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1 2017.10.31
465 훈제건조어육 가공품 일부 제품, 벤조피렌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1 2019.07.18
46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Roasted Garlic 구운 마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1 2021.01.29
463 흙먼지털이 시설에 설치된 공기분사기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1 2021.03.25
462 도어래치 작동불량 발생하는 기아(주) 스포티지(QL) 차량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1 2022.05.02
461 화학제품 안전관리 대책 이행…화평법 개정안 입법예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2 2017.06.13
460 휴대용 가스레인지 관련 사고 26%는 봄철에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3 2021.04.02
45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4.15∼2016.4.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6 2016.04.25
458 삼킬 위험이 있는 Work ’N Leisure Products社 일회용 심폐소생교육 밸브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6 2017.02.08
457 피셔프라이스 전동바운서, 과열로 인한 화재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6 2018.02.07
456 2017년 1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7 2017.02.27
455 패류독소 조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9 2017.03.21
454 Safety-1st, 쉽게 파손되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9 2017.06.02
Board Pagination Prev 1 ...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