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름철에 전체 익수사고의 44% 발생

특히 어린이·청소년의 경우 익수사고의 57%가 여름철에 발생

남자가 여자보다 익수사고 더 많이 발생 (남자 67%, 여자 33%)

물놀이 안전가이드라인을 잘 지키면 익수사고 예방 가능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휴가철을 맞아 여름철에 빈번히 발생하는 익수사고에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의 경우, 여름철 익수 및 익사사고 발생이 높은 연령층으로, 부모 등 보호자가 안전가이드라인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손상 발생 및 원인을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응급실 기록)의 최근 6년간('10~15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익수사고**는 1,170명이 발생하고 이중 243명이 사망, 44%가 여름철에 집중 발생하였다. (붙임1 참조)

*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는 2006년부터 5개 의료기관 참여로 시작되었고, 2017년 현재 23개 기관이 참여하여 응급실 내원한 손상환자의 유형 및 원인 정보를 조사, 2010-2015년 146만 4천 건(연간 평균 24만 건) 조사
** 익수사고는 물에 빠지는 사고를 말하며,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서는 익수사고 후 의료기관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를 조사

익수사고로 인해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은 여름에 44% > 봄에 21% > 가을에 21% > 겨울에 14%를 차지하였고,

남자가 여자보다 2배 정도 익수사고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익수사고 발생분율이 전 연령층에서 여름철에 동일하게 높았지만, 0-18세 경우 익수사고 발생분율이 57%로, 성인(38%)의 1.5배 수준이다.

익수사고로 인해 사망한 경우는 여름에 42% > 봄에 22% > 가을에 19% > 겨울에 15%를 차지하였고,

익수사고로 인한 사망도 남자가 여자보다 3배 정도 많다.

익수로 인한 사망도 0-18세에서 66%로, 성인(38%)의 1.7배 수준이며, 성인에 비해서 여름철에 피해 정도가 더 크다.

질병관리본부는 어른용, 어린이용 물놀이 안전가이드라인과 웹진을 개발한 바 있으며,

어른용 가이드라인은 ① 물가, 야외에 나갔을 경우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 것, ② 익수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수칙을 숙지할 것, ③ 장소별 주의사항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붙임 2 참조)

어린이 익수사고는 보호자가 방치하거나 잠시 소홀한 틈에 갑자기 발생하며, 유사시 빠른 대처를 위해 함께 들어가는 것이 안전하다.

물에 빠진 아이 구출 시 구조자의 안전 확보가 중요하고, 빠른 구조 요청과 심폐소생술 실시 등이 중요하다.

바닷가나 강가의 경우, 물살이나 파도, 물의 깊이를 먼저 확인하고, 신발이나 물건이 떠내려가면 반드시 어른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지도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해 관련 물놀이 안전, 교통안전, 가정안전, 화상안전 등 영역별 안전가이드라인을 웹진․웹툰 형태(‘어린이용’과 ‘어른용‘)로 개발하여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한국생활안전연합(www,safia.org)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하고 있음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익수로 인한 사망은 어리고 건강한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므로 어린이, 청소년, 남학생에 대한 집중적인 지도가 필요하다.”라고 하면서,

국민안전처, 지역사회 등의 예방관리 활동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와 관련해서 질병관리본부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등을 통해 익수사고 등 관련 통계를 지속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91 유리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Freche Freunde 이유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3.01.16
2990 유럽 지역 여행경보 2단계(황색경보, 여행자제)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3.17
2989 유럽 등 홍역유행 … 여행전 예방접종 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18.07.09
2988 유니버셜 보험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12.16
2987 위험 및 주의문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헤드라이트 복원 용액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03
2986 위생취약우려 식품취급시설 점검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7.08.11
2985 위드펫 / WithPe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1.10.18
2984 원자재 ETF,ETN 투자유의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2.03.17
2983 원료 함량이 승인 배합량과 다른 마쓰다 입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2.08.23
2982 원료 원산지 정보 잘못 기재한 불독(ブルドック) 오꼬노미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1.01.27
2981 웁스(WHOOPS)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23
2980 우유 성분이 실제보다 적게 표기되어 알레르기 발생 위험이 있는 초콜릿 제품 판매 중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1 2016.06.09
2979 우유 성분 미표기한 비타민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39 2017.03.06
2978 우유 성분 미표기로 알레르기 위험 있는 UpSpring 영유아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0.10.05
2977 우유 성분 미표기로 알러지 위험 있는 Black Instant Coffee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14 2015.05.22
2976 우유 성분 미표기된 쿠키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1 2017.03.06
2975 우유 성분 미표기된 초콜렛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59 2017.03.06
2974 우유 성분 미표기된 Nature’s Way 어린이 영양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0.11.23
2973 우수판매업소 지원 확대 및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8 2016.07.26
2972 우센지코리아 / 화청주식회사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7 2022.06.14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