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름철에 전체 익수사고의 44% 발생

특히 어린이·청소년의 경우 익수사고의 57%가 여름철에 발생

남자가 여자보다 익수사고 더 많이 발생 (남자 67%, 여자 33%)

물놀이 안전가이드라인을 잘 지키면 익수사고 예방 가능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휴가철을 맞아 여름철에 빈번히 발생하는 익수사고에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의 경우, 여름철 익수 및 익사사고 발생이 높은 연령층으로, 부모 등 보호자가 안전가이드라인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손상 발생 및 원인을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응급실 기록)의 최근 6년간('10~15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익수사고**는 1,170명이 발생하고 이중 243명이 사망, 44%가 여름철에 집중 발생하였다. (붙임1 참조)

*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는 2006년부터 5개 의료기관 참여로 시작되었고, 2017년 현재 23개 기관이 참여하여 응급실 내원한 손상환자의 유형 및 원인 정보를 조사, 2010-2015년 146만 4천 건(연간 평균 24만 건) 조사
** 익수사고는 물에 빠지는 사고를 말하며,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서는 익수사고 후 의료기관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를 조사

익수사고로 인해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은 여름에 44% > 봄에 21% > 가을에 21% > 겨울에 14%를 차지하였고,

남자가 여자보다 2배 정도 익수사고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익수사고 발생분율이 전 연령층에서 여름철에 동일하게 높았지만, 0-18세 경우 익수사고 발생분율이 57%로, 성인(38%)의 1.5배 수준이다.

익수사고로 인해 사망한 경우는 여름에 42% > 봄에 22% > 가을에 19% > 겨울에 15%를 차지하였고,

익수사고로 인한 사망도 남자가 여자보다 3배 정도 많다.

익수로 인한 사망도 0-18세에서 66%로, 성인(38%)의 1.7배 수준이며, 성인에 비해서 여름철에 피해 정도가 더 크다.

질병관리본부는 어른용, 어린이용 물놀이 안전가이드라인과 웹진을 개발한 바 있으며,

어른용 가이드라인은 ① 물가, 야외에 나갔을 경우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 것, ② 익수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수칙을 숙지할 것, ③ 장소별 주의사항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붙임 2 참조)

어린이 익수사고는 보호자가 방치하거나 잠시 소홀한 틈에 갑자기 발생하며, 유사시 빠른 대처를 위해 함께 들어가는 것이 안전하다.

물에 빠진 아이 구출 시 구조자의 안전 확보가 중요하고, 빠른 구조 요청과 심폐소생술 실시 등이 중요하다.

바닷가나 강가의 경우, 물살이나 파도, 물의 깊이를 먼저 확인하고, 신발이나 물건이 떠내려가면 반드시 어른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지도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해 관련 물놀이 안전, 교통안전, 가정안전, 화상안전 등 영역별 안전가이드라인을 웹진․웹툰 형태(‘어린이용’과 ‘어른용‘)로 개발하여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한국생활안전연합(www,safia.org)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하고 있음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익수로 인한 사망은 어리고 건강한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므로 어린이, 청소년, 남학생에 대한 집중적인 지도가 필요하다.”라고 하면서,

국민안전처, 지역사회 등의 예방관리 활동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와 관련해서 질병관리본부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등을 통해 익수사고 등 관련 통계를 지속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92 리커머스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12
2891 리튬 이온 배터리 불량으로 발열 및 발연 우려 있는 파이오니아 블랙박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1.06.24
2890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 위험 있는 Ancheer 전기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3.04.07
2889 리튬이온배터리 과열로 화재 발생 위험있는 유아용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2888 리튬이온배터리 오염돼 발열 및 화재 위험 있는 수소수 제조기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10
2887 리튬전지로 작동하는 휴대용 선풍기, 인증정보 확인 후 구입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6 2017.05.19
2886 리퍼타운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7.19
2885 린트(Lindt) 초콜릿, 알레르기 성분 표시 미흡하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96 2020.05.21
2884 마감처리 불량에 따라 손 열상 위험있는 다이소 'NEW 양푼이'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5 2017.07.10
2883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3.12.04
2882 마리오아울렛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20
2881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3월14일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63 2016.03.16
2880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변동상황(2016.3.8.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52 2016.03.10
2879 마사지건 안전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09.06
2878 마스크 온라인 쇼핑 사기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3.16
2877 마스크 피부 발진, 화장품으로 개선? 믿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01.28
2876 막바지 겨울, 2월에는 한파, 대설, 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1.01.29
2875 만 12세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미접종 이유의 73.5%는 부작용 걱정, 실제로는 심각한 부작용 ´0´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7.08.17
2874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11.29
2873 만성콩팥병 환자 중 건강한 비만 환자도 콩팥기능 악화될 위험 높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18.03.29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