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휴가철을 맞이하여 캠핑 등 야외활동에서 많이 사용하는 알루미늄 식기를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국민들에게 올바른 사용방법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 알루미늄은 식품용 금속제의 한 종류로 주로 냄비, 일회용 용기, 호일 등 조리용 기구‧용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부피가 작아 운반과 취급이 편리하고 깨질 우려가 없고 사용 후 재활용과 폐기처리도 쉬워 캠핑‧소풍 등 야외활동 시 식품을 담거나 싸는데 사용되며, 특히 호일은 불판위에 깔아 고기 등을 구울 때도 많이 이용된다.

□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늄 식기의 특징과 사용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알루미늄 식기의 특징 >
○ 알루미늄 재질의 기구‧용기는 식품을 조리 또는 보관하는 과정에서 식품으로 이행되어 섭취될 가능성이 있는 중금속에 대해서 용출 규격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표시로도 ‘식품용’으로 구분 표시하도록 관리하고 있다.
* 알루미늄 식기의 용출 규격: 납(0.4ppm이하), 카드뮴(0.1ppm이하), 니켈(0.1ppm이하), 6가크롬(0.1ppm이하), 비소(0.2ppm이하)
* 비식품용 기구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식품 안전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식품용 기구 구분 표시제도’를 2015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
( ‘15년 금속제→‘16년 고무제→‘17년 합성수지제→‘18년 유리제 등 7종)
○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높고, 무게가 가벼우며 쉽게 녹이 슬지 않아 주로 냄비나 일회용 용기, 호일 제품에 사용된다.
○ 알루미늄 식기를 제조할 때 산성용액에 담가 전기를 흘려주는 공정(양극산화)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산화피막이 생성된다.
- 생성된 산화피막으로 경도와 내구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음식물이 쉽게 들러붙지 않는 표면을 만들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 양극산화(Anodizing): 산성용액에 담가 전기를 흘려주는 공정으로 이 과정에 의해 재질 표면을 산화시켜 일정 두께의 산화알루미늄 피막 형성
* 경도 :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한 마모, 긁힘 등에 저항하는 강도
- 또한, 양극산화 과정에서의 온도와 전압, 알루미늄 합금 종류에 따라 백색, 황색, 검은색 등의 색깔이 나타나 시중에서 다양한 색깔의 냄비로 유통된다.

< 알루미늄 식기의 사용 시 주의사항 >
○ 알루미늄 냄비를 새로 구입한 경우에는 물을 넣고 끓인 후 사용하면 산화피막을 견고하게 만들어 주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산화피막 : 내부부식을 보호하기 위해 알루미늄 산화물로 피복하는 것
○ 산화피막이 벗겨지면 알루미늄이 용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알루미늄 식기에 음식을 조리할 때에는 목재 등 부드러운 재질의 기구를 사용하고, 조리 후 식기를 세척할 때에는 금속 수세미 같은 날카로운 재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오래 사용하여 색상이 변하고 흠집이 많은 알루미늄 식기는 알루미늄이 쉽게 용출되거나 음식물 찌꺼기가 흠집에 끼어 미생물 번식 가능성이 있으므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식초·토마토소스와 같이 산도가 강하거나, 절임·젓갈류와 같이 염분이 많은 식품은 금속 성분 용출을 증가시키므로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에 장기간 보관하지 않도록 한다.
- 알루미늄도 산이나 염에 쉽게 용출될 수 있어 음료나 요거트 제품의 경우 캔 내부나 용기의 뚜껑 등은 폴리에틸렌 등 합성수지제로 코팅되어 있다.
○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는 전자레인지에 넣어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파가 투과되지 못하고 반사되어 식품이 가열되지 않을 뿐 아니라, 끝이 날카로운 손상 부위가 있는 경우 마이크로파가 집중되어 스파크가 일어날 수 있다.
- 특히, 알루미늄 호일의 경우 식품을 싸거나 식품 용기를 덮은 상태 그대로 전자레인지에 넣지 않도록 주의한다.

□ 식약처는 알루미늄 식기에 대한 정보를 국민이 알기 쉽게 ‘알루미늄 식기의 올바른 사용법’과 관련된 카드뉴스도 함께 배포할 계획이다.
○ 자세한 내용은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 이슈·뉴스·홍보·교육 > 홍보자료 >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7-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749 Oball 유아용 완구, 부품 파손으로 질식 우려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18.09.06
1748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화이트닝 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2.12.07
1747 기준 초과 비소 함유한 Bubs Organic Rice 영유아용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10.08
1746 사용 중 손잡이가 파손될 수 있는 Morfboard 스케이트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6.24
1745 무신고 수입.제조일자 변조 식품첨가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6.22
1744 알레르기 유발 성분 미표시된 APS 영양보충제(Isomorph Banana Cream Pie)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5.25
1743 스마트폰 쇼핑몰 에이스 모바일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5.18
1742 기준치 초과한 카드뮴이 함유된 어린이 목걸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4.28
1741 일렉트로포스社 차량용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사용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4.22
1740 절연장치가 미흡해 감전의 위험 있는 수족관 LED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2.08
173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Madagascar Cloves 정향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1.28
173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alifornia Garlic 마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1.28
1737 감전 위험 있는 Comnail 왁스 히터 제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0.04.13
1736 Shan Shi 간장, 이물 혼입되어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18.09.07
1735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중, 영유아·노인 등 고위험군은 의심증상 시 치료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18.01.12
1734 전자몰 / JEONJAMALL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11.11
1733 국외 원숭이두창 대비, 위기경보 “관심단계”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6.03
1732 제품 불량으로 파열 위험 있는 다이빙 호흡기 판매 중단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5.04
1731 수은, 납 성분 함유한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5.03
1730 부정물질이 검출된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9.01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