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상곤)시.도교육청과 합동으로 여름방학 특수를 이용한 불법 학습캠프 의심업체 8개소와 별도로급식.소방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전국 54개 기숙형 학원에 대해서도 집중점검실시한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한국인터넷광고재단(이사장 신현윤)과 함께 지난 73일부터 712일까지 온라인 광고 상 불법 학습캠프로 의심되는 업체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8개 업체 발견하였다.

불법이 의심되는 학습캠프는 학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기관으로 학생을 모집하거나 학습캠프나 등록된 학원이지만 숙박시설을 단기 대여하여 기숙캠프로 운영하는 형태 등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최근 청소년 수련활동을 빙자한 편법적 학습캠프 나타남에 따라 지난 6여성가족부에 교과학습과정에 해당하는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은 학원으로 등록하지 않은 기관의 경우 학원법 위반 소지가 있음을 고지하고, 일선 지자체에서 미등록 학원의 학습캠프형 수련활동을 신고 받지 않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전국 대학불법?편법 학습캠프 운영자에게 대학 교육시설을 대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국 대학에 협조 요청하였으며,

이에 앞서 지난 5월에는 학교시설을 활용한 학교의 고가 어학캠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비 위주의 양질의 어학캠프가 운영될 수 있도록학교시설을 활용한 방학 중 어학캠프 운영 기준을  개정(’17.5.2.)하여 201811일부터 시행된다.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은 불법 의심 캠프에 대해 사전 시정조치요구하고, 여름방학 기간 중 시정상황을 확인하여, 경찰 고발 및 행정처분 조치를 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숙형 학원에 대해서는 방학기간의 반짝 수요를 이용한  미신고 단기특강 운영이나 교습비 초과 징수를 집중단속할   계획이고, 급식 및 소방시설 안전여부에 대해서도  점검할 예정이다.

< 전국 기숙학원 현황(‘17.6.30 기준) >

인천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경남

54

1

2

43

1

2

2

3

홍민식 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장관계부처 및 시·도교육청과  긴밀히 협력하여 학부모의 불안심리를 이용한 방학기간 중 불법 학습캠프가 근절될 수 있도록 강력하게 단속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  리 학생들이 방학기간을 교실을 벗어나 소질을 개발하고 평소 관심분야를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 삼아줄 것을 당부하였다.

 


[ 교육부 2017-07-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14 미혼모 임신‧출산, 한부모 자녀 양육 더 두텁게 지원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7 22
4513 우리 동네“취업 맛집”은? 국민내일배움카드로 훈련받고, 취업하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19 22
4512 코로나19 위기상황 악용, 질병 예방 치료 등 허위 과장광고 업체 점검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07 22
4511 네이버에서 ‘네이버 TV’가 더 잘 보인 이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07 22
4510 2020년 8월 강원도 산업활동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9 22
4509 호우.폭염 시 올바른 의약품 등 사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18 22
4508 법인세 중간예납, 홈택스로 쉽고 편리하게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4 22
4507 여름 휴가철 깨끗한 피서지 만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7 22
4506 7월 26일부터 프로스포츠 관중석 10% 제한적 입장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4 22
4505 지역경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지방계약제도가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4 22
4504 무신고 소분제품을 사용한 빵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22
4503 잔류농약 기준을 초과한 쌀눈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7 22
4502 2020년 하반기 식.의약품 안전정책 이렇게 달라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6 22
4501 오늘부터 노인일자리 상품권 지급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8 22
4500 「전국 도심부 안전속도5030」도입 빨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1 22
Board Pagination Prev 1 ...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