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교육부(부총리 겸 장관 김상곤)와 한국장학재단(이사장 안양옥)17학년도 2학기 학자금 대출금리를 지난 학기 2.5%에서 2.25%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출금리 인하는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및 시중은행의 평균 대출금리 인상** 대내·외 금융시장불안정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16학년도 2학기부터 1년 동안 유지해 온 금리0.25%p 인하한 것이다.

* ’17.6,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25%p 인상(0.751.0%1.01.25%)

** ’17년 현재, 시중은행 가계자금 대출이 ’16년 대비 0.21%p 인상(3.19%3.4%)

이는 문재인 정부의 대학 등록금 부담 경감을 위한 학자금 대출 이자 부담 완화공약 과제차질없이 추진하여, 대학생·학부모의 학자금 대출 상환 부담낮추기 위함이다.

- 이를 통해, 135만 명(기존 1백만 명, 신규 35만 명) 학생들에게 17학년도 2학기 기간 동안 97억 원(연간 194억 원)이자 부담경감될 것으로 전망된다.

< 일반 상환 및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금리 현황 >

(단위: %)

’09

’10

’11

’12

’13

’14

’15

’16

’17

2학기

1학기

2학기

1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5.8%

5.7%

5.2%

4.9%

3.9%

2.9%

2.7%

2.5%

2.25%

아울러, 17학년도 2학기 학자금 대출 신청은 본인의 공인인증서 사용하여 한국장학재단 누리집(www.kosaf.go.kr)을 통해 신청하면 되고, 등록금 대출929()*까지, 생활비 대출 119()까지 가능하다.

* 등록금 분할대출 시 신청기간은 119()까지 임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은 학생들이 등록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2학기 등록기간을 가급적 등록금 대출기간에 맞추도록 각 대학()안내하고,

학생들에게는 소득분위(구간) 산정에 필요한 기간(1개월)을 고려하여, 대학의 등록마감일로부터 늦어도 1개월 전에 대출 신청을 하도록 당부하였다.
(: 8월 말 등록마감 7월 말 이전 대출 신청)

기타 학자금 대출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www.kosaf.go.kr) 전화 상담실(1599-2000)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국 현장지원센터(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방문하면 학자금 대출과 관련하여 일대일 맞춤형 대면 상담 받을 수 있다.

전국 현장지원센터 위치

지 역

주  소

서울

서울특별시 종로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1

경기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경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산학협력관 102

부산·경남

부산광역시 연제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수학습지원관 2

대구·경북

대구광역시 북구 경북대학교 IT융합산업빌딩 9910

광주·전남·전북

광주광역시 북구 전남대학교 박물관 4

대전·충남·충북

대전광역시 유성구 충남대학교 공학2호관 2261

강원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6호관 214

이진석 교육부 학술장학지원관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국가장학금 지원 및 학자금 대출금리를 낮게 유지하여 학생·학부모님들의 등록금 마련 부담덜어 드리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교육부 2017-07-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82 국민권익위, “일시적인 세대 분리 가구에 건강보험료 추가 부과는 지나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35
4481 국민권익위, “음주운전자 차량시동잠금장치 및 음주치료 의무화” 제도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4 22
4480 국민권익위, “음주운전, 전동킥보드는 괜찮은 줄 알았다고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6 9
4479 국민권익위, “원산지 표시 원칙과 달라도 구매자가 알아볼 수 있으면 적법”행정심판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3 5
4478 국민권익위, “운행제한 위반 과태료 차량 배출가스 저감 보조금 우선순위에서 제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5 36
4477 국민권익위, “우리 국민 97.8%,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심각하다고 생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11 11
4476 국민권익위, “욕설·비방만 담긴 행정심판 청구는 별도 절차 진행 없이 종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3 26
4475 국민권익위, “요양보호사 등의 노인 학대 여부 판정시 재심의 기회 보장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9 66
4474 국민권익위, “올 상반기 허위·과다 청구 공공재정지급금 175억 원 환수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2 6
4473 국민권익위, “연매출 4억 원 이하 영세소상공인 국선대리인 지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2 38
4472 국민권익위, “억울한 행정처분, 구제 받을 수 있나요?” 최신 행정심판 재결례 3만 건 공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9 12
4471 국민권익위, “어린이집 출석인정 특례사유 추가 및 군무원 시험 청각장애 인정범위 확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2 51
4470 국민권익위, “어린이 교통안전” 관련 민원예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0 34
4469 국민권익위, “어떻게 하면 음주운전 예방할 수 있을까요?” 국민 의견조사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3 9
4468 국민권익위, “양도소득세 비과세 문의 등 세무 분야 민원 11.5% 증가” 10월 민원 빅데이터 동향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5 14
Board Pagination Prev 1 ...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