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경기 오산시에 거주하는 김 씨는 급한 일이 있을 때마다 3살 아이를 잠시 돌봐줄 친척, 친구에게 부탁 전화를 하는 일이 다반사였다. 하지만, 이르면 내년부터 시청 “행복 육아 놀이터” 내 시간제 보육실이 생긴다는 소식에 누구보다도 반가운 마음이 앞선다. 이제 급한 일이 생겨 주변 사람들에게 아이를 부탁해야 하는 걱정을 덜 수 있게 될 것 같다.

강원 삼척시에 거주하는 결혼 7년차 박 씨는 재취업을 고민하고 있지만, 6살 아이에 대한 육아 고민으로 엄두를 내지 못했다. 하지만, 내년부터 전통시장에 설치될 “SOS 통통센터*” 소식에 취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센터에서 취업상담을 하는 동안 아이는 센터 내 아이맘카페에 맡길 수 있어 상담을 마음 편히 받고, 아이와 함께 집으로 가는 길에 전통시장에서 장도 보게 되니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해 본다.

* SOS 통통센터(Support of One-Stop) : 전통시장에 일가정양립지원센터, 아이맘카페, 장난감도서관 등 센터 설치

행정자치부(장관 김부겸)는 지자체 저출산 문제를 적극 해소하기 위하여, 저출산 극복에 대한 의지가 강한 지자체의 공모사업 중, 사업 실현 가능성이 높고 타 지자체로의 확산 가능성이 큰 9개 지자체 사업을 선정하여 총 39억 원을 지원한다. 행정자치부는 지난 4월, 전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자체 저출산 극복 지원 사업’을 공모한 바 있으며, 시·도별 심사를 거친 26개 사업을 대상으로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한 서면심사, 현장실사 및 최종 심사를 통해 최종 9개 사업을 선정하였다. 이번에 선정된 지자체는 행정자치부로부터 특별교부세를 지원받아 각종 시설 및 기반시설(인프라)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르면 내년부터 지역맞춤형 저출산 극복 대책을 각각 추진하게 된다.

최종 선정된 9개 지자체는 ▲부산 사상구 ▲대구 남구 ▲광주 광산구 ▲세종시 ▲경기 오산시 ▲강원 삼척시 ▲충남 서천군 ▲전북 순창군 ▲경북 상주시이며,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부산 사상구, “아동전문 보건지소 및 아이러브맘 원스톱센터 조성”

- 구(舊) 주민센터를 “아동전문 보건지소와 아이맘 원스톱 센터”로 새단장(리모델링)
- 어린이 아토피 예방교실 등 아동 성장단계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임신·출산·육아 지원 서비스를 일괄(원스톱)로 제공

② 대구 남구, “온 마을 아이맘센터 조성”

- 구(舊) 경북개발공사 부지에, 지역 내 부족한 육아북카페 등 육아 공간을 확충하고 자원봉사센터, 지역의료원(영남대의료원), 대학(대구교대) 등 지역공동체와 연계한 저출산 극복 민관협력(거버넌스) 체계 구축
-자원봉사자, 의료진, 대학생, 학부모 등으로부터 재능기부를 받아 육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공동 육아를 위한 환경 제공

③ 광주 광산구, “맘쓰리(three) 센터 설치·운영”
- “맘쓰리”란 (1)동 주민센터를 활용해 공동육아방(20개소) 등 엄마들의 공간을 조성하고, (2)대학(광주여대), 병원 등 지역공동체와의 민관협력을 통해,(3)각종 육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
- 공동 육아방 운영뿐만 아니라, 육아 기반을 확산하기 위해 병원아동보호사 육성 및 보육교사 협동조합 활성화도 추진

④ 세종시, “행복맘~원스톱 통합지원센터 구축”
- 시 종합복지센터(새롬동) 3층에 보건지소와 연계한 “행복맘~원스톱 통합지원센터” 설치
- 맞벌이부부를 위해 보건지소 운영시간을 연장 운영(기존 9시~18시 → 향후 7시 ~ 20시)하고, 임산부 진료소(클리닉) 및 운동교실 등 저출산 관련 31개 프로그램 운영

⑤ 경기 오산시, “시청사를 활용한 행복 육아 놀이터 조성”
- 오산 시청 광장에 어린이 놀이시설 등을 갖춘 가족 행복놀이터를 만들고, 시청사내에 시간제 보육실, 육아나눔터 등 설치
- 공공시설인 시청사를 아이 친화적 공간으로 탈바꿈시킴으로써, 출산·육아에 대한 주민 신뢰도 제고 도모

⑥ 강원 삼척시, “삼척 SOS 통통(統-通)센터 조성”
- 재래시장 내 상가건물 일부를 새단장(리모델링)해, 일자리지원 상담과 육아서비스 제공 및 아이엄마 교육기회 제공 등을 일괄(원스톱) 지원(SOS, Support of One-stop)하고 소통할 수 있는 센터 설치
- 전통시장 내 보육·육아 거점센터를 둠으로써 경력단절 여성 취업·창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 가능

⑦ 충남 서천군, “다(多)함께 누리는 서천군 가족누리센터 조성”
- 지역순환경제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지원센터를 공간적으로 통합, 동일 공간에 육아를 위한 장난감도서관, 어린이 놀이시설(키즈 카페) 등을 추가 설치하고 어르신들을 위한 실버카페도 설치
- 세대를 아울러, 노인 일자리지원 및 건강관리, 어린이 보육·육아 서비스 등을 일괄로(원스톱) 제공 가능

⑧ 전북 순창군, “해피니스 PCN* 토탈케어 시스템 구축”
- 구(舊)보건의료원(3층)을 새단장(리모델링)하여 산모쉼터, 어린이 놀이시설(키즈카페), 아이돌봄방, 여성 새로 일하기 센터, 청소년 가상직업체험관 등 설치
* Pregnancy(임신), Childbirth(출산), nurture(양육)
- 출산·양육 기반시설이 열악한 농촌지역에 임신-육아-교육-일자리 등을 연계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아이 키우기 좋은 지역 환경 조성

⑨ 경북 상주시, “분만환경 원스톱 거점 인프라 구축”
- 관내 분만 산부인과가 없어 타 시군을 이용해야 하는 산모들에게 안정적인 분만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분만 산부인과 병원 설치
- 상주시 보건소와 연계하여 지역내 산모 맞춤형 교육·상담 등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분만 환경 및 지원 기반시설 구축

향후, 행정자치부는 이번에 선정된 9개 선도지자체 사업이 내실화될 수 있도록 전문가로 구성된 ‘컨설팅단’을 운영하여 선정 지자체를 지원함으로써 사업의 실효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심덕섭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실장은 “이번 공모사업이 지자체가 지역 저출산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는 지자체의 저출산 극복 우수 사례를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전 지자체로 확산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행정자치부 2017-07-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63 저소득층 대상(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재난적 의료비 지원 확대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5 20
4462 건조한 가을, 산에서는 작은 불도 위험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5 12
4461 2020 방통위 방송대상 수상작 다시보기(VOD) “무료로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6 8
4460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심사 온라인으로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6 11
4459 20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11월5일 0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6 13
4458 공공부문 성희롱ㆍ성폭력 사건, 피해자 중심의 권리구제 절차 마련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6 14
4457 도매시장 유통 부적합 양식수산물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6 14
4456 음주운전 엄정 대응 결과 사망자 큰 폭으로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11
4455 드론 전문가 양성 위한 ‘드론 교육훈련센터’ 9일부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7
4454 미성년자, 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보험회사의 소송남용 방지장치를 강화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11
4453 어르신 대표 문화예술축제 온라인으로 즐긴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6
4452 화장품 과징금 분할납부 및 납부기한 연장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66
4451 우리 동네 성범죄자 신상정보, 이제 카톡으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9
4450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10월 노동시장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6
4449 대학 원격교육 내실화를 위해 저소득층 대학생에게 스마트 기기 무상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9 11
Board Pagination Prev 1 ...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