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삼계탕 등 닭요리 섭취가 증가하는 여름철에는 닭을 포함한 가금류의 조리과정에서 교차오염에 의한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어 생닭 조리과정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식중독 발생 통계를 분석한 결과, 캠필로박터 식중독 발생건수(환자수)는 ‘13년 6건(231명), ’14년 18건(490명), 15년 22건(805명), ‘16년 15건(831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 특히, 전체 발생건수의 43%가 7~8월에 집중되었는데 이는 여름철 기온이 높아 캠필로박터균 증식(30~45℃)이 용이하고 이 시기에 삼계탕 등 보신용 닭요리 섭취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캠필로박터균은 열에 약해 가열 조리과정에 쉽게 사멸하지만, 생닭을 씻을 때 물이 튀어 주변 식재료를 오염시키거나 생닭과 날로 먹는 채소를 같은 조리도구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교차 오염이 주된 감염 경로이다.
○ 참고로 캠필로박터균은 야생동물과 가축의 장관내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사람의 체온보다 높은 42℃에서 잘 증식하는 호열성 세균으로 체온이 높은 가금류 특히 닭의 장관내에서 쉽게 증식한다.

□ 캠필로박터 식중독 예방 요령을 위한 식품안전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생닭을 냉장고에 보관할 때에는 밀폐용기를 사용하여 맨 아래 칸에 보관한다.
- 생닭을 밀폐하지 않은 채 냉장보관하면 생닭에서 나온 핏물 등에 의해 냉장고 내 다른 식품을 오염시킬 수 있다.
○ 생닭을 씻어야 할 때는 물이 튀어 주변 조리기구나 채소 등 식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변을 치워야하며, 식재료는 채소류, 육류, 어류, 생닭 순으로 씻어야한다.
○ 생닭을 다뤘던 손은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로 씻은 후에 다른 식재료를 취급해야 하며, 생닭과 접촉했던 조리기구 등은 반드시 세척․소독하여야 한다.
○ 조리 시 생닭과 다른 식재료는 칼·도마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 부득이 하나의 칼·도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채소류, 육류, 어류, 생닭 순으로 하고 식재료 종류를 바꿀 때마다 칼·도마를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 조리할 때에는 속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 조리(중심온도 75℃ 1분 이상)하여야 한다.

□ 식약처는 생닭 취급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건강하고 맛있는 닭요리를 즐길 수 있으며, 특히 학교,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급식소와 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더욱 주의를 기울여 주기를 당부하였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7-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229 스퀴시 완구, 유해물질 함유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9.03.12
1228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9.03.14
1227 수족구병 발생 지속 증가, 예방수칙 준수 재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9.06.28
1226 일부 어린이 과학교구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0.02.12
1225 코로나19 정부지원대출 빙자 보이스피싱, 스미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0.04.29
1224 여름 휴가철 국립공원 내 물놀이 '해루질이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1.07.15
1223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1.09.14
1222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Bonneterre Soja du chef 조리용 음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1.10.14
1221 스텔로 모바일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1.12.27
1220 무염 표기와 다르게 가염 캐슈넛이 함유된 로손 초벌믹스넛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1.12.27
1219 화재 위험성이 높은 ㈜위니아 노후 김치냉장고, 리콜 미조치 상태라면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3.02.23
1218 식약처, 비가열 햄.소시지 등 수거.검사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7.09.05
1217 시중 유통 도시락, 햄버거 등 즉석섭취식품 벤조피렌 안전한 수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01.17
1216 3월, 이런 재난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02.27
1215 Vornado 전기히터(VH101), 과열로 화재나 화상 유발할 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06.21
1214 경찰청에서 배포 중인 폴-안티스파이 사칭한 악성앱 유포, 내사 착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03.14
1213 보트형 대형 튜브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07.31
1212 쉽게 결정하는 백내장 수술, 부작용 발생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0.05.14
1211 5월에는 야외활동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0.05.07
1210 30-50대출 등 서민을 노리는 불법 급전대출 주의 요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0.10.14
Board Pagination Prev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