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한국인 화장품 사용량을 기반으로 한 보존제 등 위해평가 결과 공개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소비자가 화장품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품 제조시 살균보존 목적으로 사용하는 파라벤,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CMIT·MIT), 트리클로산 등 11종 성분에 대한 위해평가 결과보고서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정보공개는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의 투명성과 일관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화장품 업체가 제품을 개발하고 안전관리를 실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하였다.
○ 이번 발표는 화장품 사용원료로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모든 성분(살균보존제 등 159종)에 대한 위해평가 일환으로서 이번에 공개하는 11종 성분에 이어 ‘17년 12월 타르색소 등 13종, ’18년 135종에 대한 결과를 점차적으로 확대하여 공개할 계획이다.

□ 이번 위해평가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샴푸, 샤워젤, 얼굴크림 등 16종 화장품에 대한 사용량과 대상성분의 피부흡수율, 최대 사용 한도와 체중을 고려하여 실시하였으며, 독성학, 피부과학 등 각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화장품 위해평가 과학자문위원회’ 검토를 거쳐 최종 결정하였다.
※ 화장품 사용량 : 16종 화장품(샴푸, 손세척비누, 샤워젤, 헤어컨디셔너, 바디로션, 얼굴크림, 핸드크림, 비분무형 데오도런트, 헤어스타일링, 물휴지, 액체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리무버, 아이 메이크업, 마스카라, 립스틱, 아이라이너)에 대해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용량
○ 파라벤을 위해평가한 결과, 관련 규정에서 정한 최대 사용한도를 반영하여 0.8% 함유된 16종 화장품과 0.2% 함유된 치약·구중청량제를 모두 함께 매일 사용하더라도 안전한 수준이었다.
※ 화장품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2017.6.13.)
※ 파라벤 사용한도: 화장품(단일 0.4%, 혼합 0.8%), 치약(0.2%), 구중청량제(0.2%), 구강청결용물휴지(0.01%)
○ 트리클로산의 경우 현재 최대 사용한도를 반영하여 0.3% 함유된 인체세정용 제품(샤워젤·손세척 비누 2종)과 냄새 제거를 위한 데오도란트, 색조화장품(액체파운데이션·메이크업리무버) 같은 국소적용 제품을 모두 함께 매일 사용하여도 안전한 수준이었다.
※ 트리클로산 사용한도: 화장품(사용후 씻어내는 인체세정용 제품류, 데오도란트, 국소적용 제품(예:컨실러), 페이스파우더 0.3%), 치약·구중청량제·구강청결용 물휴지 사용금지
○ CMIT·MIT 위해평가에서는 0.0015%가 함유된 16종의 화장품을 매일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전한 수준이었으며, 피부자극 평가에서도 0.0015% 함유된 샴푸·손세척비누 등 씻어내는 제품(4종)을 모두 함께 매일 사용하여도 피부 자극이 발생하지 않았다.
※ CMIT·MIT 사용한도: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에 한해 0.0015% 사용
※ 사용후 씻어내는 제품: 16종 중 샴푸, 샤워젤, 손세척비누, 헤어컨디셔너 4종 해당
○ 이밖에 살균보존제 성분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클림바졸, 페닐살리실레이트, 메칠이소치아졸리논, 비페닐-2-올, 폴리(1-헥사메칠렌바이구아니드)에이치씨엘과 자외선차단성분 드로메트리졸 및 제조과정 중 비의도적으로 혼입될 수 있는 자일렌도 현재 기준 내 사용 시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안전평가원은 화장품과 같이 국민생활과 밀접한 제품들에 대한 위해평가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관련 정보를 공개해 정책의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국민들이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홈페이지’(www.nifds.go.kr)→ 위해평가 → 위해평가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7-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13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Forever 식품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4312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New Nordic 건강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12.01
4311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Pileje 유산균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2.03.14
4310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Vigantolvit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2.03.08
4309 2-클로로에탄올 존재 가능성 있어 리콜된 Seitenbacher 피트니스 바(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2.08
4308 2-클로로에탄올이 기준치보다 초과 함유된 Shan 푸딩 믹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4.01.08
4307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2.03.10
4306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2.03.10
4305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2.03.10
4304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2.03.10
4303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2.03.10
4302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6]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2.03.10
4301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7]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2.03.10
4300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8]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2.03.10
4299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9]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2.03.10
4298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Tesco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22.03.10
4297 2006년생 여학생, 올해 12월말까지 사람유두종바이러스백신 1차 접종 완료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9.12.12
4296 2014년 1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69 2015.02.26
4295 2014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28 2015.02.26
4294 2014년도 소비자위해정보 주요통계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26 2016.03.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