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 10개 중 9개 제품 유해물질 기준 초과 -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간편하고 저렴하게 손톱을 꾸밀 수 있는 인조손톱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나 일부 인조손톱 접착제와 네일팁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 ‘인조손톱’ 제품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손톱모양의 네일팁과 이를 손톱에 붙이기 위한 액체형 또는 테이프형 접착제로 구성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인조손톱 20개 제품(액체형 접착제 10개, 테이프형 접착제 10개)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함량과 표시실태를 조사하였다.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 10개 중 9개 제품은 유해물질 기준 초과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위해우려제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안전 및 표시사항”을 준수해야한다.

액체형 접착제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시험검사한 결과, 조사대상 10개 중 9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되었다.

5개 제품은 ‘톨루엔’이 기준치(20㎎/㎏이하)의 최소 1.7배~최대 40.3배(33㎎/㎏~ 806㎎/㎏), 5개 제품은 ‘클로로포름’이 기준치(1,000㎎/㎏이하)의 최소 5배~최대 22.8배(5,072㎎/㎏~22,751㎎/㎏) 초과 검출되었다.

* 톨루엔 단독 검출(4개 제품), 클로로포름 단독 검출(4개 제품), 톨루엔·클로로포름 중복 검출(1개 제품)

‘톨루엔(Toluene), 클로로포름(Chloroform)’은접촉 시 피부의 유·수분을 소실시켜 갈라짐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키고, 흡입 시에는 두통, 현기증 등 신경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

한편, 테이프형 접착제(접착패드형) 제품 10개에서는 톨루엔, 클로로포름, 폼알데하이드 등 유해물질이 불검출되었다.

네일팁 20개 중 1개 제품에서 납 검출

인조손톱 네일팁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중금속(납, 카드뮴) 및 프탈레이트 가소제(DEHP, DBP, BBP) 혼입여부를 검사한 결과, 성인용 1개 제품에서 유럽연합 기준(500㎎/㎏)**을 5.8배(2,911.4㎎/㎏) 초과하는 납이 검출되었다.

* 성인용 15개 제품(액체형 접착제 10개, 테이프형 접착제 5개), 어린이용 5개 제품(테이프형 접착제 5개)

** 납 관련 안전기준

- 유럽연합(REACH) : (장신구) 함유량 500㎎/㎏이하 / (기타완제품) 용출량 0.05㎍/㎠/h 이상인 경우 함유량 500㎎/㎏이하

- 국내(「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 함유량 300㎎/㎏이하

‘납(Lead)’에 노출되면 식욕 부진, 빈혈, 소변양 감소, 팔·다리 근육 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음.

어린이용 인조손톱 네일팁은「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나, 성인용 제품에 대해서는 중금속, 폼알데하이드 등 안전 기준이 부재하여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 및 어린이용 인조손톱 표시사항 미흡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 10개 제품 및 어린이용 인조손톱 5개 제품(테이프형 접착제)에 대한 표시실태 조사결과, 전 제품에서 표시기준을 준수하지 않았다.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는 종류·성분 등 표시가 대부분 미흡하였고, 특히 안전·표시기준을 준수하였음을 확인하는 ‘자가검사표시’를 표기한 제품은 1개 제품에 불과해 관리·감독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용 인조손톱 3개 제품은 ‘사용가능 연령’을 표기하지 않았고, 3개 제품은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표시하는 ‘안전확인표시’를 표기하지 않았다.

어린이용 인조손톱 3개 제품은 ‘사용가능 연령’을 표기하지 않았고, 3개 제품은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표시하는 ‘안전확인표시’를 표기하지 않았음 

인조손톱 접착제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및 네일팁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인조손톱 안전성 확보 및 소비자 위해사고 방지를 위해 관련 사업자에게 기준 위반 제품의 회수 및 시정을 권고하였고, 해당 업체는 이를 수용하여 즉시 회수 조치하고 부적합 표시사항은 개선하기로 하였다.

또한 환경부에는 ▲시중 유통·판매 중인 인조손톱용 접착제에 대한 안전 및 표시 관리 강화를, 국가기술표준원에는 ▲인조손톱 네일팁(성인용)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검토 및 어린이용 인조손톱에 대한 표시 관리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는 현장점검을 실시하여 위해우려제품 안전?표시기준에 부적합한 인조손톱용 접착제에 대해 회수?개선명령 등 필요한 조치를 병행하기로 하였고, 국가기술표준원도 표시 위반 어린이용 인조손톱에 대해 시정조치를 실시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07-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99 부상 위험 있는 No.CH-MX 휴대용 블렌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7 2023.04.20
399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8.12.∼2016.8.1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7 2016.08.22
399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7.15~2016.7.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7 2016.07.25
3996 마감처리 불량에 따라 손 열상 위험있는 다이소 'NEW 양푼이'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6 2017.07.10
399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4.22∼2016.4.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6 2016.05.02
3994 Little Giant Velocity, LT, Liberty 브랜드의 접이식 사다리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5 2017.04.26
399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5.27~2016.6.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5 2016.06.07
» 인조손톱, 다수 제품 안전성에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4 2017.07.04
3991 우유 성분 미표기한 비타민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4 2017.03.06
3990 Tuong Ot Sriracha 칠리소스, 복통·식중독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2 2020.05.21
3989 유해물질 검출된 '골든로즈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2 2016.10.21
3988 Jil Sander 향수(SUN - JIL SANDER SHAKE, EAU DE TOILETTE NATURAL SPRAY VAPORISATEUR), 알러지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1 2018.07.19
3987 생활화학제품 사용 중 안전사고 지속적으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1 2017.04.14
3986 감전 위험 있는 Portable Fan Heater 팬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9 2023.04.20
3985 커넥터 과열로 화상 위험 있는 Cosori 에어프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8 2023.04.20
3984 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8 2022.06.14
3983 인판티노(infantino) 아기띠, 버클 파손으로 낙상사고 우려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7 2020.05.21
3982 화상위험 있는 게임패드 충전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6 2017.06.02
3981 하이드퀴논 과다 함유한 Dream Cosmetics 피부미백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4 2022.06.14
3980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4 2016.07.22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