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4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 10개 중 9개 제품 유해물질 기준 초과 -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간편하고 저렴하게 손톱을 꾸밀 수 있는 인조손톱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나 일부 인조손톱 접착제와 네일팁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 ‘인조손톱’ 제품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손톱모양의 네일팁과 이를 손톱에 붙이기 위한 액체형 또는 테이프형 접착제로 구성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인조손톱 20개 제품(액체형 접착제 10개, 테이프형 접착제 10개)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함량과 표시실태를 조사하였다.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 10개 중 9개 제품은 유해물질 기준 초과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위해우려제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안전 및 표시사항”을 준수해야한다.

액체형 접착제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시험검사한 결과, 조사대상 10개 중 9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되었다.

5개 제품은 ‘톨루엔’이 기준치(20㎎/㎏이하)의 최소 1.7배~최대 40.3배(33㎎/㎏~ 806㎎/㎏), 5개 제품은 ‘클로로포름’이 기준치(1,000㎎/㎏이하)의 최소 5배~최대 22.8배(5,072㎎/㎏~22,751㎎/㎏) 초과 검출되었다.

* 톨루엔 단독 검출(4개 제품), 클로로포름 단독 검출(4개 제품), 톨루엔·클로로포름 중복 검출(1개 제품)

‘톨루엔(Toluene), 클로로포름(Chloroform)’은접촉 시 피부의 유·수분을 소실시켜 갈라짐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키고, 흡입 시에는 두통, 현기증 등 신경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

한편, 테이프형 접착제(접착패드형) 제품 10개에서는 톨루엔, 클로로포름, 폼알데하이드 등 유해물질이 불검출되었다.

네일팁 20개 중 1개 제품에서 납 검출

인조손톱 네일팁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중금속(납, 카드뮴) 및 프탈레이트 가소제(DEHP, DBP, BBP) 혼입여부를 검사한 결과, 성인용 1개 제품에서 유럽연합 기준(500㎎/㎏)**을 5.8배(2,911.4㎎/㎏) 초과하는 납이 검출되었다.

* 성인용 15개 제품(액체형 접착제 10개, 테이프형 접착제 5개), 어린이용 5개 제품(테이프형 접착제 5개)

** 납 관련 안전기준

- 유럽연합(REACH) : (장신구) 함유량 500㎎/㎏이하 / (기타완제품) 용출량 0.05㎍/㎠/h 이상인 경우 함유량 500㎎/㎏이하

- 국내(「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 함유량 300㎎/㎏이하

‘납(Lead)’에 노출되면 식욕 부진, 빈혈, 소변양 감소, 팔·다리 근육 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음.

어린이용 인조손톱 네일팁은「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나, 성인용 제품에 대해서는 중금속, 폼알데하이드 등 안전 기준이 부재하여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 및 어린이용 인조손톱 표시사항 미흡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 10개 제품 및 어린이용 인조손톱 5개 제품(테이프형 접착제)에 대한 표시실태 조사결과, 전 제품에서 표시기준을 준수하지 않았다.

액체형 인조손톱 접착제는 종류·성분 등 표시가 대부분 미흡하였고, 특히 안전·표시기준을 준수하였음을 확인하는 ‘자가검사표시’를 표기한 제품은 1개 제품에 불과해 관리·감독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용 인조손톱 3개 제품은 ‘사용가능 연령’을 표기하지 않았고, 3개 제품은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표시하는 ‘안전확인표시’를 표기하지 않았다.

어린이용 인조손톱 3개 제품은 ‘사용가능 연령’을 표기하지 않았고, 3개 제품은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표시하는 ‘안전확인표시’를 표기하지 않았음 

인조손톱 접착제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및 네일팁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인조손톱 안전성 확보 및 소비자 위해사고 방지를 위해 관련 사업자에게 기준 위반 제품의 회수 및 시정을 권고하였고, 해당 업체는 이를 수용하여 즉시 회수 조치하고 부적합 표시사항은 개선하기로 하였다.

또한 환경부에는 ▲시중 유통·판매 중인 인조손톱용 접착제에 대한 안전 및 표시 관리 강화를, 국가기술표준원에는 ▲인조손톱 네일팁(성인용)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검토 및 어린이용 인조손톱에 대한 표시 관리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는 현장점검을 실시하여 위해우려제품 안전?표시기준에 부적합한 인조손톱용 접착제에 대해 회수?개선명령 등 필요한 조치를 병행하기로 하였고, 국가기술표준원도 표시 위반 어린이용 인조손톱에 대해 시정조치를 실시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7-07-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31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Pukka 강황 건강보충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1.11.04
3130 여름철 놀이터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2.07.05
3129 트로판 알칼로이드 함유한 Alnatura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2.09.30
3128 한국소비자원 사칭 문자메시지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2.12.14
3127 박테리아 오염으로 인해 변색돼 리콜된 Shigeta 세안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2.12.15
3126 미허가 식물 성분 존재해 리콜된 Gluta LIPO 주스 분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3.01.13
3125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Pams Finest 쿠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3.01.16
3124 유모차 쇼핑몰 A KID / BABYSALE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3.04.27
3123 연이은 폭염, 바닷가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18.08.09
3122 작은 부품 탈락해 질식 위험 있는 Janod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1.02.26
3121 작은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타워퍼즐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1.11.29
3120 폭염특보 지역 확대, 온열질환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2.07.01
3119 생활가전 브랜드 VOAR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3.08.11
3118 아기가 익사할 수 있는 Frieyss 영아용 목욕의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21.11.03
3117 하절기 살모넬라균 감염증 및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22.07.22
3116 ATOR / 아또르 옵티칼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22.10.26
3115 [소비자경보 2022-19호] ‘투자손실 보상’, ‘고수익 보장’, ‘고급정보 제공’ 등에 현혹되어 투자하는 경우 일시에 모든 재산을 잃을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22.12.19
3114 수입 ‘능이버섯’ 진위 확인검사 결과…가짜 능이버섯 3개 제품 적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23.05.03
3113 막바지 겨울, 2월에는 한파, 대설, 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1.01.29
3112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트레이닝 재킷 (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1.04.28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