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정부(국무조정실, 식약처, 교육부, 국민안전처, 국방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신종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자나미비르 캡슐제’ 등 17개 제품을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추가 지정하여 총 126개 제품을 ‘국가필수의약품’으로 관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 국가필수의약품 : 질병 관리, 방사능 방재 등 보건의료 상 필수적이나 시장 기능만으로는 안정적 공급이 어려운 의약품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과 식약처장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지정하는 의약품
○ 이번 추가 지정은 지난 6월 30일 ‘2017년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협의회(의장 : 식약처 유무영 차장)’ 정기회의를 거쳐 결정되었으며, 추가 지정된 의약품은 전염병 유행, 생물테러 등 국가 비상 상황이나 방사선 방호 등 정책 목적상 필요한 것으로 공중 보건 위기상황에 국민 치료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결핵치료제인 ‘카나마이신 주사제’ 등 109개 제품을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지정하였다.
○ 현재 ‘국가필수의약품’ 126개 제품은 필수예방접종 백신 20개 등 정부 정책목적 상 필수적인 의약품 71개과 응급 의료 상 필요한 해독제 21개 등 의료현장에서 필수적인 의약품 55개다.
○ 참고로, 지난해 12월 약사법 개정으로 ‘국가필수의약품’ 정의, 안정공급을 위한 행정적‧재정적‧기술적 지원 등에 대한 법률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국가필수의약품’은 9개 부처와 의사협회 등 전문단체와 협의를 거쳐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협의회 정기회의’에서 지정된다.

□ 식약처는 그동안 ‘국가필수의약품’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현장 의약품 수급 모니터링 센터 설치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실무협의회 상시 운영 ▲공급 중단 의약품의 특례수입, 기술지원 등을 통한 공급 중단 해소 등의 정부지원 정책을 추진하였다.
○ 우선 지난 6월부터 ‘국가필수의약품’의 수급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여 필요한 의료현장에 해당 의약품이 적기에 공급되도록 대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등 7개 전문단체에 ‘현장 의약품 수급 모니터링 센터’를 설치‧운영 중에 있다.
※ 7개 전문단체 : 대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한국병원약사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한국의약품유통협회
○ 또한 공중보건 위기 대응 시 의약품의 신속한 도입, 응급 의료 현장에서 필요한 의약품 수요 대응 등을 위해 정부부처 공무원과 보건의료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실무협의회’도 상시 운영하고 있다.
○ 아울러 결핵 치료제로 사용되는 ‘카나마이신 주사제’ 등과 같이 공급 중단이나 우려가 있는 의약품에 대하여 위탁제조, 특례 수입, 기술지원 등 적합한 지원방안을 추진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였다.
※ 다제내성 결핵(연간 약 900명 신규환자 발생) 치료제로 사용되는 ‘카나마이신 주사제’의 공급 중단 해소를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에서 위탁 제조를 통해 질병관리본부로 공급(12만 앰플)

□ 식약처는 앞으로도 공중보건 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의료현장에서 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의약품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이번에 지정된 17개 품목 외에도 올해까지 관계 부처, 의료현장, 전문가 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필수의약품을 확대하고, 향후 정기회의 등을 통하여 국가필수의약품 목록을 정비하고 확대할 계획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7-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49 행정자치부, 지역맞춤형 해법으로 저출산 극복 지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54
4348 화장품, 자동차 등 국민생활 밀접분야 개인정보 현장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88
4347 2017년 6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85
4346 위생취약우려 식품취급시설 전국 일제 점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41
4345 응급실 감염예방과 신속한 환자 진료를 위해 응급실 출입하는 보호자 수, 환자 당 1명으로 제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56
4344 2017년 첫 번째 온열질환 사망자 발생에 따른 주의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46
4343 어린이·고령자 위한 가상현실 체험 등 맞춤형 교통안전교육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44
4342 2017년 5월 온라인쇼핑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7 53
4341 세계 공항운영 효율성 평가에서‘최우수 공항 운영 그룹’선정 제주국제공항은 아시아지역 공항 중 운영효율성 1위 달성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7 69
4340 경부·분당·과천·일산 급행열차 확대, 수도권이 더 가까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7 51
4339 토양·지하수의 소중함 느껴봐요…청소년 여름캠프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6 53
4338 5~6월 우박피해 9,540농가에 재해복구비 124억4백만원 지원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6 45
4337 홈페이지 서비스 중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6 81
4336 금융꿀팁 200선 - 25-1 해외여행시 챙겨야 할 금융꿀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6 43
4335 사전점검, 신속대응 · 지원으로 여름철 국민안전 지킨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6 45
Board Pagination Prev 1 ...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