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경보’ 발령


◇ 부산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 6월 경보 발령은 1997년 이후 처음
◇ 야외활동시 밝은 색 긴 옷 착용하고, 노출부위엔 모기기피제 사용하세요!
◇ 생후 12개월∼12세 자녀는 일정에 맞춰 꼭 예방접종하세요!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모기감시결과 부산지역에서 일본뇌염매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가 경보발령기준이상**으로 발견되어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6월 29일 발령하였다.
*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
**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일 때 경보발령


작은빨간집모기는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모기(약4.5mm)
<작은빨간집모기>

○부산지역에서 6월 23일 채집된 모기 중 작은빨간집모기의 하루 평균 채집 개체수가 531마리로 전체 모기의 72%를 차지하였다.

○ 올해 경보발령은 작년(7월 11일)보다 약 2주정도 빠를 뿐 만 아니라 6월에 경보가 발령된 것은 1997년 이후 처음이다.
* 1997년 6월 20일 일본뇌염 경보 발령

○모든 매개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이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나 일부에서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 모기에 물리지 않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보건당국은 매년 일본뇌염 유행예측 사업*을 실시해 일본뇌염 매개 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발견되면 주의보*(2017.4.4.)를 발령하고,

○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하거나 매개모기의 밀도가 높거나, 채집된 모기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분리되는 경우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한다.
* [붙임 2] 일본뇌염 유행예측사업 및 환자 발생 현황

○ 전국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소 및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등 64개 조사 지점에서 공동으로 질병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현재 부산 이외 지역에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밀도가 아직 50% 미만이다.
[연도별 일본뇌염 주의보·경보 발령일 현황]

연 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주의보 발령일

4.20.

4.18.

4.30.

4.14.

4.28.

4.25.

4.18.

4.20.

4.8.

4.3.

4.4.

경보 발령일

7.26.

7.25.

7.23.

7.31.

9.9.

7.19.

7.4.

8.5.

8.6.

7.11.

6.29.

□ 질병관리본부는 7월부터 10월 하순까지는 각종 질병 매개모기의 활동이 활발한 시기라고 밝히며, 야외활동과 가정에서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첫째,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 둘째,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 셋째,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넷째, 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 [붙임 3] 모기회피 방법 참고

○ 특히, 일본뇌염은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예방접종 대상이 되는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아동은 표준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해 줄 것을 권고했다.
* 만 12세 이하는 보건소 및 전국 1만여 지정 의료기관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구 분

일본뇌염 예방접종 실시기준

사백신

5회 접종

13(생후 1235개월)

4(6), 5(12)

생백신

2회 접종

12(생후 1235개월)

○ 아울러, 19세 이상 성인은 일반적으로 일본뇌염 예방접종* 권장 대상은 아니지만, 논 또는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지역 거주자 및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에 대해서는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성인의 경우 의료기관을 이용해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 일본뇌염 유행국가: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네팔, 파키스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미얀마, 일본 등 아시아 국가 지역
○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최근 5년간 일본뇌염 환자의 대부분이 40세 이상이었다”고 설명하면서 특히, 이 연령층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였다.

[보건복지부 2017-06-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16 2017년 11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5 41
7215 식약처, 여성 생리용품 ‘생리컵’ 허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7 41
7214 응급실 감염예방과 신속한 환자 진료를 위해 응급실 출입가능 보호자 수, 환자당 1명으로 제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1 41
7213 성희롱 사건처리 시 주무부처·기관장 책임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30 41
7212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8월 14일) 국가 기념일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4 41
7211 수입이 금지된 미국산‘건강기능식품’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2 41
7210 공연장에서도 영화관처럼 사전대피 안내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41
7209 낙엽 쌓인 가을 산, 산불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3 41
7208 한국GM, 혼다, BMW, 씨트로엥 리콜실시(총 4개 차종 112,247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6 41
7207 11월부터 노인·중증 장애인 가구의 기초생활 보장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5 41
7206 ˝산재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금리 인하 혜택마감 전에 신청 서둘러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4 41
7205 쌀 시장격리 물량(37만톤) 본격 매입으로 쌀값 회복에 탄력 예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3 41
7204 어썸의 전자상거래 및 통신판매 임시중지명령에 대한 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3 41
7203 결핵 예방을 위한 경피용 BCG 백신 임시예방접종 오늘부터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7 41
7202 ‘색(色)이 있는 농촌여행’테마별 여행코스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9 41
Board Pagination Prev 1 ...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