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안전사고, 발달단계별로 사고유형 차이 나
- 영아기는 ‘침대 추락’, 취학기는 ‘자전거’ 안전사고 많아 -
- 어린이 발달단계 및 다발사고 특성에 맞는 사고예방 조치 필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2016년까지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만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을 분석한 결과, 어린이 사고 발생건수는 매년 감소하였지만 전 연령층 사고건수 중 어린이 사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으로 여전히 높아 보호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비중): ’14년 27,381건(40.8%) → ’15년 25,152건(37.0%) → ’16년 22,545건(32.7%)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우리나라 어린이 안전사고 비중은 총 인구 대비 어린이 인구비중(13.7%)**이나 미국의 어린이 사고비중(27.3%)***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로써 우리나라의 어린이가 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풀이된다.
** 통계청 유소년 인구기준에 맞춰 0세부터 만14세를 ‘어린이’로 분류했고, 인구 비중은 2016.7.1. 기준임.
*** 미국 CPSC(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전미위해감시시스템(NEISS) 통계(2016년 기준)
‘남아’가 ‘여아’보다 많고, ‘1~3세 걸음마기’에 가장 사고 빈발
최근 3년간 발생한 어린이 안전사고 총 75,078건*의 성별은 ‘남아’의 비중이 61.6%(46,269건)로 ‘여아’ 38.4%(28,786건)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았다. 발달단계별로는 막 걷기 시작하는 ‘1~3세 사이 걸음마기’가 전체의 절반 가까운(49.9%) 37,419건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4~6세 유아기’ 21.6%(16,245건), ‘7~14세 취학기’ 19.5%(14,636건), ‘1세 미만 영아기’ 9.0%(6,778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 성별미상·해당없음 23건
영아기에 ‘침대 추락’ 사고 많고, 연령대 높을수록 ‘실외 품목’ 증가
움직임이 적고 항상 보호자의 감독 아래 실내에서 주로 머무는 ‘영아기’에는 몇 가지 상위품목에 의한 안전사고가 주로 발생하지만,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운동능력과 행동반경이 확장돼 위해품목과 사고유형이 다양해지므로 이에 유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단계별 주요 위해품목 분석결과, ‘영아기’에는 ‘침실가구’에 의한 사고가 36.7%(2,485건)로 가장 많았는데, 특히 침대 등의 ‘추락’ 사고유형은 영아기 사고의 절반 가까운 48.9%를 차지했다.
막 걷기 시작하는 걸음마기에는 ‘추락’ 사고가 감소하는 대신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급증하기 시작해 ‘바닥재*’ 사고가 15.9%(5,963건)로 가장 많았다. 활동공간이 실내에서 실외로 확장되는 유아기부터는 점차 실외품목으로 인한 사고비중이 증가해 ‘취학기’에서는 ‘자전거’가 위해다발 품목 1위(10.6%/1,553건)로 꼽혔다.
* 주택, 아파트, 보육시설 등 사람이 거주, 체류하는 건축물 내부 바닥에 사용하기 위해 제조된 장판, 시트, 타일 등을 의미함
안전사고 유형 중 ‘신체 눌림·끼임’ 사고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변을 탐색하고 활동하는 ‘유아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질식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삼킴·흡인’ 사고는 영아기부터 꾸준히 발생하기 시작해 호기심이 많아 손에 잡히는 물건을 입이나 코 등으로 가져가는 행동을 자주 보이는 ‘걸음마기’에 가장 많았다.
어린이 발달특성 및 다발사고 유형을 고려한 시설점검 및 안전교육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어린이가 있는 각 가정이나 관련 시설·교육기관은 어린이의 발달특성 및 사고 발생유형을 정확히 이해하고, 시설점검이나 안전교육 등 적절한 사고 예방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안전교육을 위해 EBS의 인기 캐릭터인 ‘강철소방대 파이어로보’를 주인공으로 제작한 안전교육 애니메이션 DVD를 지난 5월 중 전국 초등학교에 보급하였고, 스마트컨슈머(http://www.smartconsumer.go.kr)를 통해서도 제공하고 있다며 널리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