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 안전사고, 발달단계별로 사고유형 차이 나

- 영아기는 ‘침대 추락’, 취학기는 ‘자전거’ 안전사고 많아 -

- 어린이 발달단계 및 다발사고 특성에 맞는 사고예방 조치 필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2016년까지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만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을 분석한 결과, 어린이 사고 발생건수는 매년 감소하였지만 전 연령층 사고건수 중 어린이 사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으로 여전히 높아 보호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비중): ’14년 27,381건(40.8%) → ’15년 25,152건(37.0%) → ’16년 22,545건(32.7%)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우리나라 어린이 안전사고 비중은 총 인구 대비 어린이 인구비중(13.7%)**이나 미국의 어린이 사고비중(27.3%)***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로써 우리나라의 어린이가 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풀이된다.

** 통계청 유소년 인구기준에 맞춰 0세부터 만14세를 ‘어린이’로 분류했고, 인구 비중은 2016.7.1. 기준임.

*** 미국 CPSC(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전미위해감시시스템(NEISS) 통계(2016년 기준)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비중)은 ’14년 27,381건(40.8%), ’15년 25,152건(37.0%), ’16년 22,545건(32.7%)으로 나타남 

‘남아’가 ‘여아’보다 많고, ‘1~3세 걸음마기’에 가장 사고 빈발

최근 3년간 발생한 어린이 안전사고 총 75,078건*의 성별은 ‘남아’의 비중이 61.6%(46,269건)로 ‘여아’ 38.4%(28,786건)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았다. 발달단계별로는 막 걷기 시작하는 ‘1~3세 사이 걸음마기’가 전체의 절반 가까운(49.9%) 37,419건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4~6세 유아기’ 21.6%(16,245건), ‘7~14세 취학기’ 19.5%(14,636건), ‘1세 미만 영아기’ 9.0%(6,778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 성별미상·해당없음 23건

영아기에 ‘침대 추락’ 사고 많고, 연령대 높을수록 ‘실외 품목’ 증가

움직임이 적고 항상 보호자의 감독 아래 실내에서 주로 머무는 ‘영아기’에는 몇 가지 상위품목에 의한 안전사고가 주로 발생하지만,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운동능력과 행동반경이 확장돼 위해품목과 사고유형이 다양해지므로 이에 유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단계별 주요 위해품목 분석결과, ‘영아기’에는 ‘침실가구’에 의한 사고가 36.7%(2,485건)로 가장 많았는데, 특히 침대 등의 ‘추락’ 사고유형은 영아기 사고의 절반 가까운 48.9%를 차지했다.

막 걷기 시작하는 걸음마기에는 ‘추락’ 사고가 감소하는 대신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급증하기 시작해 ‘바닥재*’ 사고가 15.9%(5,963건)로 가장 많았다. 활동공간이 실내에서 실외로 확장되는 유아기부터는 점차 실외품목으로 인한 사고비중이 증가해 ‘취학기’에서는 ‘자전거’가 위해다발 품목 1위(10.6%/1,553건)로 꼽혔다.

* 주택, 아파트, 보육시설 등 사람이 거주, 체류하는 건축물 내부 바닥에 사용하기 위해 제조된 장판, 시트, 타일 등을 의미함

발달단계별 주요 위해품목 분석결과, ‘영아기’에는 ‘침실가구’에 의한 사고가 36.7%(2,485건)로 가장 많았는데, 특히 침대 등의 ‘추락’ 사고유형은 영아기 사고의 절반 가까운 48.9%를 차지함. 또한, 안전사고 유형 중 ‘신체 눌림·끼임’ 사고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변을 탐색하고 활동하는 ‘유아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질식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삼킴·흡인’ 사고는 영아기부터 꾸준히 발생하기 시작해 호기심이 많아 손에 잡히는 물건을 입이나 코 등으로 가져가는 행동을 자주 보이는 ‘걸음마기’에 가장 많았음 

안전사고 유형 중 ‘신체 눌림·끼임’ 사고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변을 탐색하고 활동하는 ‘유아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질식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삼킴·흡인’ 사고는 영아기부터 꾸준히 발생하기 시작해 호기심이 많아 손에 잡히는 물건을 입이나 코 등으로 가져가는 행동을 자주 보이는 ‘걸음마기’에 가장 많았다.

어린이 발달특성 및 다발사고 유형을 고려한 시설점검 및 안전교육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어린이가 있는 각 가정이나 관련 시설·교육기관은 어린이의 발달특성 및 사고 발생유형을 정확히 이해하고, 시설점검이나 안전교육 등 적절한 사고 예방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안전교육을 위해 EBS의 인기 캐릭터인 ‘강철소방대 파이어로보’를 주인공으로 제작한 안전교육 애니메이션 DVD를 지난 5월 중 전국 초등학교에 보급하였고, 스마트컨슈머(http://www.smartconsumer.go.kr)를 통해서도 제공하고 있다며 널리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6-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10 4개 카셰어링 사업자의 불공정 약관조항에 대한 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3 55
4309 ‘라면 제품에 GMO 검출’ 관련 조사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30 50
4308 식약처, 의약외품 모기.진드기 등 기피제 재평가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30 52
4307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경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30 41
4306 5월 항공여객 874만 명…전년 동월 대비 4%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30 43
4305 제2금융권 건전성 관리 강화방안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30 132
4304 상조업체 186개, 부채 비율 하락, 지급 여력 비율 상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30 44
4303 2017년 하반기 식.의약품 안전정책 이렇게 달라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45
4302 뜨거운 여름, 일사병 열사병 이렇게 예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47
4301 2017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바뀝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53
4300 금융꿀팁 200선 - (55) 주식투자시 수익률 제고 노하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46
4299 서울서 동해안까지 단숨에 달린다… “90분 시대 개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48
4298 경인선·경의선·수인선·안산선 광역 급행 열차 확대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59
4297 리콜제도 소비자 친화적으로 획기적 개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50
4296 아우디, 벤츠, BMW 리콜 실시(총 24개 차종 5,731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47
Board Pagination Prev 1 ...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