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 안전사고, 발달단계별로 사고유형 차이 나

- 영아기는 ‘침대 추락’, 취학기는 ‘자전거’ 안전사고 많아 -

- 어린이 발달단계 및 다발사고 특성에 맞는 사고예방 조치 필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2016년까지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만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을 분석한 결과, 어린이 사고 발생건수는 매년 감소하였지만 전 연령층 사고건수 중 어린이 사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으로 여전히 높아 보호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비중): ’14년 27,381건(40.8%) → ’15년 25,152건(37.0%) → ’16년 22,545건(32.7%)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우리나라 어린이 안전사고 비중은 총 인구 대비 어린이 인구비중(13.7%)**이나 미국의 어린이 사고비중(27.3%)***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로써 우리나라의 어린이가 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풀이된다.

** 통계청 유소년 인구기준에 맞춰 0세부터 만14세를 ‘어린이’로 분류했고, 인구 비중은 2016.7.1. 기준임.

*** 미국 CPSC(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전미위해감시시스템(NEISS) 통계(2016년 기준)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비중)은 ’14년 27,381건(40.8%), ’15년 25,152건(37.0%), ’16년 22,545건(32.7%)으로 나타남 

‘남아’가 ‘여아’보다 많고, ‘1~3세 걸음마기’에 가장 사고 빈발

최근 3년간 발생한 어린이 안전사고 총 75,078건*의 성별은 ‘남아’의 비중이 61.6%(46,269건)로 ‘여아’ 38.4%(28,786건)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았다. 발달단계별로는 막 걷기 시작하는 ‘1~3세 사이 걸음마기’가 전체의 절반 가까운(49.9%) 37,419건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4~6세 유아기’ 21.6%(16,245건), ‘7~14세 취학기’ 19.5%(14,636건), ‘1세 미만 영아기’ 9.0%(6,778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 성별미상·해당없음 23건

영아기에 ‘침대 추락’ 사고 많고, 연령대 높을수록 ‘실외 품목’ 증가

움직임이 적고 항상 보호자의 감독 아래 실내에서 주로 머무는 ‘영아기’에는 몇 가지 상위품목에 의한 안전사고가 주로 발생하지만,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운동능력과 행동반경이 확장돼 위해품목과 사고유형이 다양해지므로 이에 유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단계별 주요 위해품목 분석결과, ‘영아기’에는 ‘침실가구’에 의한 사고가 36.7%(2,485건)로 가장 많았는데, 특히 침대 등의 ‘추락’ 사고유형은 영아기 사고의 절반 가까운 48.9%를 차지했다.

막 걷기 시작하는 걸음마기에는 ‘추락’ 사고가 감소하는 대신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급증하기 시작해 ‘바닥재*’ 사고가 15.9%(5,963건)로 가장 많았다. 활동공간이 실내에서 실외로 확장되는 유아기부터는 점차 실외품목으로 인한 사고비중이 증가해 ‘취학기’에서는 ‘자전거’가 위해다발 품목 1위(10.6%/1,553건)로 꼽혔다.

* 주택, 아파트, 보육시설 등 사람이 거주, 체류하는 건축물 내부 바닥에 사용하기 위해 제조된 장판, 시트, 타일 등을 의미함

발달단계별 주요 위해품목 분석결과, ‘영아기’에는 ‘침실가구’에 의한 사고가 36.7%(2,485건)로 가장 많았는데, 특히 침대 등의 ‘추락’ 사고유형은 영아기 사고의 절반 가까운 48.9%를 차지함. 또한, 안전사고 유형 중 ‘신체 눌림·끼임’ 사고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변을 탐색하고 활동하는 ‘유아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질식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삼킴·흡인’ 사고는 영아기부터 꾸준히 발생하기 시작해 호기심이 많아 손에 잡히는 물건을 입이나 코 등으로 가져가는 행동을 자주 보이는 ‘걸음마기’에 가장 많았음 

안전사고 유형 중 ‘신체 눌림·끼임’ 사고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변을 탐색하고 활동하는 ‘유아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질식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삼킴·흡인’ 사고는 영아기부터 꾸준히 발생하기 시작해 호기심이 많아 손에 잡히는 물건을 입이나 코 등으로 가져가는 행동을 자주 보이는 ‘걸음마기’에 가장 많았다.

어린이 발달특성 및 다발사고 유형을 고려한 시설점검 및 안전교육 필요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어린이가 있는 각 가정이나 관련 시설·교육기관은 어린이의 발달특성 및 사고 발생유형을 정확히 이해하고, 시설점검이나 안전교육 등 적절한 사고 예방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안전교육을 위해 EBS의 인기 캐릭터인 ‘강철소방대 파이어로보’를 주인공으로 제작한 안전교육 애니메이션 DVD를 지난 5월 중 전국 초등학교에 보급하였고, 스마트컨슈머(http://www.smartconsumer.go.kr)를 통해서도 제공하고 있다며 널리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7-06-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40 온나라서 부동산정보 한 번에 확인하고 민원신청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4 130
4339 온라인 강연을 들으며 자녀 이해와 소통의 폭을 넓혀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2 17
4338 온라인 거래‧광고 계약시 이용자 피해, ICT 분쟁조정지원센터(☎118)에 바로 문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7 40
4337 온라인 구매 1위는 식품, 10명 중 3명 주 2회 이상 쇼핑…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4 34
4336 온라인 그루밍 처벌, 신분 비공개ㆍ위장수사로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방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3 20
4335 온라인 다크패턴 자율관리 가이드라인 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31 20
4334 온라인 다크패턴으로부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방향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19
4333 온라인 달걀 판매업체 등 위생점검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1 68
4332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티빙·왓챠 만족도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5 15
4331 온라인 매개 아동ㆍ청소년 대상 성범죄 피해 위험 뚜렷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24 22
4330 온라인 민원, 한 번의 신청으로 원하는 만큼 출력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30 36
4329 온라인 반려동물 사료 10개 제품 안전·표시사항 위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18 32
4328 온라인 부동산광고 자율규약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10 12
4327 온라인 불법유통 및 허위.과대광고 확인하고 구매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9 16
4326 온라인 사업자의 개인정보관련 약관상 불공정약관 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9 73
Board Pagination Prev 1 ...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