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로시설물 파손자를 찾지 못하면 한국도로공사 등 도로관리청이 국민 세금으로 복구하던 관행이 개선될 전망이다.
※ 도로관리청 : 한국도로공사(고속국도), 국토교통부(국도), 광역․기초지자체(지방도) 등
※ 도로시설물 : 신호등, 가로등, 표지판, 가로수, 방호울타리, 중앙분리대 등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성영훈, 이하 국민권익위)는 이와 같은 내용의「교통사고에 따른 도로시설물 파손 시 원인자부담금 실효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 26일 국토교통부, 경찰청, 지자체,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고 27일 밝혔다.
 
현행 「도로법」에는 도로시설물 파손 시 원인자가 복구비용을 부담하도록 규정돼 있어 도로관리청은 교통사고로 도로시설물 파손 시 원인자에게 복구를 명하거나 긴급한 경우 직접 복구 후 원인자에게 그 비용을 청구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관계기관 간 업무협조 미흡으로 도로시설물 파손 원인자 파악이 어려워 매년 100억여원이 복구비용으로 충당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국민권익위가 ’16년 도로유형별 사고 원인자 확인 실태를 조사한 결과 고속국도는 원인자 미파악 비율이 4%에 그쳤지만 예산부담 비율은 16%인 34억원에 달했으며, 국도·지방도의 경우 원인자 미파악 비율이 40% 대이고 예산부담 비율은 30% 대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16년 도로 유형별 사고 원인자 미확인 현황 】
구 분(‘16년 기준)고속도로국도지방도
원인자 미파악 비율4% (5,536건중 241건)49% (1,648건중 804건)43% (1,858건중 805건)
예산 부담비율16% (216억원중 34억원)32% (22억원중 7억원)37% (41억원중 15억원)
※ 18개 국토관리사무소 중 14곳, 17개 시·도 중 9곳 관리(지방도 중 시․군․구 도로 제외)
 
국민권익위는 이에 대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달 국토교통부, 경찰청, 금융감독원, 보험업계 등 11개 관계기관과 함께 교통사고에 따른 도로시설 파손 시 원인자 파악이 되지 않는 이유와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이 결과 경찰청은 교통사고 조사결과 파악된 도로시설물의 파손 원인자 및 사고내용을 도로관리청에 정기적으로 제공키로 하였다.
 
보험사는 도로시설물이 파손된 교통사고 접수·처리 시 원인자에게 도로관리청과 경찰청에 반드시 신고하도록 안내키로 하였다.
 
※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17. 6. 3.부터 물피(物被)사고 후 연락처 제공이나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벌금 부과
 
또 도로관리청이 폐쇄회로TV(CCTV) 등을 통해 사고차량 번호를 파악하더라도 법령상 차량 및 보험정보 조회권한이 없어 원인자 정보를 알 수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법을 개정하여 도로관리청이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키로 했다.
 
아울러 그동안 도로시설물 복구공사에 대한 지침이 없어 저가·불량 제품을 사용한 부실공사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국토교통부가 업무지침을 마련하여 각 도로관리청에 통보하도록 하였다.
【 원인자 직접 복구 공사 부실 관리 사례 】
▷ 보험사와 복구업체가 사고 시 파손된 가로등을 복구하지 않고 주변 가로등을 떼어 교체한 사실 적발(광주 전남지역 경찰 조사결과)(‘13. 11월, 지역언론 보도)
▷ ‘13년말 국도내 사고로 ’SB4‘ 등급의 방호울타리가 훼손되었으나, 보험사와 복구업체가 도로관리청의 확인 없이 검사를 받지 않은 저가의 안전도가 낮은 ’SB2‘ 등급 제품으로 교체(국민권익위 실태조사 결과)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도로시설물 파손 시 원인자를 찾지 못하면 국민 세금으로 복구해야 하고 즉시 예산을 조달하지 못하면 장기간 방치되어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번 제도개선으로 예산낭비 요인을 해소하고 신속한 복구를 통해 국민 안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7-06-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75 ‘봄꽃 나들이 가기 좋은 농촌체험마을 10선’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5 83
2374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금’이 저소득층 중.고등학생의 꿈을 지원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30 81
2373 ‘보조금24’, 국가보조금 맞춤형서비스 새 이름으로 확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7 19
2372 ‘보건증을 카드로 만들어 활용도를 높여요’... ‘최고의 생각상’에 선정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7
2371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 하이패스 없이도 고속도로 통행료 무정차 납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17
2370 ‘버스·기차를 타고 떠나는 농촌여행’테마별 농촌여행코스 선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6 56
2369 ‘방탈출카페, 스크린체육시설 다중이용업소 지정’등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9 37
2368 ‘밥솥형 가열식 가습기’로 인한 영유아 화상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8 20
2367 ‘박물관을 찾아 떠나는 농촌 여행’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1 33
2366 ‘바로 이 목소리’, 보이스피싱 사기범의 목소리를 들어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10 15
2365 ‘문화예술과 함께하는 농촌여행’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5 30
» ‘몰래 파손’ 도로시설물 복구에 쓰이는 혈세 줄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7 67
2363 ‘모바일 연계’ 철도서비스로 철도여행이 편리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5 12
2362 ‘모바일 부동산 앱’이용 시 허위·미끼성 매물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6 138
2361 ‘매실주’ 안전하게 담그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91
Board Pagination Prev 1 ...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