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로시설물 파손자를 찾지 못하면 한국도로공사 등 도로관리청이 국민 세금으로 복구하던 관행이 개선될 전망이다.
※ 도로관리청 : 한국도로공사(고속국도), 국토교통부(국도), 광역․기초지자체(지방도) 등
※ 도로시설물 : 신호등, 가로등, 표지판, 가로수, 방호울타리, 중앙분리대 등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성영훈, 이하 국민권익위)는 이와 같은 내용의「교통사고에 따른 도로시설물 파손 시 원인자부담금 실효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 26일 국토교통부, 경찰청, 지자체,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고 27일 밝혔다.
 
현행 「도로법」에는 도로시설물 파손 시 원인자가 복구비용을 부담하도록 규정돼 있어 도로관리청은 교통사고로 도로시설물 파손 시 원인자에게 복구를 명하거나 긴급한 경우 직접 복구 후 원인자에게 그 비용을 청구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관계기관 간 업무협조 미흡으로 도로시설물 파손 원인자 파악이 어려워 매년 100억여원이 복구비용으로 충당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국민권익위가 ’16년 도로유형별 사고 원인자 확인 실태를 조사한 결과 고속국도는 원인자 미파악 비율이 4%에 그쳤지만 예산부담 비율은 16%인 34억원에 달했으며, 국도·지방도의 경우 원인자 미파악 비율이 40% 대이고 예산부담 비율은 30% 대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16년 도로 유형별 사고 원인자 미확인 현황 】
구 분(‘16년 기준)고속도로국도지방도
원인자 미파악 비율4% (5,536건중 241건)49% (1,648건중 804건)43% (1,858건중 805건)
예산 부담비율16% (216억원중 34억원)32% (22억원중 7억원)37% (41억원중 15억원)
※ 18개 국토관리사무소 중 14곳, 17개 시·도 중 9곳 관리(지방도 중 시․군․구 도로 제외)
 
국민권익위는 이에 대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달 국토교통부, 경찰청, 금융감독원, 보험업계 등 11개 관계기관과 함께 교통사고에 따른 도로시설 파손 시 원인자 파악이 되지 않는 이유와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이 결과 경찰청은 교통사고 조사결과 파악된 도로시설물의 파손 원인자 및 사고내용을 도로관리청에 정기적으로 제공키로 하였다.
 
보험사는 도로시설물이 파손된 교통사고 접수·처리 시 원인자에게 도로관리청과 경찰청에 반드시 신고하도록 안내키로 하였다.
 
※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17. 6. 3.부터 물피(物被)사고 후 연락처 제공이나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벌금 부과
 
또 도로관리청이 폐쇄회로TV(CCTV) 등을 통해 사고차량 번호를 파악하더라도 법령상 차량 및 보험정보 조회권한이 없어 원인자 정보를 알 수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법을 개정하여 도로관리청이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키로 했다.
 
아울러 그동안 도로시설물 복구공사에 대한 지침이 없어 저가·불량 제품을 사용한 부실공사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국토교통부가 업무지침을 마련하여 각 도로관리청에 통보하도록 하였다.
【 원인자 직접 복구 공사 부실 관리 사례 】
▷ 보험사와 복구업체가 사고 시 파손된 가로등을 복구하지 않고 주변 가로등을 떼어 교체한 사실 적발(광주 전남지역 경찰 조사결과)(‘13. 11월, 지역언론 보도)
▷ ‘13년말 국도내 사고로 ’SB4‘ 등급의 방호울타리가 훼손되었으나, 보험사와 복구업체가 도로관리청의 확인 없이 검사를 받지 않은 저가의 안전도가 낮은 ’SB2‘ 등급 제품으로 교체(국민권익위 실태조사 결과)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도로시설물 파손 시 원인자를 찾지 못하면 국민 세금으로 복구해야 하고 즉시 예산을 조달하지 못하면 장기간 방치되어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번 제도개선으로 예산낭비 요인을 해소하고 신속한 복구를 통해 국민 안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국민권익위원회 2017-06-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90 친환경 야영방법 알려주는 야영학교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1 35
2389 자연공원 내 생활밀착형 규제개선으로 주민불편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1 51
2388 6월 23일부터 7월 1일까지 6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규 신청.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2 31
2387 첨벙, 캠핑, 건강, 사진 등 주제별 '여름 섬'으로 특별한 휴가 떠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2 50
2386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매입·전세임대주택 총 7천호 입주자 모집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3
2385 코로나로부터 안전한 여름휴가 대책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2
2384 고유가,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지원을 위해 긴급복지지원제도 확대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5
2383 2021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1
2382 ㈜에센루, 영·유아용 치아발육기 환불조치(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52
2381 핸디형 스팀다리미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4 53
2380 통신서비스 중단시, 이용자 피해구제 강화 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4 40
2379 고령층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4 47
2378 2022년 고속도로 화물차 사망사고, 일반차량의 2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0
2377 분양가상한제 합리화 방안 제도개선 후속조치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1
2376 반려견 등록,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0
Board Pagination Prev 1 ...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